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지
보고서
통고
알림
통보
보도
레포트
d라이브러리
"
보고
"(으)로 총 6,876건 검색되었습니다.
첨단 도청 기술
과학동아
l
199911
입 모양을 분석해 대화를 구성해내는 방법도 있다. 청각장애인들이 상대의 입 모양을
보고
내용을 파악하는 구화법과 같은 원리다.때문에 은밀한 대화는 실외로 나와 나눈다. 이 경우에는 대화자가 움직이면서 말을 하기 때문에 고정된 도청기를 설치할 수 없고 대화자의 입 모양을 비디오로 찍기도 ... ...
1. 암정복의 꿈이 현실로
과학동아
l
199911
화학요법제로 치료받는 생쥐에게 p53을 주입하자 암세포가 크게 감소했다는 고무적인
보고
가 들렸다.이와 달리 p53이 정상인 암세포의 경우에 대해서도 흥미로운 연구가 진행중이다. p53이 정상이라면 왜 세포가 자살하지 못할까. 해결의 단서는 p53이 정상인 암의 30% 정도에서 발견되는 특이한 단백질 ... ...
2. 대머리 치료하고 몸매를 날씬하게
과학동아
l
199911
방해하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이런 약물들은 심장이상을 유발하는 등의 부작용이 많이
보고
되고 있어 마음을 놓지 못하게 한다. 최근에는 체중을 줄이는 동시에 적절한 양만 먹도록 만드는 약물이 개발되고 있어 관심을 모으고 있다.아예 음식에서 살이 찌는 원인을 제거하자는 발상도 있다. 미국의 ... ...
사자자리 유성우 관측가이드
과학동아
l
199911
B에 맞추고 장시간 노출을 한다. 유성은 짧은 시간에 빛나다 사라지기 때문에 눈으로
보고
느끼는 것보다 필름에는 더 어둡고 작게 찍힌다. 렌즈가 50mm 표준렌즈도 괜찮지만 보다 넓은 하늘을 담을 수 있는 초점거리 24-28mm, F1.4-2.0 정도로 밝은 광각렌즈가 있으면 더욱 좋다. 조리개는 F2나 F2.8 정도로 ... ...
회충 헤모글로빈 산소 파괴하는 매커니즘 밝혀져
과학동아
l
199911
운반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산소를 파괴하는 효소활성을 가지고 있다고 네이처지에
보고
했다.회충의 헤모글로빈은 산소에 대한 친화도가 너무 커서 산소가 해리되기 어렵기 때문에 산소를 운반하는데는 부적절한 것으로 생각돼 왔다. 그렇다면 이 단백질의 기능은 무엇인지가 연구과제였다. ... ...
3. 우여곡절로 점철된 신약개발의 드라마
과학동아
l
199911
비아그라는 발기부전증 환자의 50%에서만 확실한 효과가 나타났다고 임상시험에서
보고
됐다. 그런데도 만일 누군가 영리의 목적으로 ‘100% 효과를 보인다’고 내용을 부풀릴 경우 어떤 문제가 생길지 장담할 수 없다.최근에는 비아그라를 복용한 환자 가운데 사망자까지 생겼다는 보도가 무성하다. ... ...
과학적 사고와 문제해결력의 만남
과학동아
l
199911
발견이 인정을 받으려면 첫째로 발견된 시간과 위치, 그리고 등급(밝기)을 자세히
보고
해야 한다. 본문에는 발견된 시간(1999년 6월18일.64일)과 정확한 위치(R.A.=15h22m28s.90, Dec=+27˚42'57".95(epuinox2000.0)), 그리고 등급(R=18.79)이 언급돼 있다.둘째 추가 관측에 의한 확인이 필요하다. 본 ...
북극에서 온편지
과학동아
l
199910
공동연구를 추진하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생각한다. 극지는 마지막 남은 인류자원의
보고
이자 지구환경 변화를 연구할 수 있는 자연 실험장이다. 세계 각국에서 너나할 것 없이 엄청난 시간과 예산을 투자하고 있는 이유다. 지구상에 유일하게 과학적인 투자가 이뤄져야 기득권을 얻을 수 있는 ... ...
공룡탐사의 천국 몽골 고비사막
과학동아
l
199910
것은 목긴공룡의 발견이었다. 지금까지 몽골에서는 두 종류의 목긴공룡이 네메겟층에서
보고
됐을 뿐이다. 그러므로 우리가 다톡하층에서 발견한 것은 몽골에서 세번째로 발견되는 목긴공룡이며, 또한 이전에 알려진 것보다도 오래된 것이었다. 발견의 시작은 지표에 노출된 3개의 척추뼈였는데 ... ...
4. 1천만년 후의 한반도
과학동아
l
199910
교수가 평소 즐겨 찾던 술집의 문이 양쪽으로 밀고 들어가는 형태였는데, 어느날 이 문을
보고
힌트를 얻었다고 해서 ‘bar-door’ 모델이라고도 불린다.그런데 최근 필자는 또다른 모델의 가능성을 제시했다. 일본 열도가 일단 일직선으로 밀려내려오다 어느 순간 가운데가 굽기 시작했다는 ‘ ... ...
이전
441
442
443
444
445
446
447
448
4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