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과
결말
소산
효과
결실
결론
영향
d라이브러리
"
결과
"(으)로 총 16,30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비만과 지방간 ‘유전적 치료제’ 탄생할까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공동연구팀은 ‘RORα’ 핵수용체가 간에서 일어나는 지방 대사 과정을 방해한다는 연구
결과
를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7월 31일자에 발표했다. 이는 지금까지 학계에 알려진 내용과는 반대되는 것이다. 핵수용체는 세포 내에서 스테로이드 호르몬 등과 결합한 뒤 DNA에 붙어서 유전자 발현을 ... ...
[과학뉴스] 쌀쌀할 때 심장마비 조심 “영하에서 4건 더 발생”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피부의 열전도가 감소하고, 이로 인해 동맥 혈압이 증가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
는 8월 26~30일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2017 유럽심장학회’에서 발표됐다 ... ...
[과학뉴스] ‘똥’으로 계절 변화 확인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미생물을 분석한
결과
를 ‘사이언스’ 8월 25일자에 발표했다. 대변 샘플의 RNA를 분석한
결과
건기와 우기에 장내 미생물 구성이 확연히 다르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건기에는 미생물의 종류가 1.6배 더 다양했다. 특히 건기에는 박테로이데스 속의 박테리아가 풍부했고, 우기가 되면 그 중 70%가 ... ...
[과학뉴스] 하품 전염되는 이유, 뇌에서 발견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수 있다면, 투렛증후군(틱장애) 같은 질병 치료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연구
결과
는 ‘커런트 바이올로지’ 9월 11일자에 실렸다. doi:10.1016/j.cub.2017.07.06 ... ...
[과학뉴스] 스스로 고장 수리하는 ‘모듈러 로봇’ 등장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연구팀은 로봇이 발광다이오드(LED) 불빛을 외부 자극으로 인식하도록 설계했다. 그
결과
LED자극에 따라 모듈을 끊거나 이으면서, 하나로 합치거나 두 개로 분리하는 등 스스로 고장 난 부위를 수리했다. 연구팀은 사람이 들어가기에 좁거나 위험한 환경에 이 로봇을 투입할 수 있을 것으로 ... ...
[Issue] 탄도미사일 둘러싼 궁금증 4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8월 29일 “지역 방송국 옥상에서 촬영한 영상에 화성-14형의 섬광이 찍혔고, 이를 분석한
결과
3개로 분리되는 현상을 확인했다”고 밝혔다(하지만 8월 30일 일본 방위성은 3개로 분리되지 않았을 수도 있다고 밝혔다). 마이클 엘먼 국제전략문제연구소(IISS) 선임연구원은 이 보도에 주목해 화성-1 ... ...
Part 4. 떠오르는 대세 ‘코스메슈티컬’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세포 실험에서 레티놀 등 현재 주름개선 화장품에 주로 들어가는 성분들과 비교한
결과
주름 형성을 촉진하는 효소(MMP1)의 분비를 억제하는 효과가 가장 좋았다. 노 책임연구원은 “피뿌리풀 추출물을 피부 노화 개선 화장품 소재로 개발하기 위해 코오롱생명과학에 기술을 이전하고 피부 ... ...
[Origin] 남자 청소년 열에 아홉은 근시?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했다. 3년 뒤 근시가 발병한 어린이 비율은 각각 30%와 40%로 다소 차이가 났다. 연구
결과
는 ‘미국의학협회저널(JAMA)’ 2015년 9월 15일자에 실렸다(doi:10.1001/jama.2015.10803). 전문가들은 하루 3시간, 1만 럭스(lux) 이상의 빛을 쪼여야 한다고 조언한다. 빛을 받으면 망막에서 나오는 도파민이 눈의 성장 ...
[Origin] 모세혈관 따라 10만km ‘건강 게이트키퍼’ 모세혈관 총정리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년간 혈관연구단과 세계 각국 과학자들이 모세혈관의 비밀을 풀어낸 논문 160편을 분석한
결과
가 담겼다. 사이언스 리뷰논문은 해당 분야의 최신 성과를 망라해 자신의 의견을 붙여 평가하는 것으로 보통 국제적으로 연구 업적을 높이 인정받은 석학이 집필한다. 이번 리뷰논문은 고 단장이 혈관 ... ...
Part 2. “소변에서 일부 화학물질 농도 2~3배 증가”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소변 검사는 고영림 을지대 보건환경안전학과 교수팀(김성민 석사과정 연구원)이,
결과
해석은 최경호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와 김선미 서울대 보건환경연구소 연수연구원이 맡았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여성용품 안전성 긴급 진단Part 1. 휘발성유기화합물 검출 경로 ... ...
이전
440
441
442
443
444
445
446
447
4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