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으)로 총 20,677건 검색되었습니다.
- 왜 포항에서 지열발전을 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잠깐! 지열발전이라면 화산 지대처럼 땅이 뜨거운 곳에서 하는 거 아닌가요? 포항에 지열발전소가 있다는 건, 땅속에 우리가 알지 못한 화산 ... 012년 말부터 지어진 포항 EGS 지열발전소는 2016년 6월 시험 발전을 시작했지만, 2017년 11월 15일 일어난 지진 때문에 곧바로 가동이 중단됐답니다 ... ...
- 왜 포항 지진은 촉발 지진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음, 포항 지열발전소 아래로 물이 들어가고 있었군요. 그럼 포항 지진도 지열발전이 일으킨 유발 지진 아닌가요? 결론은 ‘촉발 지진’이라고 하던데…. ... 본래 지각의 상태가 불안정했는데, 물 주입이 방아쇠 역할을 해서 큰 규모의 지진을 일어난 경우로, ‘촉발 지진’에 해당한다 ... ...
- 개미왕국 보존이냐? 개발이냐?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문화재나 유물을 보존하는 것처럼 수십년 된 개미 왕국을 보존하는 것도 매우 중요한 일”이라고 말했어요. 또 “해외에서 개미 초군체가 발견된 사례는 있으나 대부분 해충 개미라 보존하려고 노력한 사례는 없다”면서 “우리나라는 물론, 해외에서도 보기 힘든 살아있는 생태 교육 공간이 될 ...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모래알이 몇 개 모여야 더미일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나쁨’이고 그냥 ‘나쁨’인지도 모호하지요. 나쁨의 기준인 36㎍/㎥ 이상이면 나쁨일까요? 그럼 35.99㎍/㎥은 안 나쁜 걸까요?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 ...
- [에디터노트] 모기와의 전쟁과학동아 l2019년 08호
- 목숨을 앗아가는 모기는 싫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기가 자연의 생태계를 구성하는 일원이라는 사실은 바뀌지 않는다. GM 모기 방사가 인류의 구원 투수가 될지는 아직 아무도 모른다. 독자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 ... ...
- 수학으로 무장한 조선의 천문학자수학동아 l2019년 08호
- 수적으로는 적지만 관측 실력이 뛰어나 수치가 정확했고, 관측 시스템과 기록 방법이 일정해 후대 학자들이 연구하기에도 제격이지요.현대 천문학자들은 망원경과 함께 이런 과거 자료를 연구합니다. 그래서 어찌보면 정확하고 정교한 자료를 갖고 있는 우리나라는 또 다른 망원경을 가진 것과 ... ...
- [따끈따끈한 수학] 그래프 채색수의 성질을 밝혀라!수학동아 l2019년 08호
- 진행조가현 기자(gahyun@donga.com) 참고자료아니카 헤켈 ‘Non-concentration of the chromatic number of a random graph’, 아니카 헤켈 박사 홈페이지 www.maths.ox.ac.uk/people/annika.heckel ...
- [과학뉴스] 남쪽으로 날아가던 제왕나비에게 무슨 일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위해 포획된 제왕나비도 마찬가지였다.크론포스트 교수는 “가을과 비슷한 온도와 일조량 등을 조성해도 실내에서 사육한 제왕나비는 이주하려고 하지 않았다”며 “이주 특성을 잃어버린 제왕나비가 겨울을 날 수 있는 따뜻한 서식지로 이동하지 못하면서 개체 수는 더욱 감소할 것”이라고 ... ...
- 발바닥 굳은살, 오해해서 미안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덜하지만 맨발로 걸을 때보다 충격량이 1.2배 컸다. 홀로카 박사후연구원은 “맨발일 때나 신발을 신었을 때 발바닥이 지면에 가하는 힘은 비슷했다”며 “운동화를 신었을 때 충격량이 큰 이유는 쿠션으로 인해 바닥에 힘을 가하는 시간이 길어졌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이 ... ...
- [프리미엄리포트] 韓, 무인 잠수정 ‘해미래’가 간다과학동아 l2019년 08호
- 마찬가지일 것이라는 비판이 있다”며 “해미래를 통해 경제적, 산업적으로 성과를 내는 일부터 힘을 쏟을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국의 독점 광구 중 인도양 중앙해령과 북동태평양 망간단괴 광구는 지금까지 한 차례도 탐사가 이뤄지지 않았다. 형 센터장은 “올 여름 해미래의 서태평양 탐사가 ... ...
이전4434444454464474484494504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