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마귀
사항
얼룩
닷
포인트
지점
간반
d라이브러리
"
점
"(으)로 총 11,688건 검색되었습니다.
황금바다에 빠지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황해는 대한민국과 중국 중 한 나라가 단독이 아닌 공동으로 관리해야 할 영역이라는
점
이 부각된 게 이번 포럼의 큰 의미였다.한·중의 여러 연구자들이 공통적으로 강조한 부분은 바로 ‘지속가능한’ 성장과 발전이다. 지속가능성의 의의는 환경을 보호하려는 노력과 지역주민들의 경제생활이 ... ...
세상의 시작과 끝이 궁금하다면?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운명! 문제는 이런 분야는 너무나 넓기 때문에 한 사람이 상세히 설명하기가 쉽지 않다는
점
이다. 또 이미 좋은 책이 많이 나와 있어 새로운 책이 성공하기도 어렵다. 과학책계의 레드오션이다.그렇지만 이런 레드오션에서도 독특한 아이디어와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상세한 설명으로 튀는 책이 새로 ... ...
PART 1. 누가 뉴턴을 죽였는가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뉴턴역학과 같아지며, 물체가 큰 경우에는 양자역학이 뉴턴역학과 같아진다.이런
점
에서 현대물리학은 고전물리학을 부정하는 게 아니라 고전물리학의 영역을 확장했다고 평가해야 할 것이다.우리 주변의 일상적인 영역을 설명하는 데는 고전물리학을 사용하는 것이 훨씬 간편하고 유용하다 ... ...
태양보다 100만 배 밝은 빛, 통신혁명 가져올까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빛을 강하게 모으는 반도체 장치. 광통신 분야에서 데이터 전송 속도와 전송량을 획기적으로 늘릴 것으로 기대된다.]재미 한인 과학자가 이끈 ... 끌어올릴 수 있다.주 교수는 “이번 기술은 적은 공간에 더 많은 빛을 모을 수 있다는
점
에서 광통신 분야에 활용 가치가 높다”고 설명했다 ... ...
북한은 왜 500km 고도에 위성을 쐈을까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연료는 최초 기동 속도, 즉
점
화되고 나서 로켓이 튀어 나가는 초기 속도가 빠르다는 장
점
도 있다.반면 액체연료는 군사용 미사일에 쓰기 어렵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다. 엄밀하게 말하면 이건 오해다. 액체연료를 쓰면 발사 직전에 연료와 산화제 (연료연소를 돕는 액체)를 몇 시간 동안 주입해야 ... ...
PART 4. 마음을 유전자에 담을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별명으로 불리며 유일한 주인공으로 군림했다.하지만 60주년을 맞은 오늘날, 이런 관
점
은 바뀌고 있다.네오 DNA 시대에, DNA는 서로 도우며 조화롭게 생명을 유지시키는 수많은 주역의 하나가 됐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NEO DNAPART 1. 당신이 알던 DNAPART 2. 새로운 시대가 열린다 - 네오 DNAPART 3 . ...
PART 3. 뉴턴 다시 부활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은하의 회전속도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고전적인 뉴턴역학을 크게 확장할 수 있다는
점
은 꼭 기억해 두자.아직은 갈 길 먼 수정뉴턴역학우주론을 포함한 현대 물리학은 실험적인 검증을 토대로 이론을 발전시켜나가고 있다.과학자들은 은하단 중심을 도는 은하의 회전 속도가 뉴턴법칙에 ... ...
셰일가스 채취, 지진 일으킨다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셰일가스를 채취하는 기술이다. 이 때 발생하는 폐수가 지진 활동을 부추길 수 있다는
점
은 논란거리였다.학회에 모인 과학자들은 폐수 처리 방법 중 폐수를 주입하는 땅 속 우물을 지진 활동의 주요 원인으로 보고 있다. 이같은 위협에도 불구하고 수압파쇄법이 이용되는 이유는 가장 저렴하기 ... ...
우리나라 하늘에서 춤추는 UFO 웨이브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기간 분석한 결과다.분명한 것은 한반도 상공에서 UFO 출현 목격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는
점
이다. 2012년에만 벌써 17건의 출현이 추정됐다. 정말 UFO가 맞다면 그들은 과연 한반도의 무엇이 궁금한 것일까 ... ...
통신 기술을 밝힐 나노 태양!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1호
미국 캘리포니아공과대학교의 주혁 교수를포함한 국제 연구팀은 빛을 아주 작은
점
에 집중해 태양 표면보다 100만 배나 밝은 빛을 만들어냈답니다. 이 ‘미니 태양’의 크기는 100제곱 나노미터(㎚, 1㎚=1억 분의 1m). 머리카락 굵기의 1억 분의 1밖에 안 되는 아주 작은 크기지요. 이런 작은 공간에 ... ...
이전
441
442
443
444
445
446
447
448
4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