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뉴스
"
교수
"(으)로 총 22,411건 검색되었습니다.
자신이 속한 집단 동료의 비도덕적 행위에 더 엄격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0.21
더 큰 부정적 감정을 느끼게 되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를 이끈 탕
교수
는 "우리는 같은 집단에 속한 사람에게 더 강한 유대감과 호감 그리고 신뢰감을 느끼지만 이 구성원이 공동체를 위협할 때는 더 혹독한 판단을 내리게 된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가 같은 집단의 사람들을 왜 ... ...
[표지로 읽는 과학] 윤리 논란 넘나드는 인공 인간배아 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3.10.21
있는가를 두고 학계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기도 했다. 베르나 소젠 미국 예일대 의대
교수
연구팀 또한 6월 네이처에 인공 인간배아 모델을 제시했다. 줄기세포를 개량해 3차원 구조로 자가 조직화를 이루도록 하는 방식이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세포가 원시선 등 초기 배아의 다양한 구조로 ... ...
잠 충분히 못 자면 우울증 발병 확률 높아
동아사이언스
l
2023.10.20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UCL) 행동과학·건강학부 앤드루 스텝토
교수
연구팀은 수면에 대한 유전적 요인을 분석한 결과, 밤에 5시간 이상 수면하지 못하는 날이 지속될 경우 우울증을 앓게 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트랜지셔널 ... ...
[의학바이오게시판] 식약처, 지질나노입자 전달체 제조기술 국내 업체에 기술이전
동아사이언스
l
2023.10.20
이전하는 기술협약식을 20일 개최했다고 밝혔다. 남재환 가톨릭대 의생명과학과
교수
와 금교창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책임연구원 공동연구팀이 감염병 대응 혁신기술 지원 연구 사업에서 개발한 이번 기술은 SML 바이오팜에 이전됐다 ... ...
연가시가 사마귀를 조종하는 비밀…"숙주에게 유전자 빼앗아"
동아사이언스
l
2023.10.20
전달되는 현상이다. 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클레망 길베르트 프랑스 파리사클레대
교수
는 "연가시가 사마귀의 유전자를 빼앗은 것이 맞다면 이는 가장 큰 규모의 유전자 수평 전달이 일어난 사례가 된다"고 말했다. 연가시가 정말로 사마귀의 유전자를 훔쳤는지 확인하기 위해선 후속 연구가 ... ...
항암 부작용 줄이고 전이암 막는 새 '암 치료제'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0.20
암 예후관리제 같은 신약 개발의 단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김
교수
는 "구토, 탈모와 같은 전신적 부작용이나 항암제 내성 발현과 같은 한계를 지닌 기존의 치료법들과는 달리 정상세포에 해를 주지 않으면서 완치를 기대할 수 있다"며 "임상시험 후 상용화에 성공한다면 많은 ... ...
"일교차 큰 가을 '불청객' 대상포진, 면역력 저하시 주의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3.10.20
제제는 일주일 복용하는 것이 원칙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약간 연장할 수 있다. 이
교수
는 “통증이 너무 심하거나 대상포진 후 신경통으로 진행될 위험성이 높아 보이는 경우 적극적인 통증 억제를 위해 진통제 외에도 반복적인 신경차단술을 시행해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 ...
'일론 머스크 다이어트 비결' 비만치료제..."부작용도 살펴야"
동아사이언스
l
2023.10.20
감소를 일으킬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다니엘 드러커 캐나다 토론토대병원 내분비내과
교수
는 “비만은 일반적으로 근육 약화와 골격근량의 감소를 야기한다”며 “체중 감량 효과가 높은 비만치료제로 비만을 치료하는 과정에선 근육량 감소 양상을 주의 깊게 관찰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 ...
AI가 동물소리 분석…생물 다양성 확인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0.20
가장 다양한 생물종이 서식하고 있다는 사실을 도출했다. 연구를 이끈 뮐러
교수
는 “이번 연구 결과는 음성자료가 사람의 손이 닿지 않는 지역의 생물 다양성과, 생물 다양성의 회복 정도를 정확하게 조사할 수 있음을 보여줬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AI가 생태계의 생태계의 훼손과 회복 과정을 ... ...
[과기원NOW] DGIST-경북대-KIOM, 알츠하이머 치매 새 치료 방안 제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10.19
실리콘을 나노구조체로 사용해 렌즈의 효율을 높였다. ■ KAIST는 이희승 화학과
교수
연구팀이 원자 수준의 정밀도로, 극미세 나선형 카이랄 통로를 만드는 방법을 발표했다고 19일 밝혔다. 많은 약물은 카이랄 분자로 이뤄져 있다. 카이랄 분자의 두 거울상은 서로 다른 생물학적 효과를 가진다. ... ...
이전
443
444
445
446
447
448
449
450
4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