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상"(으)로 총 13,389건 검색되었습니다.
- 모바일 게임 ‘캔디 크러쉬 사가’, 알고 보면 어려운 수학 문제수학동아 l2014년 04호
- 사가’라는 이름의 이 게임은 단순히 같은 종류의 캔디를 가로나 세로 방향으로 3개 이상 맞춰 없애는 게임이다. 이 게임은 2012년에 출시되어 하루에 9300만 명이 즐길 정도로 인기가 높다.그런데 최근, 호주 뉴사우스웨일즈대의 토비 월시 교수가 이 게임의 원리가 ‘NP-하드 문제’의 원리와 같다는 ...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수학의 미학수학동아 l2014년 04호
- 많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그러니까 1억 자리 이상 소수 사이의 평균 간격은 2.3억 이상인데, 그때도 4680 이하의 소수 간격이 계속 나타난다는 것이다. 협력을 통해 7000만을 순식간에 4680으로 줄일 수 있었던 것은 인터넷과 현대 기술의 위력을 보여 주기도 한다.그런데 8월 이후로 폴리매스 활동이 ... ...
- 범죄와의 전쟁, 수학으로 해결한다!수학동아 l2014년 04호
- 강도사건 발생 이후 살해된 채 발견된다. 두 소년은 현금으로만 물건을 샀는데, 뭔가 이상한 낌새를 차린 돈은 소년이 가지고 있던 현금을 분석하기 위해 비밀경호국에 의뢰한다.그런데 알고 보니 그들이 가지고 있던 지폐는 위조지폐! 그것도 첨단기술과 전통의 방식을 이용해 아주 정교한 방법으로 ... ...
- 아름다운 층간소음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주의한다.5. 아파트에서는 카펫을 깐다. 특히 어린이가 있는 집은 카펫의 두께가 2cm 이상이어야 한다.소음진동을 전기로 만드는 압전필름현재 건물에 설치하는 층간소음 방지재는 소리를 줄이지만 진동을 고스란히 전달한다는 한계가 있어요. 최근 서울시립대학교 메모리소자연구실에서는 진동을 ... ...
- 캡틴 아메리카, 준결정의 비밀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4년 04호
- 단일 원소로 이루어진 3차원 준결정 구조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그간 많은 준결정은 2개 이상의 원소로 이루어진 합금으로 제작됐는데, 많은 원소로 만들수록 결정 구조가 복잡해져 준결정을 이해하는 데 걸림돌이 돼 왔다. 하지만 이번에 단일 원소로 만든 준결정이 만들어지며 앞으로 새로운 ... ...
- PART 1. 꽃이 없었다면, 지금 당신은 없다과학동아 l2014년 04호
- 벌은 약 1억2000만 년 전 남미와 호주에서 나타났다. 인간이 사는 2014년에는 1만6000종 이상이란다. 벌이 잘나서가 아니다. 다 우리가 꽃잎 주고 꿀 줘가며 키운 덕분이다. 물론 우리 꽃도 덕을 많이 보고 있다. 벌과 나비는 딱정벌레와 달리 한 번 찾아간 꽃을 다시 찾도록 진화해, 수분 성공률이 높다. ... ...
- 연구팀에게 보내는 헌사-그들의 강철심장은 빅뱅보다 위대했다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중력파 정도를 관측할 수 있었지만, 같은 시기 WMAP 위성의 관측을 통해 r이 대략 0.5 이상일 수 없다는 결과가 발표됐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그들은 포기하지 않았다. 그 후 그들의 선택과 행동이 지금 내가 이 글을 쓰는 이유다.위기상황에서도 흔들리지 않은 팀워크어떤 의미에서 은하와 생명의 ... ...
- [Knowledge] 질병은 적인가 동지인가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전체 인구의 22%가 사망했다. 결국 질병은 단순히 그 병원체가 갖고 있는 감염력이나 독성 이상의 의미를 지니게 됐다.➊ 정신질환자들을 격리 수용한 런던의 베들렘 병원. 19세기 초를 전후해 정신병도 질병으로 간주되기 시작했다.➋ 1918년 ‘스페인 독감’ 대유행을 풍자한 그림. 독감 바이러스를 ... ...
- PART 3. 인간의 역사를 바꾼 꽃의 유혹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에너지의 양이 다르다. 지방산 사슬이 모두 단일결합이면 포화지방, 이중결합이 하나 이상이면 불포화지방이라고 한다. 포화지방이 에너지를 더 많이 저장한다. 그런데 꽃은 먼저 포화지방을 만들고 나중에 일부를 불포화지방으로 바꾼다. 왜 굳이 한번 더 수고해 에너지 적은 불포화지방을 만들까. ... ...
- ‘겨울왕국’서 1500년 동안 살아남은 식물 발견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얼어있는 남극 이끼를 채취했다. 탄소동위원소를 이용한 연대 측정 결과, 최소 1530년 이상 오래된 이 이끼는 얼어붙기 전 10여 년 간 살아 활동했던 이끼였다. 연구진은 이끼에서 중심부를 조심스럽게 분리해, 외부 추가 오염을 철저히 막고, 상온과 적절한 햇빛이 있는 환경을 조성하자, 몇 주 후 다시 ... ...
이전4434444454464474484494504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