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d라이브러리
"
발견
"(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백설공주의 유전자를 찾을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유전자가
발견
된 것은 불과 얼마전의 일입니다. 1999년에 멜라닌을 만드는 유전자가 처음
발견
됐습니다. 이어 흰 피부를 결정하는 유전자, 검은색을 만드는 또다른 유전자 등 지금까지 12개 이상의 유전자가 우리 몸의 색깔에 관여한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백설공주의 눈처럼 흰 피부를 만드는 ... ...
UNIST 세계무대 떠오르는 강자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하고 아예 이곳에서 함께 연구를 진행하기도 한다. 꿈의 신소재 그래핀을 세계 최초로
발견
해 2010년 노벨 물리학상을 받은 콘스탄틴 노보셀로프 교수는 현재 UNIST의 석좌교수로서 저차원 탄소혁신 소재 연구센터에서 그래핀의 고속도 대량 생산기술과 저탄소 소재를 연구한다. 작년에는 이종훈 ... ...
다이아몬드 만큼 단단한 탄소구조체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흔히 ‘탄소 축구공’이라 부르는 지름 1nm(나노미터)의 구형 탄소구조체다.연구팀이
발견
한 새로운 구조체는 풀러렌을 고압으로 찌그러트린 형태다. 전체적으로 모양의 규칙성이 없지만 풀러렌을 이루던 오각형과 육각형 격자는 그대로 남아 규칙성을 유지한다. 이 구조체를 만들려면 용액 상태의 ... ...
밀림을 잃은 동물 왕국 - 마다가스카르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죽순에는 청산(HCN)이 들어 있어서 사람이 먹으면 5분 안에 죽는다. 그런데 1986년에야 처음
발견
된 큰대나무여우원숭이는 이것을 먹을 수 있다.현재 라누마파나 국립공원에 살고 있는 큰대나무여우원숭이는 단 한 쌍. 더 심각한 문제는 둘 사이가 부녀 관계라는 것이다. 이 상태로 두면 이곳의 ... ...
비·커피·만년필의 물리학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출렁이게 된다.연구자들은 피험자의 주의도에 따라 최대 가속도에 차이가 있다는 사실을
발견
했다. 즉 커피잔에 주의를 기울이는 사람은 최대 가속도 값이 작고(움직임의 변화가 완만하다는 뜻) 부주의한 사람은 컸다. 한편 걷는 건 머그잔의 높낮이에도 영향을 미친다. 데이터를 보면 진폭이 약1cm ... ...
있다? 없다? 거북선 실종사건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이원식 소장님은 첨단 장비와 충분한 시간을 들인다면 언젠가 거북선을
발견
할 수 있을 거라고 해요. 지금까지 발굴에 사용한 음파탐지기는 해저에 음파를 쏴서 되돌아 오는 신호를 분석해 바닷속에 무엇이 있는지 확인했는데, 거북선을 만든 나무와 진흙은 밀도가 비슷해서 구분하기가 어려워요. ... ...
2012 토슨 브릿지학회 피카소부터 마임까지 융합수학이 떴다!
수학동아
l
2012년 09호
있는 유클리드 공간을 무한차원으로 확장한 벡터 공간, 일명 힐베르트 공간이라는 것을
발견
했다. 수학이 있어 놀라운 공연의 세계!브릿지학회에 참가자들이 가장 손꼽아 기다리는 이벤트가 있다. 바로 가족의 날과 여행의 날 행사다. 이날은 연극은 물론 마임 공연으로 변신한 수학을 만날 수 있다. ... ...
[시사] 배트맨 VS 스파이더맨
수학동아
l
2012년 09호
구하는 밧줄로도 사용하지만 말이야. 그런데 바로 이 거미줄에서 놀라운 수학을
발견
할 수 있다고!다리를 이용해 거리를 측정하는 거미거미는 생존을 위해 거미줄을 친다. 주로 그 위에서 알을 낳고, 먹이를 잡는다. 그런데 신기하게도 거미가 집을 짓는 과정이 매우 수학적이다.거미는 집을 짓기 ... ...
[정보] 통계, ‘왜?’라고 물으면 문제없어!
수학동아
l
2012년 09호
사용되는 수리 이론을 연구했다. 또한 스위스의 수학자 요한 베르누이가 큰 수의
발견
등 확률의 개념을 정리하며 통계학이 더욱 발전했다.‘통계’에서 중요한 건 분석 능력!대부분의 사람들이 ‘통계’라고 하면 복잡한 숫자가 빼곡히 적힌 표를 떠올립니다. 그래서인지 통계는 재미도 없고 ... ...
Part 2. 엄마가 되면 뇌는 더 똑똑해진다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생쥐가 임신을 하면 전뇌 뇌실하영역에서 신경세포가 새로 만들어진다는 사실을
발견
했다. 이 신경세포는 후각구로 이동해 후각신경계를 이룬다. 연구자들은 어미가 새끼 냄새를 구분할 수 있는데는 이 신경생성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다. 신경생성은 사람 뇌에서도 관찰되는 현상이므로 ... ...
이전
441
442
443
444
445
446
447
448
4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