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수
사이즈
부피
넓이
규모
칫수
용적
뉴스
"
크기
"(으)로 총 5,901건 검색되었습니다.
수능 과학 문제오류…어떤점 틀렸을까
2016.11.28
자기장 안의 물체가 받는 힘은 물체의 전하량과 입자의 속도를 곱한 값에 자기장의
크기
를 곱한 것(qvB)과 같다. 하지만 입자가 이동하는 방향과 자기장 사이의 각도가 90도 일 때만 qvB라는 공식이 성립하고, 나머지 경우엔 각도를 고려한 qvBsinθ 식을 적용해야 한다. 물리II 9번의 경우, 문제에서 ... ...
메기 잡는 개 ‘놀라워라’
2016.11.26
밖으로 나온다. 개의 입에는 물고기가 있다. 메기다.
크기
도 월척급이다. 개의 상체 정도
크기
가 된다. 팝뉴스 제공 물고기는 놀라 퍼덕거리지만 개는 놓아주지 않는다. 나무 테크 위에 떨어진 물고기는 버둥거리는데 개는 가만히 바라보면서 감시하는 것 같다. 주변에 다른 개들이 몰려와 구경을 ... ...
VR 헤드셋 쓰고 드론 띄우자 “세상 내려다보는 듯” 황홀
과학동아
l
2016.11.25
수석부사장(47)이 직접 기자를 맞았다. 건물 안은 완전히 딴판이었다. 천장에는 모양과
크기
가 제각각인 드론이 곳곳에 매달려 있고, 벽에는 강렬한 원색 그림이 많아 흡사 현대식 미술관 같았다. 키가 큰 몇몇 패럿 직원은 천장에 매달린 드론에 자신의 머리를 부딪히지 않으려고 조심스레 피해 ... ...
썩는 반도체 나올까, 종이로 반도체 기판 만들었다
2016.11.25
없다고 생각됐다. 조 교수팀은 실험을 통해 종이 표면의 섬유(셀룰로오스) 가닥이 광소자
크기
보다 작을 경우, 이 위에 광소자를 올려도 높은 성능을 보인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조 교수는 “전자제품의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교체 주기도 짧아지고 버려야 할 전자회로의 양도 급격히 늘고 ... ...
‘3진법컴퓨터’ 개발 가능한 차세대 반도체 소재 등장
2016.11.24
심하다”면서 “3진법 트랜지스터를 사용하면 소자의 수를 줄일 수 있어 기기의
크기
와 전력소모량을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 7일자에 실렸다 ... ...
스코틀랜드에서 희귀한 하얀 무지개 ‘포착’
2016.11.24
불린다. 안개 속의 물방울에 햇빛이 반사되면서 무지개가 생겨나는데, 물방울
크기
가 아주 작아 무지개의 색깔이 옅어진다. 그러니까 완전히 하얀 것이 아니다. 무지개의 바깥 경계는 약간 붉고 안쪽 경계는 푸른색을 띤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 ...
장내미생물이 건강에 영향 미치는 까닭 밝혔다
2016.11.24
페데리코 레이 위스콘신메디슨대 세균학과 교수는 “사람의 장내 미생물도 작은
크기
의 지방산을 내놓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며 “사람의 장내미생물이 비슷한 역할을 하는지 추가로 연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연구결과는 생명과학 학술지 ‘몰레큘러 셀(Molecular Cell)’ 23일자에 ... ...
뇌 속 면역 담당한 미세아교세포의 두 얼굴
2016.11.23
종류로 나눠지는데 그 가운데 하나가 미세아교세포(microglia cell)이다. 생긴 건 비슷한데
크기
가 좀 작다. 그런데 사실 미세아교세포는 다른 교세포와는 태생이 다르다. 즉 신경계의 세포가 아니라 면역계의 세포이기 때문이다. 사람의 경우 임신 한 달 무렵 뇌가 되는 부분으로 들어간 원시 대식세포가 ... ...
차세대 TV ‘퀀텀닷’ 더 얇고 더 저렴해진다
2016.11.23
퀀텀닷 발광 소자를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고 23일 밝혔다. 퀀텀닷은 입자 하나의
크기
가 10~15nm(나노미터=10억분의 1m) 정도인 발광(發光) 소재로, 모든 색을 표현할 수 있으면서도 에너지 효율이 100%에 가까운 것이 장점이다. 낮은 전기사용량을 유지하면서도 획기적인 화질 개선이 가능해 미래형 ... ...
치매 원인물질 두 종류 한 번에 치료한다
2016.11.21
뇌세포를 사멸시킨다. 알츠하이머병 환자는 이들 단백질의 이상 현상으로 인해 뇌의
크기
가 작아지고 인지능력에도 문제가 생긴다. 연구진은 하나의 단백질만을 표적으로 삼던 기존 약물과 달리 세계 최초로 두 가지 단백질에 동시에 작용하는 물질을 개발했다. 연구진은 동물실험을 통해 이 ... ...
이전
442
443
444
445
446
447
448
449
4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