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녁
나이트
야간
마롱
BAM
어린이과학동아
"
밤
"(으)로 총 4,486건 검색되었습니다.
착각하는 뇌, 너 믿어도 되니?(1)
어린이과학동아
l
20071011
뒤쪽에는 송과선이 달려 있어. 뇌하수체는 호르몬을 분비해 아기가 어른으로 자라게 해. 송과선은 눈을 통해 들어온 빛으로 낮인지
밤
인지를 판단하기 때문에 제3의 눈으로 불린단다. 뇌가 이렇게 많은 부분으로 이뤄지고 많은 일을 한다니 정말 신기하지? [소제시작]보이는 대로 믿어도 될까?[소제끝] 나의 모든 것을 조정하는 뇌. 그런데 이렇게 허술해 ...
훈련받는 바퀴벌레
어린이과학동아
l
20071011
초고성능 카메라도 나왔다(어린이과학동아 9월 15일자 64쪽 참조). 이런 기술이 발전하면 미래에는 고성능 우주망원경이 지구를 돌며
밤
하늘을 지킬 것이다. 소행성이나 혜성을 발견한 뒤에는 어떻게 해야 할까? 여러 가지 방법으로 소행성을 지구와 다른 방향으로 보내야 한다. 영화처럼 폭탄을 쓰는 것은 좋지 않다. 궤도가 어디로 바뀔지 모르기 때문이 ...
착각하는 뇌, 너 믿어도 되니?(2)
어린이과학동아
l
20071011
도파민이 나오는 곳이다. [소제시작]내 기억은 착각?[소제끝] 따르르릉~! 으악! 늦었다! 어제
밤
뇌의 착각이 너무 재미있어서 늦은
밤
까지 깨어 있었더니 오늘 그만 늦잠을 자고 말았어. 허겁지겁 준비를 하고 학교에 가는 길. 내 친구 정연이와 학교로 달려가다가 마주 오는 자전거를 피하지 못하고 우당탕 넘어지고 말았어. 아픈 엉덩이 ...
과학자들의 수다 최고 과학자 3인은 누구?(2)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920
지전설 얘기를 하다 좀 늦었습니다. 고 기자는 지전설이 무엇인지 알고 있나? 지전설은 지구가 하루에 한 번씩 자전해서 낮과
밤
이 바뀐다는 이론이네. 서양에서는 코페르니쿠스가 지동설을 발표한 이후 지구의 자전과 공전에 대해 알려져 있었지만, 당시 동양에서는 지구가 움직일 거라고는 아무도 생각하지 않았다네. 그걸 내가 생각한 거지. 게다가 나는 또 ...
뜨아 꿀벌 초토화사건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920
말벌 한 마리를 발견했다. “엥? 쟤는 지금 뭐하는 거예요? 참나무에서도 꿀이 나나?” “수액을 먹고 있는 거예요. 말벌은 참나무나
밤
나무에서 나오는 수액을 좋아하거든요.” “수액을 좋아하는데 꿀벌은 왜 죽인 거죠?” 다시 궁금해지는 양봉달 씨. 같은 벌에게 꿀벌이 당했다는 게 더 속상하다. “말벌은 꿀이나 꿀벌의 애벌레까지 가리지 않는 잡식성 ...
붉은 보름달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912
그래서 멸종했잖아요. 지구에 충돌할 위험이 높은 소행성을 미리 찾아 방향을 바꾸면 지구는 안전할 거예요. 이 카메라는 고화질로
밤
하늘을 찍기 때문에 아주 작은 소행성도 잘 찾을 수 있대요. 과학자들은 이 카메라를 2010년까지 4대 더 만들 계획이래요. [소제시작]영국, 인간과 동물교잡 배아 허용[소제끝] 영국에서 인간과 동물이 섞인 배아를 만 ...
종이로 만든 반도체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831
이용해 먹이를 꺼내 먹었어요. 연구진은 이 까마귀의 지능이 침팬지 등 대형영장류에 맞먹는다고 말해요. 꼬리 길이가 13광년!
밤
하늘 고래자리에는 ‘마이라’라는 유명한 별이 있어요. 이 별이 혜성처럼 긴 꼬리를 갖고 있다는 사실이 최근 밝혀졌어요. 꼬리 길이가 무려 13광년이나 된대요. 1광년은 빛이 1년 동안 가는 거리니까 얼마나 긴지 상상이 ...
반짝 별똥별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831
[소제시작]사건 의뢰 - 사랑을 찾아서[소제끝] 동네에서 별박사로 불리는 한결이는
밤
하늘의 별을 관찰하는 게 취미다. 사건이 일어난 날
밤
에도 별에 푹~ 빠져 있었다. 그 때 한결이의 친구 민엽이가 찾아왔다. “민엽이는 둘도 없는 친구지만 ... 넘치는 영화가 최고라며 닥터고글 일행이 영화에 푹~ 빠져든 순간. “드르렁 드르렁~ ...
괴물동물원 비밀노트(2)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810
괴물과 조금만 비슷한 모습을 한 물체만 봐도 자기가 항상 생각하고 있던 괴물로 보게 되는 거죠. 특정 물고기를 봤을 때나 캄캄한
밤
에 검은 옷과 흰 옷이 걸려 있는 걸 귀신처럼 보는 것도 우리가 사람 얼굴에 특히 민감하기 때문이에요. 사람은 자기가 알고 있던 것을 바탕으로 해석하려 하는 경향이 있답니다. 그래서 있는 그대로가 아니라 평소 자기 ...
기상 퀘스트를 달성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731
낮아져. 그래서 바다에서 육지로 시원한 바람이 부는 거야.
밤
이 되면 어떨까? 비열이 높은 물체는 식을 때도 천천히 식어. 그래서
밤
엔 비열이 낮은 육지는 빨리 식고 바다는 천천히 식지. 그래서 바다 위의 공기는 육지보다 따뜻하고 기압이 낮아서 육지에서 바다로 바람이 분단다. 어때, 신기하지? 그럼 바람이 어느 방향에서 얼마나 부는 ...
이전
440
441
442
443
444
445
446
447
4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