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건맨
사항
점
개조
심줄
색
키이
d라이브러리
"
건
"(으)로 총 6,550건 검색되었습니다.
물리학자가 우주상수에 집착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관련이 있다는 의미다.미세구조 상수가 가장 기본적인 상수 중 하나로 등극한
건
물리학에서 가장 성공한 이론 중 하나로 꼽히는 양자전기역학(QED)이 등장하면서부터다. 양자전기역학은 전자기적 현상을 양자역학적으로 풀어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α 값이 달라지면 우리 우주의 핵심적인 특성들에 ... ...
최종경선! 최초의 인류는 누구?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하지만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파렌시스의 발견이 고인류학 역사에 큰 획을 긋는 사
건
이 된 이유는 따로 있습니다. 바로 두 발로 걷는 특징, 즉 직립보행이 큰 두뇌보다 인류 진화 역사에서 먼저 등장했다는 사실을 밝혀낸 것입니다.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파렌시스의 두뇌는 침팬지 정도 크기에 ... ...
너 자신을 알면 연애가 힘들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나쁜 놈이 되는 것만은 피해서 다행이라고 생각하는 소년이었습니다.그렇다고 해서 좋은
건
아니었습니다. 자기객관화가 심할수록 연애의 만족도는 떨어졌습니다. 아무래도 자신의 외모를 객관적으로 보면 만족도와 자신감이 떨어진다는 뜻입니다. 상대객관화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자기를 얼마나 ... ...
입시를 목표로 공부하지 마세요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상을 받아 의대를 가려고 했다면, 제가 3학년 때 서울시 수학·과학 경시대회에 나간
건
미친 짓이나 다름없어요. 거의 과학고 2학년이 보는 시험이에요. 그렇지만 저는 그냥 좋아서 공부했고 계속 공부하는 것이니 시험도 보고 그러는 것입니다.”이런 하영 군에게 수능과 내신 성적을 반영하지 않는 ... ...
우주망원경 총정리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이 꿈을 실현시키려고 오랫동안 미국항공우주국(NASA)과 정부를 설득했다.꿈이 이뤄진
건
무려 40여 년 뒤였다. 1990년 4월 24일에 발사된 우주왕복선 디스커버리 호에는 최초의 우주망원경인 허블우주망원경이 실려 있었다. 우주 팽창을 뒷받침하는 증거인 적색편이를 발견한 미국 천문학자 에드윈 ... ...
자연치즈 모조치즈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하지만 현실적으로 저렴한 가격에 비슷한 맛을 즐길 수 있게 해주는 대체식품을 무조
건
배척할 수는 없다. 그보다는 정확한 정보를 바탕으로 스스로 판단해 소비하는 게 현명한 일이 아닐까 ... ...
과학도시에 성공 방정식이 있다면?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사회학과의 매리 월쇼크 교수는 과학자들을 끌어들이는 경쟁력 있는 과학도시의 요
건
으로 세 가지를 꼽고 있다. 첫 번째는 자유로운 연구 분위기다. 양승우 서울시립대 도시공학과 교수는 ‘과학동아’ 1월호 기고문에서 “도시는 혈연이나 지연에 의해 만들어진 관계가 아니라 서로의 목적이 ... ...
막연한 꿈은 그만. 구체화하라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않은데 국제중에 가서 고생했잖아. 수학, 과학 준비가 완벽하지 않은데 영재고에 가는
건
욕심이야. 너처럼 장점이 많은 학생이 그럴 필요 없어. 자기 장점을 살릴 수 있는 곳으로 가는 것이 좋아. 괜히 영재고에 가서 공부 뒤쫓아 가느라 책도 못 읽고 반장도 못하는 것보다 너를 알아주고 기회가 ... ...
별이 반짝, 만화도 반짝 박석재 연구위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명탐정 코난: 칠흑의 추적자’는 북두칠성을 이루는 각 별의 이름을 이용한 사
건
을 구성했는데, 천문학자인 저도 깜박 속을 뻔했답니다. 블랙홀 박사, 박석재 연구위원은 어릴 때의 꿈을 절대로 포기하지 말라고 당부하셨어요.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사람이 되지 않아도 자신의 꿈을 이루는 것은 ... ...
디지털 시대의 눈
건
강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줄어. 눈물은 눈을 깜빡이면서 나오는데 깜빡이는 횟수가 줄면 눈물이 적게 나와 그만큼
건
조해지는 거야.컴퓨터 모니터를 볼 때는 20분 정도 본 뒤 20초 이상 쉬고, 이때 6~7m 떨어진 먼 곳을 바라보는 게 좋아. 또 스마트폰은 가능한 글자를 크게 해서 멀리서 보는 게 좋아. 밝기도 너무 어둡거나 너무 ... ...
이전
443
444
445
446
447
448
449
450
4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