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물리
학자
는 왜 대칭성에 주목할까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CP대칭성과 차이가 난다면 새로운 이론이 도입될 가능성이 있다. 한편 많은 이론물리
학자
들이 현재 표준모형이 예측하는 CP대칭성 깨짐보다도 더 강한 깨짐이 있어야 현재 우주의 물질 존재를 기대할 수 있다고믿는다.또다른 의문은 P나 CP대칭성이 약한 상호작용에서만 깨져 있고 다른 상호작용인 ... ...
기생충이 암을 일으킨다?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좋은 결과를 얻지 못한 상태였다. 그러나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에 걸쳐 여러 의
학자
들이 암의 원인을 설명하는 이론을 발표했으며, 피비거도 그 중의 한명이었다.피비거는 1907년 결핵에 감염된 흰 쥐를 조사하던 중 우연히 쥐의 암 조직내에 기생충이 들어 있음을 발견했다. 계속해서 연구를 진행한 ... ...
도대체 동서남북이 어디야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사람들이 많다. 결론부터 말한다면 이 질문은 성립되지 않는다. 영국의 천체물리
학자
스티븐 호킹은 “There is no north direction at the north pole”이라는 멋진 비유로 이를 강의했다. 우리가 지구상에서 북쪽으로, 북쪽으로 가면 언젠가는 북극에 도달한다. 하지만 북극에 도달하는 순간 우리는 더이상 ... ...
③ 생체실험 그만, 디지털 가상세포 맹활약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것이다. 그러면 암세포뿐 아니라 태아의 발생과정도 컴퓨터에서 연구할 수있다.이제는 과
학자
들이 실험실에서 시험관이나 배양접시를 손에 들고 물을 묻히는(wet) 대신 컴퓨터에서(in silico) 모든 실험을 할 날도 멀지 않았다. 바야흐로‘wetmetabolic engineering’시대에서‘in silico metabolic engineerin ...
약되는 독, 독되는 약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있는 천연 약물들이 있지만, 이들은 용량만 조절하면 좋은 약이 된다. 서양의 유명한 약리
학자
가 “모든 약은 독이다. 다만 용량의 차이만 있을 뿐이다”라고 말한 것처럼, 약과 독의 구별은 애매한 면이 많다. 그래서 대부분의 경우 약은 독이 될 수 있으며, 독은 또한 약이 될 수 있는 것이다 ... ...
전기의자로 촉발된 직류 · 교류 전쟁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기회가 있었음에도 에디슨은 수상자 명단에서 또다시 제외되는 불운을 맛본 것이다.과
학자
최고의 명예인 노벨상을 두 발명가의 암투 때문에 놓쳐 버렸지만 에디슨이 주장하는 것처럼 교류가 직류보다 더 위험한 것일까. 오늘날 실험은 에디슨의 주장이 맞다는 것을 확인시켜준다. 가정용 직류와 ... ...
지치지 않으려면 탄수화물 많이 섭취하라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운동생리
학자
가 탄수화물 축적에 대해 연구를 거듭하고 있다. 미국의 유명한 운동생리
학자
인 코스틸 박사는 연구를 통해 섭취시간이 48시간 이상이면 단순 탄수화물보다는 복합성분의 탄수화물이 더 많은 글리코겐을 축적시키며, 매일 필요한 단백질과 지방도 적절히 보충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 ...
외계 항성계에서 다량의 물 발견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대기와 해양을 갖는 행성을 발견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많은 과
학자
들이 얼음 혜성을 행성을 구성하는 기본단위라고 믿고 있기 때문에 외계에도 혜성이 있다는 것은 물이 있는 행성을 기대할 수 있다는 말이다.물이 있는 행성에는 생명체가 있을 수 있다. 오웬박사는“그들의 ... ...
5인의 과
학자
무인도 서바이벌 실험노트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각자의 창의성에 바탕을 둔 협력이 큰 힘을 만들어낸다는 것을 보여줬다. 무인도의 과
학자
들이 이구동성으로 말한 것도 바로 이 점이었다모래로 얼굴 씻은 클레오파트라로마 신화에 따르면‘사포’(Sapo)라는 산에서는 동물을 태워 하늘에 제사를 지냈다고 한다. 그런데 제물로 바친 동물의 기름이나 ... ...
불가사의한 별 미라가 밝아진다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천왕성이 올해 중 가장 가까이 다가온다. 무려 1백배 이상 밝기 변화1596년 독일의 천문
학자
파브리치우스는 고래자리에서 난데없이 나타난 밝은 별 하나를 보았다. 밝은 별이 거의 없는 지역이라 유달리 눈에 띈 이 별을 그는 새로운 별이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이 별은 잠시 안보이다가 1603년 다시 ... ...
이전
443
444
445
446
447
448
449
450
4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