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뉴스
"
공학
"(으)로 총 8,677건 검색되었습니다.
해수전지로 식수·전기 부족한 제3세계 아이들 돕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5.03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김차중 디자인 및 인간
공학
부 교수와 김영식 에너지및화학
공학
부 교수 연구팀이 생활담수화 및 조명 기능을 지닌 제품 ‘아쿠아시스’를 공동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해수전지 기술과 디자인 작업이 결합한 이 제품 디자인은 지난 3월 ‘독일 iF 디자인 어워드2020’에서 ... ...
[표지로 읽는 과학]세라믹 신소재, 수 초만에 가공하는 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0.05.03
0도의 초고온을 순간적으로 발생시키는 탄소 소재다. 왕청웨이 미국 매랠랜드대 재료과학
공학
과 연구원팀은 초고온 공정을 이용해 식기부터 첨단재료까지 널리 쓰이는 무기질 소재인 ‘세라믹’을 수 초 만에 제작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을 개발해 사이언스 1일자에 발표했다. 세라믹은 작은 입자 ... ...
[프리미엄 리포트] "원숭이에게 코로나19 DNA 백신 시험 중"
과학동아
l
2020.05.01
중에도 기자에게 눈길 한 번 돌리지 않았다. 4월 8일 경기도 성남시 판교에 위치한 생명
공학
기업 제넥신 유전자생산기술연구소에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병(코로나19) 백신 개발이 그야말로 숨 가쁘게 진행되고 있었다. “대장균을 키우는 배양기입니다. 배양 중인 대장균에는 코로나19 백신에 ... ...
"5월 중순이면 렘데시비르 결과 확인 가능...국내 긴급사용 위해 최선 다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0.04.30
이뤄지고 나아가 사용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렘데시비르는 미국생명
공학
사 길리어드사이언스가 개발중인 항바이러스제다. 원래 에볼라 치료제로 개발됐지만 임상 최종에서 실패하고 현재 코로나19 용으로 다시 임상 3상을 실시하고 있다. 길리어드사 주도의 임상과 별도로, NIH는 ... ...
"렘데시비르 코로나19 치료기간 31% 단축 효과 있다" NIH 임상결과 초안 발표
동아사이언스
l
2020.04.30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 코로나19) 치료제 후보로 주목받고 있는 미국 생명
공학
사 길리어드 사이언스의 ‘렘데시비르’에 대해 미국국립보건원(NIH)이 치료 기간을 31% 단축하는 등 효과를 일부 확인했다고 29일(현지시간) 공식 발표했다. 아직 동료평가를 거쳐 논문으로 출판되지는 ... ...
박병규 버지니아대 교수, 제50대 재미한인과학자협회 선출
동아사이언스
l
2020.04.29
박병규 미국 버지니아대
공학
시스템 및 환경학과 교수 박병규 미국 버지니아대
공학
시스템 및 환경학과 교수가 제50대 재미한인과학자협회(KSEA) 회장으로 ... KSEA 행사와 프로그램들을 1년간 이끌게 된다. 현 회장인 오준석 회장(웨스턴미시간대 토목
공학
과 교수)의 임기는 올해 6월까지다 ... ...
코로나19 사태로 오히려 한걸음 가까워진 재미과협…'스타 과학자들' 온라인서 만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29
’를 온라인으로 개최한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콘서트는 세계 최고 수준의 과학,
공학
석학들의 강의를 직접 듣고 온라인으로 소통할 수 있는 기회다. 재미과기협은 “석학들을 온라인에서 만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과학기술 분야에 대한 관심을 확대하고 청소년들이 미래 과학기술 리더로 ... ...
남아공 대학에서 온라인으로 서울대 공대 정규
공학
과목 듣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29
1위 대학인 케이프타운대에 교육 한류를 전파하게 된 데 의미가 크다”며 “글로벌
공학
교육센터를 통해 온라인 공간에서 교류하며 국제적 시야를 넓히는 배움의 장이 형성되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 ...
늘어나고 쪼그라들면 색이 바뀐다…웨어러블기기용 변형 감지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4.28
색을 보면 변형 정도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연구를 주도한 안성훈 서울대 기계
공학
부 교수(왼쪽)와 전영준 서울대 정밀기계설계공동연구소 연구원이 개발한 센서(작은 사진)를 들고 포즈를 취했다. 서울대 공대 제공 전 연구원은 “이 센서는 유연 나노임프린팅 공정을 통해 제작했으며, 추가 ... ...
이태우 서울대 교수, 미국재료학회 석학회원 선임
동아사이언스
l
2020.04.27
2013년 현택환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입자연구단장과 2018년 성태연 고려대 재료
공학
부 교수에 이은 세 번째 선임이다. 로드니 루오프 IBS 다차원 탄소재료 연구단장은 2013년 텍사스대 재직 당시 선임됐다. MRS는 2008년부터 올해까지 총 298명을 석학회원으로 선임했다. 서울대는 “이태우 교수는 ... ...
이전
442
443
444
445
446
447
448
449
4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