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위치
소재지
공간
자리
현장
집
d라이브러리
"
곳
"(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생각만으로 로봇을 조종한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때문에 사람의 뇌에 직접 전극을 꽂는 실험이 허가된
곳
은 세계에서 미국과 중국 단 두
곳
뿐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사람 대신 동물로 실험을 하고 있다. 그 중 한림대 의대 신형철 교수의 ‘슈퍼독’이 유명하다. 신 교수는 개의 뇌에 전극을 이식해 개의 뛰어난 후각을 통해 얻은 냄새 정보를 디지털 ... ...
괴물 탄도탄은 지그재그로 난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비해 월등히 앞선 분야가 바로 이것이다. 다탄두미사일(MIRV)은 한 발만 발사해 여러
곳
의 도시를 따로 타격할 수 있다. 다탄두미사일은 우주공간에서 초기위치에 도달한 뒤 탄도비행에 돌입하기 직전에 3~10개의 미사일로 분리돼 목표 위치로 제각각 날아간다. 가뜩이나 복잡한 탄도 제어를 복수로 ... ...
서울·런던 지하철 왜 비슷할까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현재 인구가 1000만 명이 넘는 거대도시(메가시티) 가운데 지하철을 건설하지 않은
곳
은 없다. 인구가 100만~200만 명 되는 대도시 중에는 약 4분의 1이 건설했다. 도시는 교통 정체 상황과 도시계획법, 경제상황, 지리조건, 기존 교통망 등 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각기 고유한 모양의 지하철 망(네트워크 ... ...
미역국으로 말라리아 예방할까?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UC 샌디에이고에서 키우고 있는 녹조류. 연못이 있는
곳
이라면 세계 어디서든 자랄 수 있다.] 말라리아를 예방하기 위해 주사 대신 미역국을 먹는 날이 올지도 모르겠다. UC 샌디에이고 생명과학과 교수진과 샌디에이고 조류생물공학 센터 합동 연구팀은 녹조류(Chlamydomonas reinhardtii)에서 말라리아 ... ...
지하수의 저주, 싱크홀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깊이만 27m다.]도시를 삼키는 싱크홀싱크홀의 원인은 이 밖에도 많다. 지표수 물길을 다른
곳
으로 돌릴 경우 그동안 물이 많지 않았던 흙에 물이 가득해진다. 이 때문에 응집력이 떨어지면서 지반이 약해져 땅이 내려앉을 수 있다. 또 공장에 쓸 저수지를 모래가 많은 지표층 위에 만들거나 도시 ... ...
손 대면 톡 하고~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이뤄지는지 단계별로 조사한 결과를 담고 있습니다. 연구팀은 영화관이나 동물원 같은
곳
에서 표를 사려고 기다리는 남녀를 몰래 관찰하며 누가 신체접촉을 먼저 시도하는지, 어느 부위를 얼마나 오랫동안 만지는지 등을 기록했습니다. 그 다음에는 그들에게 다가가 실험 때문에 자료를 모으고 ... ...
누구나, 함께 쓰는 슈퍼컴 전도사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것과 같은 느낌을 받을 수 있다. 지금은 시범적으로 같은 시설이 마련된 KAIST 외 4
곳
과 연결돼 학생과 교수들이 멀리 떨어져 있어도 함께 있는 것처럼 수업을 진행할 수 있다.2003년 완성된 인간의 유전자 지도를 만드는 연구 ‘인간 게놈 프로젝트’에서 2010년 새로 시작된 인간의 머릿속 신경 지도를 ... ...
전기정보공학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전기정보공학을 공부하면 전기 전자와 관련된 연구소와 산업체를 포함해 다양한
곳
에 취업할 수 있다. 전기정보공학이 그 영역을 계속해서 확대해 나가고 있고 전기정보공학이 필요한 분야는 점점 많아지고 있다 ... ...
Part 1. 바닷물은 어디서 왔는가?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결과라는 사실만 알 수 있을 뿐이다. [44억 년 전 만들어진 지르콘 광물이 물이 있는
곳
에서 생성됐다는 연구 결과가 나오면서 지구 생성 당시부터 물이 존재했다는 주장이 나왔다.][NASA는 혜성 근접 관측을 위한 ‘에폭시’ 프로젝트를 통해 지난 2010년 혜성 ‘하틀리2’ 근접 촬영에 성공했다. ... ...
Intro. 우주의 괴수 거대질량 블랙홀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태양질량의 1억 배인 블랙홀이 똬리를 틀고 있다. 지구에서 3억 2000만 광년 떨어진
곳
에 있는 은하(NGC 3842)에는 태양질량의 무려 100억 배인 블랙홀이 있다는 사실이 최근 밝혀지기도 했다. 거대질량 블랙홀은 왜 존재하는 것일까. 이들은 어떻게 이런 거대한 덩치를 키웠을까. 이런 의문은 여전히 ... ...
이전
440
441
442
443
444
445
446
447
4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