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에네르기
힘
활력
원기
기력
파워
energy
d라이브러리
"
에너지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20세기를 바꾼 아인슈타인의 논문3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있었다. 독일의 물리학자 플랑크(1858-1947)였다. 그는 1900년 빛이 진동수에 비례하는
에너지
덩어리로 방출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그러나 양자물리학의 세계를 처음으로 연 그의 연구는 아인슈타인이 광전효과를 설명하기 전까지 주목받지 못했다. 결국 플랑크는 아인슈타인 덕분에 빛을 보았고, 191 ... ...
DNA분자기계로 뇌혈관 청소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실용적인 장치가 되기에는 더 깊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한다. 시먼도 이 장치가
에너지
를 전달할 수 있는지 여부는 알 수 없다고 하면서 “중간단계는 아무도 모르며 시행착오가 발명품을 쓸모있게 만들어주기를 바란다”며 후속연구를 기대하고 있다 ... ...
책상 - 보면 볼수록 새로운 과학백화점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빛이 방출되게 된다.오래된 뼈에 들어있는 인 화합물이 낮 동안에 빛을 받아서 모아둔
에너지
를 밤에 방출하는 인광도 사실은 형광과 매우 비슷한 현상이다. 형광 색소의 경우에는 색소에 쪼여준 빛에는 없는 색깔의 빛이 나오기도 하고, 모든 색소 분자들이 마치 작은 전구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 ...
① 우주 탄생에서 박테리아 등장까지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메탄가스를 생성하는 화학독립영양생명체였는지는 확실치 않다. 약 30억년 전 태양
에너지
를 사용해 광합성을 수행할 수 있는 박테리아(cyanobacteria)가 출현했다. 현재의 조류(blue-green algae)와 유사하게 엽록소를 가졌다. 세포핵을 갖는 진핵생물의 출현은 15억년 전으로 추정된다. 단세포 생명체인 ... ...
두 얼굴을 가진 암모니아 합성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질소와 수소를 반응시켜 암모니아를 얻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었지만, 아무리 노력해도
에너지
소모가 적은 경제성 있는 암모니아를 생산할 수 없었다. 암모니아만 생산할 수 있다면 그것을 산화시켜 질산을 만들고 다시 질산염을 만드는 것은 땅 짚고 헤엄치기였다.그런데 1905년 프리츠 하버가 ... ...
인류의 건강을 지켜준 비타민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우리 몸에 필요한 유기물질이다. 그러나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과 같은 유기물질과 달리
에너지
를 생산하지 못한다. 또 비타민은 외부에서 섭취해야 한다는 점에서 호르몬과 다르다. 하지만 호르몬으로 만들어지는 동물도 있다. 예를 들면 사람은 비타민 C를 섭취해야 하지만 토끼는 몸에서 합성할 ... ...
오감을 뛰어넘는 초감각 지각 ESP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놀라게 했다.메스머는 사람의 몸이 동물자기로 가득차 있으므로 신체 접촉으로 이
에너지
가 시술자로부터 환자에게 전달되면 환자의 심신에 평상시와는 다른 상태가 야기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가령 산모가 온 몸의 감각을 잃게 되어 무통분만이 가능하며, 환자가 깊은 최면상태에 빠져 시술자가 ... ...
국제우주정거장 첫번째 조립작업 성공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예정보다 빨리 이뤄진 것이다. 이로써 배터리와 태양전지판이 없는 유니티는 자랴로부터
에너지
를 공급받아 생명력을 갖게 됐다. 유니티는 말 그대로 앞으로 발사될 각종 모듈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이틀 뒤 우주비행사들은 두번째 우주유영을 통해 지상에서 유니티에다 2개의 안테나를 설치했다. ... ...
달표면의 헬륨3 지도 제작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정확하게 만들어 낼 것으로 기대한다. 앞으로 달로부터 헬륨3를 가져다 지구에서 어떻게
에너지
로 사용할 수 있는가 하는 것이 과학자들의 몫으로 남아있다 ... ...
③ 수소가 펼치는 우주의 경이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융합하며 격렬하게 진화한다. 결국 가장 안정한 원소인 철에 이르게 되면 더 이상의
에너지
를 추출하기가 불가능해지며, 별은 폭발한다. 우리가 ‘초신성’(supernova)이라 부르는 이 폭발 현상은 사실 새로운 별이 아니라, 별의 종말인 것이다. 별의 내부에서 생성된 다양한 원소는 초신성 폭발을 ... ...
이전
443
444
445
446
447
448
449
450
4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