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뿔
모
모서리
귀퉁이
각도
호른
각성
뉴스
"
각
"(으)로 총 5,345건 검색되었습니다.
[바둑과 처세술⑥] 어느 집단에서든 환영 받는 사람이 되자!
2016.09.12
각각
의 부분들이 서로 잘 어우러지며 전체적 목적에 기여하는 것이다. 회사에 비유하면
각
직원들이 서로 협력하여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는 것을 말한다. 이것의 반대는 서로 갈등과 대립을 하며 삐걱거리는 것이다. 고수들은 갈등이 아닌 협력 구도를 만들기 위해 고심한다. 예를 들어 새로운 정석 ... ...
“인간은 필요하다! 인공지능은 관우에게 주는 적토마”
바이라인 네트워크
l
2016.09.09
일환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다학제진료란 환자를 중심에 두고 해당질환과 관련 있는
각
과 임상의사들이 한 곳에 모여 진단과 치료방법을 논의하는 것을 말한다. 왓슨 포 온콜로지는 이 다학제 진료를 위한 논의의 자리에 인공지능이 하나 추가된 것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이언 단장은 “다학제 ... ...
갖고 놀기만 했는데, 호기심과 창의력이 쑥↑?
동아사이언스
l
2016.09.09
베스트셀러 지구본 제조사입니다. 스텔라노바사의 지구본은 선명하고 깔끔한 인쇄로
각
대륙의 위치를 정확히 볼 수 있고 특히 조명을 켜면 육지/해저 지형도가 나타나면서 은은한 불을 밝혀 인테리어 효과로도 만점이라고 하네요. 낮에는 호기심 대장인 우리 아이의 즐거운 놀이교구로, 밤에는 ... ...
우리 아이는 혹시 자폐증? 스마트폰 게임으로 진단가능해진다
2016.09.08
궁극적으로는 기계가 학습하는 효과를 얻도록 하는 것 ※필자소개 민혜영. YBM시사에서
각
종 영어 학습 월간지 및 내셔널 지오그래픽 단행본의 에디터를 거쳐 현재는 프리랜서 외신 번역 및 에디터로 활동하고 있다 ... ...
콜레라, 혈액형 O형이라면 특히 조심해야
2016.09.07
1970년대 밝혀졌다. 예를 들어 1991년 페루에서 콜레라가 발생했을 때 O형인 사람은 심
각
한 설사로 입원한 비율이 여덟 배나 더 높았다고 한다. 이런 역학적 통계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혈액형이 왜 증상의 경중에 영향을 미치는지는 잘 모르는 상태였다. 학술지 ‘열대의학 및 위생 미국저널’ ... ...
“北 응용과학과 南 첨단과학 만나면 시너지 클 것”
2016.09.07
최 단장은 “연구소에서 원천기술을 개발해 기업에 이전하는 남한과 달리, 북한은
각
기업에 ‘과학자돌격대’를 파견해 현장에서 문제를 직접 해결하는 방식”이라며 “북한의 국가과학자들이 영양가루 같은 어린이식료품 생산 공장을 무인화, 자동화한 사례가 대표적”이라고 설명했다. 최 ... ...
우주탐사 로봇 ‘필레’ 다시 찾았다
2016.09.06
혜성 67P/추류모프-게라시멘코에서 발견된 필레의 모습. 태양광 발전을 하기 어려운 그늘에 있다. - ESA 제공 유럽우주국(ESA)이 2년 전 우주 미아가 됐던 혜성 탐 ... 하얗게 반짝이는 것이 필레다. - ESA 제공 로제타가 찍은 사진을 확대한 모습. 필레의
각
부분을 식별할 수 있을 정도다. - ESA ... ...
“무한도전에 나왔던 영화 스태프님, 이제 영수증 그만 붙이세요”
바이라인 네트워크
l
2016.09.06
아니라 모든 기업은 경비를 관리해야 하고, 영수증 붙이는 일과 같은 경비관리 업무는 생
각
보다 많은 시간을 잡아먹습니다. 영화 아수라의 스태프의 발언은 본인이 영수증 붙이는데 많은 시간을 쓰고 있음을 드러냅니다. 이 귀찮은 영수증 붙이는 귀찮은 일을 안 할 수는 없을까요? 해결책을 ... ...
“논문 무료로 공개하라”…세계는 지금 ‘오픈 액세스’ 혁명
2016.09.04
분야에선 과거부터 국경 없이 공동연구를 많이 해 다들 ‘지식은 공유해야 한다’는 생
각
을 갖고 있었다”며 “스콥3가 도입되고 과거보다 논문을 읽고 공유하는 게 쉬워져 연구에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스콥3가 물리학 분야에 국한된 운동이었다면 한 걸음 더 나아가 이를 모든 과학 분야로 ... ...
노벨상 수상자들의 편지 “GMO 안전성 논쟁 종지부 찍자”
과학동아
l
2016.09.04
교수 역시 같은 의견을 보였다. “생존율과 발암성을 보기 위해서는 암수
각
군당 50마리 이상의 동물을 사용해야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볼 수 있다고 인정되는데, 이 논문에서는 10마리씩의 동물만을 이용했다. 또 독성시험에 대해서는 최종 보고서 형태로 모든 결과를 기재해 종합적인 ... ...
이전
442
443
444
445
446
447
448
449
4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