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d라이브러리
"
큰
"(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식] 매미의 한여름 세레나데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토종 매미인 참매미는 “맴맴맴맴매앰~” 하고 일정한 울음소리로 운다. 몸집이
큰
말매미는 “따라라라라~”하고 리듬 없이 운다.사랑의 세레나데를 부르는 건 수컷이다. 수컷 매미가 작은 몸집으로도 우렁차게 소리 낼 수 있는 비결은 몸속이 절반 이상 비어 있기 때문이다. 마치 나무로 된 기타의 ... ...
[수학뉴스] 사회적 연결망에서는 작은 고추가 맵다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활용해 매우 정밀하게 계산했지요. 이것을 소셜네트워크에 적용한 결과, 가장 영향력이
큰
것은 사용자가 1억 명이 넘는 트위터나 페이스북이 아니었습니다. 연결 수는 적지만, 다리 역할을 하는 작은 소셜네트워크가 슈퍼 전파자였어요.이렇게 슈퍼 전파자를 찾는 일은 실생활 곳곳에서 매우 중요한 ... ...
PART 2 학문을 품은 브릭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만든 생산품과 팔린 제품의 수를 최대한 비슷하게 만들어 재고를 최소화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장 교수팀은 이 문제의 해결 방법을 찾기 위해 2m 길이의 브릭 모형 공장을 직접 만들었다. 이때 브릭에 모터와 중앙처리장치를 결합한 레고사의 ‘마인드스톰’을 활용했다. 이렇게 만든 브릭 모형 ... ...
[지식] 슬쩍 슬쩍 글 도둑 표절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어절의 개수다. 이때 출처가 표시된 어절은 다른 글에서도 발견됐더라도 제외한다.
큰
따옴표, 주석 등을 써서 다른 글에서 인용했다는 것을 밝힌 문장은 표절로 보지 않는다.표절한 정도를 정확히 계산하려면 우연히 같을 수 있는 문장을 가려내는 것도 중요하다. 하지만 컴퓨터는 사람처럼 판단할 ... ...
우주 탐사, 제2의 지구를 찾아서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그보다 더 많을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케플러 우주망원경은 중심별 가까이에 있는
큰
행성만 관측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지구형 행성도 훨씬 더 많을 것이란 얘기다. 지구형 행성은 수십 억 개호주국립대(ANU)와 코펜하겐 닐스보어연구소의 공동 연구팀은 외계행성에 관한 NASA의 관측 데이터를 ... ...
PART2. 무서운 공포영화엔 이런 장면 꼭 있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대중적인 영화로 사랑 받는 데엔 ‘호러퀸’들의 역할이 컸다. 공포에 질린 그들의
큰
눈망울과 귀가 아플 정도의 비명소리는 우리를 소름 끼치게 하기 충분했다. 공포영화에 나오는 여배우의 목소리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귀신을 봤을 때 내지르는 높은 음역대(300Hz 이상)의 목소리와 ... ...
[Knowledge] 한-미 협력으로 중국발 초미세먼지 밝힌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김 교수는 “이번 캠페인을 진행하며 얻는 정보는 나중에 환경위성 운용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2019년이면 우리나라의 환경위성 ‘GEO-KOMPSAT-2’가 우주로 발사될 계획이다. 성공한다면 세계 첫 정지궤도 환경위성이다. 동북아시아 일대를 1시간에 한 번씩 촬영할 수 있다. 판도라처럼 ... ...
볼넷을 사랑한 4번타자, 평가는?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그렇다고 해서 이병규가 특히 득점권에서 약한 것은 아니다. 평상시와 득점권에서 OPS는
큰
차이가 없고 심지어 출루율은 더 뛰어나다. 게다가 이병규는 원래 타율보다 출루율이 훨씬 높은 전형적인 OPS 타자다. 이병규는 득점권에서도 본인이 원래 하던 대로 안타보다는 볼넷에 집중하고 있는 것 ... ...
임미희 자연과학부 교수 - 알츠하이머 고치는 화학자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큰
희망이죠.” 임 교수는 이보다 알츠하이머에 대한 우리나라의 고정 관념이 더
큰
문제라고 말했다. 임 교수가 유니스트에 오기 전 연구했던 미국 미시간주는 알츠하이머에 대한 인식이 우리나라와는 사뭇 달랐다. 우리나라에서는 치매를 부끄러운 병이라고 생각해 환자를 숨기려는 경향이 ... ...
바지락 VS 꼬막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바지락을 좋아해요. 바닷가에서 발견되는 구멍이 뚫린 조개껍데기가 바로
큰
구슬우렁이에게 잡아먹힌 바지락의 껍데기랍니다.재첩바지락과 비슷하게 생긴 이 조개는 재첩과에 속하는 ‘재첩’이다. 다 자라도 길이가 2cm 내외로 다른 조개에 비해 크기가 훨씬 작다. 재첩은 하천이나 강에서 사는 ... ...
이전
441
442
443
444
445
446
447
448
4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