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로
길거리
거리
가로
노선
항로
경로
d라이브러리
"
길
"(으)로 총 5,256건 검색되었습니다.
'93 EXPO 국제마이크로 로봇 대회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국내 예선에서 완주에 성공한 마우스의 숫자가 10여팀 밖에 되지 않았다는 것은 '제 갈
길
을 아는 마우스' 만들기의 어려움을 잘 말해준다.이번 대회 관심의 초점은 외국 출전자들의 마우스와 이들이 거둘 기록. 국내 참가자들 조차 시작 전부터 참가에 의의를 두는 모습이었다. 외국 마우스가 이 분야 ... ...
'페르마의 정리' 350년 만에 해법찾았다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증명한 것 같다.여기서는 타원함수의 이론이 응용되어 있다. 타원함수란 타원의 호의
길
이를 계산할 때 나타내는 함수의 그래프로,${y}^{2}$=(x의 3차식)과 같은 형식을 취한다. 가령,${y}^{2}$=${x}^{3}$+1과 같은 것이다. 이 타원함수가 일정조건을 만족하면 제타의 함수와 관계가 생기게 된다.제타 함수란,ξ ... ...
옮겨 심으면 죽어 버리는 모데미풀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5장이다. 수술과 씨방이 많고 꽃이 지면 방사상으로 마치 훈장을 연상시키는 열매 끝에
길
이 3㎜의 암술대가 남아 있다.이를 허가 없이 채취 또는 이식할 때는 관계 법령에 의해 엄벌에 처하게 돼 있다. 그러나 그보다 우리의 귀중한 특산 희귀식물 자원을 보호하는 마음으로 함부로 채취하거나 ... ...
먹을 것 구하기 위해 두뇌 발달했다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어떤 나무가 언제 열매를 맺는가를 기억해두지 않으면 안된다. 또 그 나무까지 찾아가는
길
을 생각하고 기억하는 능력도 필요하다. 이같이 먹이를 둘러싼 문제로부터 영장류 특유의 몸에 비해 큰 뇌가 진화해왔다는 캘리포니아대 버클리교 인류학 교수인 캐서린 밀톤에 의한 주장이 논문으로 나왔다 ... ...
'93 노벨상 수상 영광의 얼굴들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구조와 그 유전자의 DNA 구조 사이에는 큰 차이가 있어서 대부분의 경우 DNA가 그 mRNA 보다
길
다는 것이다.이러한 구조의 차이는 유전자에 단백질을 코드하는 서열 외에 다른 서열이 있다는 것을 말해주는 것으로 단백질을 코드하고 있지 않은 서열이 단백질을 코드하는 서열의 사이사이에 끼어들어 ... ...
암울했던 시절, 교사의
길
을 걷기로 결심하다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볼 것이냐 중등교원 검정시험(文檢)을 볼 것이냐를 놓고 무척 고민한 끝에 생물교사의
길
을 걷기로 결심했다. 이 사진을 찍은 때는 바로 문검 동물학과에 합격한 것을 계기로 전주사범학교로 전출을 했던 해였다.57년이란 세월이 흘렀지만 왼쪽 끝의 김기현군, 왼쪽에서 세번째의 전 동아일보 사장 ... ...
'암기'와 완전결별 선언한 수학능력시험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교육자료를 개발한다는 것은 보통 성의를 갖지 않고는 불가능하다. 지식 교육에
길
들여진 나이 든 교사일수록 당혹감은 더할 수밖에 없다.이런 와중에도 몇 교사모임은 학생들이 과학에 흥미를 잃지 않고 수업을 할 수 있도록 교육자료를 개발하는데 혼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대표적인 모임이 ... ...
지맥 단절이 생태섬 만든다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50년대에 미국에서 구호물자와 함께 우리나라에 이주한 개망초와 달맞이꽃이 전국적으로
길
가에서 자라고 있는 것을 흔히 볼 수 있다. 또한 1950년대 우리나라에 들어온 것으로 알려진 서양 민들레는 전국 도로가에 무성히 자라서 우리나라 민들레를 도태시켜 이제 우리 자생종 민들레를 찾아보기가 ... ...
노벨상 못타도 부끄럽지 않은 과학자
길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어느덧 39년의 세월이 지나는 동안 세상은 크게 변했다. 사진에 함께 한 우리들 역시 그 변화를 몸으로 받아들여 세월을 곱씹게 한다. 이제는 대부분 은퇴해 한발짝 뒤로 물러나 있고, 안타깝게 세상을 떠난 이도 있다.이 사진을 찍은 것은 6·25 전쟁이 끝난 직후였다. 서울대 문리대 정문 앞에 선 우 ... ...
물루동굴과 바코국립공원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석순이 자라 만들어진 성모마리아상 등 아름다운 여인들의 모습이 사람들의 눈
길
을 끌고 있다. 천장 곳곳에 뚫어진 구멍을 통해 햇빛이 들어오는 것이 이 동굴의 특징.동굴 안에도 항상 선선한 바람이 불고 있는 바람동굴은 비교적 생성연도가 오래된 곳이다. 따라서 석순과 종유석이 만나 기둥을 ... ...
이전
440
441
442
443
444
445
446
447
4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