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약"(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제는 네발로봇 세상!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이끄는 한국계 미국인 데니스 홍 교수의 플랫폼으로 쓰이고 있다. OP는 오픈플랫폼의 약자로, 12월 최종결선에 똘망을 쓸지, 똘망을 업그레이드 한 새로운 로봇이 투입될지는 결정되지 않았다. 똘망은 전기모터와 감속기(자동차의 변속기와 같은 힘 조절 장치)를 하나의 모듈로 묶는 개방형 구조다 ... ...
- 바다 속 어디까지 가봤니?과학동아 l2013년 08호
- 나간다. 문제는 급히 상승했을 때다. 탄산음료 마개를 열 때 천천히 조심스럽게 열면 약간의 기포가 생기고, 아주 빨리 열면 큰 기포가 많이 생긴다. 마찬가지로 천천히 상승하면 문제가 없지만, 급히 상승하면 질소 기체가 큰 기포를 만들어 혈관을 막을 수 있다. 수면에 올라와도 여전히 질소 과포화 ... ...
- 빙하가 물러나면 자주범의귀가 핀다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식물이 흡수하는 이산화탄소 양이 약간 많고, 밤에는 토양에서 대기로 나가는 양이 약간 많다는 사실을 알아냈어요. 다른 고위도 극지와 비교할 때 이산화탄소 교환이 활발하다고 해요. 이유경 박사님은 “동토층을 연구하면 앞으로 북극 생태계가 어떻게 변할지 알 수 있을 것”이라고 ... ...
- 미토콘드리아 시계가 흔들리다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조금씩 흔들리기 시작했습니다. 미토콘드리아 DNA는 모계를 따라 유전됩니다. 이 말은 만약 아들만 낳고 딸을 낳지 않으면 그 미토콘드리아의 계통은 사라진다는 뜻입니다. 그 계통이 지니던 고유한 돌연변이도 함께 사라지겠죠. 즉 과거에는 우리가 현재 관찰할 수 있는 것보다 미토콘드리아 DNA의 ... ...
- [life & Tech] 여름 햇살 뒤흔드는 매미의 물리학과학동아 l2013년 08호
- 붙은 이름이다. 대표적인 남방계 매미로, 한국산 매미 중 가장 몸집이 크다. 몸 길이만 약 40mm다. 소리도 매우 커서 다른 매미가 같은 나무에서 경쟁하기 매우 어렵다. 가장 더운 8월에 번성하며 발견하기도 가장 쉽다. 왕매미라고 부르는 사람도 있지만 틀린 명칭이다.40대 이상 어른들은 “예전 ... ...
- 베컴과 조던의 공통점은?과학동아 l2013년 08호
- 기반이 되기 때문에 이렇게 부른다. 미국 클레이수학연구소는 이 문제에 100만 달러(약 11억 원)의 상금을 걸었으나 아직 아무도 상금을 받지 못했다.사실, 리만 가설에 대한 증명은 고사하고 그 자체가 무엇인지를 이해하는 것조차도 쉽지 않다. 리만 가설이 무엇인지 설명하려면 리만제타함수의 ... ...
- [시사] 야구 하는 고릴라가 나타났다! 미스터 고수학동아 l2013년 07호
- 물리학과 교수는 공이 배트에 맞아 35°로 날아갈 때 가장 멀리 날아간다고 계산했다. 만약 강한 뒷바람이 분다면 최적 각도는 40° 정도로 조금 높아진다.하지만 이를 다 생각하고 치는 선수는 없다. 하물며 고릴라인 링링이 이런 것을 다 계산하고 공을 칠 리가 없다.스포츠과학 전문가들은 홈런 ... ...
- [생활] 데카르트가 들려주는 무지개 이야기수학동아 l2013년 07호
- 측정해 삼각함수를 이용해 계산해 보았어요.그 결과 빨간색 빛은 늘 약 42°, 보라색 빛은 약 40°로 물방울과 만나 굴절된다는 사실을 수학적으로 증명할 수 있었습니다. 이 내용은 제가 쓴 이라는 책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한 걸음더 삼원색만 있으면 무지개 꽃도 가능!자, 무지개에 대한 ... ...
- [환상 퍼즐여행2] 종이와 연필이 만든 환상을 탈출하라!수학동아 l2013년 07호
- 펜슬맨은 뛸 듯이 기뻐하며 말했다.“날 따라와! 당장 녀석에게 데려다 주지!”폴 일행은 약간 불안한 마음이 들었지만, 그를 따라 페이퍼맨을 만나러 가는 수밖에 없었다.“펜슬맨이 다시 캔버스에 우릴 그리지 못하도록 철저하게 감시하면서 따라가자.”한참을 가다가 펜슬맨이 불쑥 말했다 ... ...
- 뜨거워진 북극, 세계의 화약고 될까과학동아 l2013년 07호
-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이중 천연가스와 천연가스 액화물이 78%를 차지하며, 석유는 약 22%로 900억 배럴이다. 가스하이드레이트는 세계 30% 가량, 철광석·니켈·구리·우라늄·다이아몬드 등 광물자원도 16% 가량이 북극에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임종세 한국해양대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는 “북극 자원 ... ...
이전4414424434444454464474484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