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도"(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마지막 요리 모두의 맛, 미분과 적분 그리고 치킨수학동아 l2015년 08호
- 고대의 수학자가 평생에 걸쳐 구하던 호의 길이나 타원의 넓이를 이젠 고등학생 정도면 쉽게 계산할 수 있게 됐습니다.조상님은 치킨을 먹지 못했다!신라의 수도 경주가 ‘계림(鷄林)’으로 불렸을 만큼 한반도에서는 오래전부터 닭을 키워왔습니다. 하지만 우리 조상님은 치킨을 먹어보지 못했을 ... ...
- [생활] 수학과 화학의 맛있는 만남 분자요리수학동아 l2015년 08호
- 또 거품벽이 단단해지면서 거품도 오래 간다. 잘 만든 달걀흰자 거품은 지름이 10~150μm 정도다.하지만 시간이 흐르면 물과 공기가 다시 분리된다. 결국 거품이 하나둘씩 터지면서 사라진다. 심한 경우에는 거품 요리를 그릇에 담는 과정에서 무너져버릴 수도 있다. 거품이 잘 터지는 건 거품 주변에 ... ...
- 아인슈타인도 깜짝 놀란 뇌 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8호
- 1초에 약 23조 개의 계산을 할 수 있지요. 하지만 이 기계는 아직 쥐의 뇌 구조와 비슷한 정도밖에 안 된답니다.이렇게 많은 기계가 만들어졌지만 아직 사람처럼 스스로 판단하고, 배우고, 추론하고, 이해하는 등 인공지능을 가진 기계는 없어요. 기계는 오직 사람이 짜놓은 프로그램을 통해 정보를 ... ...
- 바지락 VS 꼬막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모래 바닥이나 진흙 속에서 플랑크톤을 먹으며 살지요.껍데기의 길이는 4㎝, 두께는 3㎝ 정도로 크기가 작지만 성장과 번식이 빨라요. 또 이동을 거의 하지 않는 습성이라 양식으로 많이 길러져요. 여름철 산란을 대비해 3~4월에 크게 자라기 때문에 봄에 먹는 바지락의 살이 통통하고 맛이 좋지요 ... ...
- [과학뉴스] 태양과 달이 사라졌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보인답니다. 이번에 일어난 월식은 우리나라에서도 4월 4일 저녁 7시쯤부터 10시 40분 정도까지 3시간 30분 동안 관찰할 수 있었어요. 하지만 날씨가 흐려 제대로 보기 힘들었지요. 다음 개기월식은 2018년에 있을 예정이랍니다 ... ...
- 밤마다 그린라이트를 켜는 귀신버섯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밤에 책을 읽을 수 있을 정도로 밝은 빛을 내는 버섯이 있어요. 바로 브라질의 코코넛 숲 속에 사는 네오노토파누스 가드네리(Neonothopanus gardneri)이지요. 우리나라에선 주로 ‘야광버섯’, ‘귀신버섯’이라고 불린답니다. 그동안 귀신버섯이 왜 밤에 빛을 내는지는 잘 알려져 있지 않았어요. 그런데 ... ...
- 소똥부터 물방울까지! 별별발전소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수 있어요. 같은 장치 1만 개를 한 시간 동안 펄럭여야 스마트폰 배터리 하나를 충전할 정도지요. 하지만 앞으로 효율을 높이고 크기를 키우면 더 많은 양의 전기를 얻을 수 있을 거라고 해요. 물방울을 만나면 전기를 뱉는 소자바람이나 마찰뿐만 아니라 톡톡 떨어지는 물방울도 연료로 쓸 수 ... ...
- [지식] 안테나, 우주의 소리를 듣다!수학동아 l2015년 08호
- 은하수의 밝기를 지도로 그리는 데 성공한다. 은하수가 이동하는 길과 반짝이는 정도를 측정해, 우주 공간에서 발생하는 전파를 기록으로 남긴 것이다. 하지만 레버의 연구도 크게 주목받지 못했다. 그들의 연구가 빛을 발한 건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일이었다.왜 하필 접시 모양일까?안테나는 ... ...
- [지식] 진단, 나 너 믿어도 돼?수학동아 l2015년 08호
-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을까? 민감도와 특이도가 99%인 진단 방법으로 천만 명 중 100명 정도 걸리는 희귀병을 검사한다고 가정하자. 이때 희귀병으로 진단받은 사람이 실제로 희귀병 환자일 확률은 99/(99+99,999)다. 즉, 희귀병 진단이 맞을 확률이 0.1%보다 낮다.서울대 시스템 바이오 정보의학 ... ...
- [생활] 공간을 꿰뚫어 보는 눈, 공간지도수학동아 l2015년 08호
- 위치정보가 중요하다. 암석, 흙, 지하수 등 지반을 이루는 물질의 특성을 분석해 위험 정도를 파악해야 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도시에서는 땅 밑에 있는 하수도, 주차장 같은 인공 시설물도 고려해야 한다.핵심은 위치정보다. 자원이나 인구 같은 데이터에 위치정보를 더하면 이 데이터는 3차원 ... ...
이전4404414424434444454464474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