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시작
최초
서두
초기
머리말
개시
d라이브러리
"
처음
"(으)로 총 8,210건 검색되었습니다.
남녀까지 식별하는 위성사진술
과학동아
l
200406
분석함으로서 가까운 미래를 예측하는 토대를 마련해 준다는 잇점도 있다.원격탐사가
처음
도입된 것은 프랑스의 뚜르나숑이 열기구를 이용해 인류 최초로 공중사진을 촬영했던 1858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뒤 1909년에는 근대화된 항공기를 이용해 최초의 항공사진을 촬영했고 이후 1,2차 ... ...
태양계 밖 행성 첫 촬영
과학동아
l
200406
태양계 밖에서 다른 별의 주위를 도는 행성의 모습이 허블망원경을 통해 사상
처음
으로 촬영됐다고 영국 BBC 인터넷판이 5월 12일 보도했다. 지구에서 1백광년 떨어진 곳에 위 ... 0여개가 발견됐지만 이는 모두 간접적인 방법으로 확인했을 뿐 직접 이미지를 찍은 것은 이번이
처음
이다 ... ...
시동걸린 과학계 '히딩크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406
적극적인 참여의사를 밝혔다.러플린 교수는 1996년 아·태이론물리센터 현판식 때
처음
인연을 맺은 이래 수차례 한국을 방문해 이미 국내에 폭넓은 인맥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KAIST 총장 공모에 참여하게 된 것도 국내 인맥의 적극적인 권유와 유치활동 때문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 ...
레이저 기술이 만드는 빛의 연금술
과학동아
l
200406
설명하기 위해서는 비선형광학이라는 개념을 끌어와야 한다. 비선형광학 현상은
처음
루비 레이저가 선보인 바로 다음해인 1961년 미시간대 프랑켄 교수 연구팀이 발견했다. 물질에 들어가는 입사광의 세기에 비례하는 흡수∙발광 등 일반 현상 외에 이에 비례하지 않는 여러가지 비선형현상이 ... ...
과학으로 승부한다 - '무어의 법칙' 을 추월한 괴력의 삼성전자
과학동아
l
200406
4조원(27억불)에 달한 데 반해 인텔은 17억 달러에 그쳤다. 게다가 올해에는 사상
처음
으로 삼성전자의 시설 투자 규모가 43억 달러에 이르러 인텔(38억 달러)을 앞설 것으로 보인다.이처럼 세계를 제패하는 삼성전자의 반도체 파워는 어디에서 올까. 삼성전자 황창규 사장은 “삼성의 힘은 우수 인재 ... ...
오르락 내리락 변덕쟁이 수면
과학동아
l
200406
공기를 주입하면 진공용기 안의 기압이 증가하면서 시험관 속 수면은 다시 상승해 결국
처음
의 수면 높이로 되돌아간다. 시험관에 물보다 밀도가 작은 액체를 넣고 실험하면 수위의 변화가 물보다 훨씬 많이 일어나고, 밀도가 큰 액체로 실험하면 수위 변화가 적을 것이다.▶▶▶양초 수에 따라 왜 ... ...
01. 타고난 성격, 바꾸려면 부러질수도
과학동아
l
200405
연구를 진행해 특히 성격에 유전적 영향이 강하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부샤드는 “
처음
연구를 시작했을 때 나는 이런 특성이 유전자의 영향을 받는다고 믿지 않았다” 며 “그러나 결국 증거를 받아들일 수밖에 없었다” 고 말했다.성격은 크게 5가지 독립된 주요 특성으로 나눠진다. 즉 지적 ... ...
물방울 카메라와 종이를 확 바꾼다
과학동아
l
200405
오늘날 새롭게 주목을 받는 것은 1870년대에 전기로 표면장력을 제어할 수 있다는 사실을
처음
발견 했기 때문이다. 수조에 물을 담은 후 그 안에 가는 관을 넣으면 물이 수조 안 수면보다 더 높게 올라간다. 모세관 현상인 것이다. 이때 수면의 높이가 관의 벽쪽이 높고 중심이 낮다.리프만 박사는 ... ...
인공피부 발명한 화장품 글로벌기업 로레알
과학동아
l
200405
막는 세라마이드R, 자외선 차단제 멕소릴, 나노벡터를 이용한 나노화장품이 여기서
처음
나왔다. 특히 천연 세라마이드에서 영감을 얻어 만든 세라마이드 R이란 물질은 샴푸에 넣어 머리카락의 손상을 막게 한 것으로 유명하다.온천수 속의 플랑크톤에서 추출한 활성성분은 태양빛에 의한 ... ...
창의력과 끼로 승부한다
과학동아
l
200405
검은 초석은 건물 설립에 공헌한 기증자의 이름이 새겨 있다. 정문술 빌딩. 지난해 10월
처음
문을 연 이 건물은 신생 바이오시스템학과가 쓰고 있다. KAIST에 들어선 수많은 건물 가운데 유일하게 사람에게서 이름을 따온 건물답게 남다른 사연이 있다.20년뒤 전체 산업 이끌 학문KAIST ... ...
이전
443
444
445
446
447
448
449
450
4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