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찬성
저항
이의
상반
역
항쟁
항거
d라이브러리
"
반대
"(으)로 총 4,967건 검색되었습니다.
거꾸로 매달린 허영심 많은 왕비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북극에 가장 가까운 1등성 카펠라는 북동쪽 하늘에 보이기 시작했고 북두칠성은 그
반대
편에서 아래로 잠기고 있다.이달의 행성금성/사자자리에 있게 되는데 초순경에는 아침 여명 때문에 보이지 않는다. 하순경에는 -4.3등급의 밝기로 보일 것이다.화성/처녀자리에서 2등급으로 보인다. 중순 ... ...
기온변화가 세계사를 뒤바꾼다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한다. 이 모든 현상들은 기후가 점점 추워진다는 학설을 뒷받침해주고 있다.이와
반대
로 앞으로 기후가 점차 더워진다는 견해를 갖고 있는 학자들도 적지 않다. 근래에 추위가 가장 심했던 시기는 지금부터 1백년 전이었는데 그후로 기온이 차츰 상승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들은 산업혁명의 여파로 ... ...
양식장 송어 방출에 비상령 내려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치열한 생존경쟁에서 살아남아 잘 자랄 수 있다. 그러나 자연상태의 경우에는 이와
반대
의 행동이 요구된다. 낚시꾼의 미끼와 천적을 피해가며 가장 적은 에너지를 써서 목표로 하는 곤충이나 갑각류를 잡아먹어야 하기 때문이다. 필요이상으로 에너지를 쓰면 영양실조에 걸려 죽게된다.배크만 ... ...
2.지자기의 힘이 떨어지고 있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지금과 같은 자남북극(磁南北極)의 상태를 정자기상태(normal polarity)라고 하는데 그
반대
상태는 역자기상태(reverse polarity)라고 불린다. 지금부터 약 73만년 이전에는 지구자장이 오랫동안 역자기상태로 있었다. 따라서 제주도와 울릉도 화산이 약 1백만년 전에 터졌음을 쉽게 짐작할 수 있다 ... ...
동물들의 여름나기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탈수의 결과로 혈액중의 수분이 빠져 나가 혈액순환 조차도 힘들어진다. 이와는
반대
로 낙타는 혈액의 수분은 끝까지 남고 조직의 수분이 먼저 빠진다.혈액은 마치 자동차의 냉각수와 같이 전신을 순환하며 열을 식히는 역할도 하는데 낙타는 그런 점에서 유리하다. 실제로 낙타는 한번에 체중의 1/ ... ...
남북의사들, 원폭피해자 구제에 함께 나섰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의사 과학자등 회원 20만명을 확보하고 있다.그동안 의사의 전문지식을 동원해 핵전쟁
반대
핵무기실험금지등의 여론을 확산시켜 소련의 핵무기실험중지등 핵관련정책에 크게 영향을 미쳤다. 한국에도 IPPNW의 존재가 80년초반 부터 알려지기 시작했으나 북한과 대치하고 있는 상황이라는 경직성 ... ...
1.판구조론으로 들어 본 지구의 숨소리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판이 생성되거나 소멸되는 곳이 아니고 단지 단층면을 경계로 판의 운동방향이
반대
인 곳이다. 그 경계부는 지진은 발생하지만 화산활동은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변환단층의 대표적인 예가 미국의 산안드레아스단층으로 약 1천㎞나 어긋나 있다. 판게아 대륙의 여행판이동을 일으키는 ... ...
미국, 2014년 화성에 유인 우주선 보낸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미국우주계획특별위원회는 최근 달기지건설과 유인(有人)화성 탐사 위성발사를 주요내용으로 하는 21세기 우주탐사계획을 작성, 백안관에 제출했다. 정부와 우주산업 및 학 ... 특히 핵추진 로켓은 환경보호론자들이 우주환경 파괴의 주범으로 지목하고 있어 이들의
반대
가 예상된다 ... ...
불볕 더위와 장마를 배후조종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1km 상승할때마다 5~6℃씩 기온이 하강한다. 고도 20km를 넘어 성층권에 진입하면
반대
로 기온은 상승한다. 이곳에 위치한 오존층이 태양으로부터 자외선을 흡수하기 때문이다. 고도 50km에서 3℃ 정도로 극대에 달한 기온은 중간층에 들어서면서 다시 하강한다. 고도 80km에서 -93℃로 가장 낮은 온도를 ... ...
3.큰폭으로 요동하는 기후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정도다. 오늘날의 지구는 1월에 태양에 가깝고 7월에 먼데 앞으로 11만년 후에는 그
반대
가 될 것이다. 따라서 현재는 겨울과 여름의 계절적 차이가 비교적 적지만 11만년 후에는 연 교차가 훨씬 커질 것이다(북반구의 경우).셋째는 자전축 기울기의 변화인데 자전축 약 4만1천년을 주기로 기울기가 2 ... ...
이전
440
441
442
443
444
445
446
447
4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