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물리광학
광학
물리학
뉴스
"
물리
"(으)로 총 5,296건 검색되었습니다.
일본의 괴짜 발명가, ‘호신용 가발’ 내놔
팝뉴스
l
2016.03.11
최신 발명품은 ‘호신용 가발’이다. 내부에 금속과 쇠줄이 들어 있다. 그래서 상대방의
물리
적 공격으로부터 머리를 보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줄을 한손에 잡고 상대에게 던질 수도 있다는 설명이다. ‘호신용 가발’이 최근 SNS에서 화제를 낳고 있는 이유는 그 모습이 미국 공화당 유력 대통령 ... ...
[알파고 2승] AI가 그리는 잿빛 vs. 장밋빛 미래
2016.03.11
인간의 통제를 넘어설 것이라는 우려가 ‘반(反)AI’파들의 대표적인 주장이다. 천재
물리
학자 스티븐 호킹은 최근 영국 일간 인디펜던트와의 인터뷰에서 “인류는 AI를 통제하지 못하고 오히려 의존하게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지난해 5월엔 “100년 안에 인류가 인공지능을 갖춘 기계에 ... ...
세라믹 인공뼈, 3D프린터로 만든다
2016.03.08
소재를 적용한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다. 윤 연구원은 “바이오세라믹은 화학적,
물리
적으로 인체 뼈와 유사해 뼈의 기능을 효율적으로 대체할 수 있다”며 “환자의 수술 부위 형상, 곡률 및 사이즈 등을 고려해 제작이 가능하고 수술 후 미적 만족도 역시 높아 긍정적 효과가 많다”고 말했다. ... ...
이세돌-알파고 9일 바둑 대결… AI석학이 본 인공지능 현주소
동아일보
l
2016.03.08
※ 토마소 포조 MIT 교수는 △이탈리아 제노바 출생 △1970년 이탈리아 제노바대에서 이론
물리
학으로 박사 학위 취득 △독일 튀빙겐 바이오 사이버네틱스 막스 플랑크연구소 근무 △현재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뇌인지과학과 교수로 재직 중. MIT 산하 뇌마음기계센터장 겸임 정세진 mint4a@donga ... ...
지구에서 ‘가장 먼 은하’ 관측 성공
2016.03.06
약 135억 광년 거리의 깊은 우주까지 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 결과는 ‘천체
물리
학저널(Astrophysical Journal)’ 8일자에 실릴 예정이다. 대폭발(빅뱅)부터 현재까지 팽창해온 우주. 이번에 연구팀이 관측한 은하 ‘GN-z11’는 이전까지 가장 멀리서 관측된 천체보다 2억 광년 더 멀리 있는 ... ...
우주는 지금 ‘양자통신 전쟁’ 중
2016.03.04
단계 국내에서는 양자통신이 아직 유선 연구 수준에 머물러 있다. 김윤호 포항공대
물리
학과 교수는 “무선 양자통신은 지상에서 거리를 늘려 가며 시험한 뒤 위성을 쏘아 올려 우주에서 실험하는 게 일반적”이라며 “국내에는 지상 시험을 진행할 만큼 길고 탁 트인 장소를 찾기 어렵고 비용도 ... ...
지구의 109배 태양 vs. 3분의 1 수성, 천체 크기는 왜 다를까
2016.03.02
작은 천체로 분산된 것으로 보인다”며 “형상법칙을 천체에 적용한 이번 연구가 천체
물리
학자들에게 새로운 영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독거미 ‘타란툴라’의 독으로 통증 잡는다
2016.02.29
사용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내고 27일 미국 로스엔젤레스에서 개최된 2016년 ‘생물
물리
학회 60주년 연례 회의’에서 발표했다. 타란툴라 거미는 영화 등을 통해 치명적인 독을 가진 것처럼 묘사되지만 실제로는 비교적 약한 신경계통의 독을 가지고 있다. 글렌 킹 퀸즈랜드대 ... ...
[프리미엄 뷰]LG G5, 새로운 광각세상을 열다
동아일보
l
2016.02.29
테마파크 같은 제품이다. 세계 최초로 모듈 방식(Modular Type)을 적용해 외부 디바이스와의
물리
적 결합을 통한 ‘모바일 에코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전 세계 고객들이 상상하지 못했던 즐거운 경험을 제공한다. LG 전자 MC 사업본부장 조준호 사장은 “LG전자는 스마트폰 스크린 속에 갇힌 본질적인 ... ...
[책의 향기]100년 만에 받은 선물… 중력파, 우주의 窓을 열다
동아일보
l
2016.02.27
가능성이 매우 높은 신호가 검출됐다는 e메일을 받고 내용을 수정했다고 한다. 평소 현대
물리
학에 관심이 있다면 내용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수준으로 쓴 것이 큰 장점이다. 저자는 “전자기파 발견 뒤 전파 천문학의 시대가 열린 것처럼 이번 중력파 검출로 우주를 바라보는 새로운 창문이 ... ...
이전
441
442
443
444
445
446
447
448
4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