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마귀
사항
얼룩
닷
포인트
지점
간반
d라이브러리
"
점
"(으)로 총 8,945건 검색되었습니다.
돌고래 날쌘 헤엄의 비밀은 피부
과학동아
l
200406
요시미치 하기와라 교수의 연구팀은 돌고래의 피부가 물의 저항을 줄여준다는
점
을 발견하고 영국 물리학회가 발행하는 ‘터뷸런스’(Turbulence) 5월호에 발표했다. 이번 발견은 좀더 빠르고 효율이 좋은 선박이나 잠수함을 만드는데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과학자들은 돌고래가 물의 저항을 줄이기 ... ...
한국, 인텔국제과학기술경진대회 입상 쾌거
과학동아
l
200406
5월 10-14일 미 포틀랜드에서 개최된 인텔국제과학기술경진대회(인텔 ISEF)에서 우리나라 청소년들이 뛰어난 성과를 올렸다.대전과학고 1학년 홍성진 ... 컴퓨터공학 부문뿐만 아니라 공학, 환경과학, 의학 및 건강 등 다양한 부문에 출전했다는
점
도 올해 대회의 또다른 성과”라고 밝혔다 ... ...
HOT ISSUE 1. 특명 '아인슈타인의 우주를 검증하라'
과학동아
l
200406
박사는 동료들과 함께 완전한 구 모양의 자이로스코프를 만들면 과학적으로 어떤 좋은
점
이 있는지를 의논하고 있었다.자이로스코프는 보통 가운데에 무거운 원판이 있고 그 원판은 주변에 둥근 원모양의 테두리가 2중, 3중으로 지지해준다. 그 결과 원판은 어느 방향으로나 회전할 수 있다. 이런 ... ...
3차원 마이크로 영상 시대를 여는 레이저형광현미경
과학동아
l
200406
원하는 지
점
에 레이저와 사진기의 초
점
을 동시에 일치시켜 공초
점
을 형성하기 때문에 초
점
에서 벗어난 빛에 의한 간섭현상을 최소화시켜 사진이 선명하다.일일연구원은 이 연구원의 설명에 따라 마침내 염색한 소기관 중 미토콘드리아를 레이저형광현미경으로 관찰했다. 그리고 미토콘드리아가 ... ...
01. 사랑은 뇌가 한다
과학동아
l
200406
변연계 회로의 앞쪽 가장자리로서 전두엽의 아랫부분에 속한다. 지원자들이 매긴
점
수에 따르면 애인을 바라볼 때 로맨틱한 느낌이 에로틱한 느낌보다 훨씬 강했다고 했다. 그렇다면 뇌의 이런 부위가 순수한 정신적인 사랑을 만들어 내는 곳일까.이를 증명하기 위해서는 이 실험에서 활성화된 뇌의 ... ...
세계 최대 여객기 에어버스 A380 생산 시작
과학동아
l
200406
또는 공융정(共融晶)이라고도 한다 어떤 종류의 혼합액체를 냉각시키면 일정한 응고
점
을 보이면서 일정한 성분비의 고체가 석출된다항공기 등에서 지상을 촬영한 공중사진을 이용하는 사진측량 제2차 세계대전 후 급속하게 발달하여 현재는 전세계의 지도들이 대부분 이 방법으로 제작되고 있다 ... ...
장기이식 어디까지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0406
발전과 부작용이 적고 기능이 강력한 면역억제제의 개발로 면역거부반응의 어려운
점
들이 많이 해결됐다. 그렇다면 면역거부반응은 왜 일어나는지, 그리고 어떤 방법으로 거부반응을 피해나갈 수 있는지 살펴보자.면역활동 통제가 성공 관건 인간을 비롯한 개체가 세균 감염 등으로부터 자신을 ... ...
03. 짝짓기 시장의 치열한 생존전략
과학동아
l
200406
역시 가설 설정에서 시작되며, 가설에서 얻어지는 예측들을 검증하기 위해 노력한다는
점
을 모르기 때문에 하는 오해다. 사랑이 상대에게 헌신하고 있음을 보증해주는 장치라는 가설이 어떻게 검증되는지를 살펴보자.문학과 진화이론을 접목한 최근의 한 연구에서는 미국에서 가장 잘 팔린 로맨스 ... ...
서울대 물리학부 국양
과학동아
l
200406
무시당하는 설움보다 몰랐던 것을 배우고 ‘국양표 STM’ 에 가깝게 다가갈 수 있다는
점
이 국교수에겐 더 큰 힘이었다. 그 덕에 STM 개발에 착수한 지 2년만인 1984년 4월 22일 나사에서 소프트웨어까지 직접 만든 ‘국양표 STM’ 으로 실리콘 원자의 표면을 볼 수 있었다.‘뚝딱’ 만드는 일은 ... ...
남녀까지 식별하는 위성사진술
과학동아
l
200406
과거와 현재 정보를 비교 분석함으로서 가까운 미래를 예측하는 토대를 마련해 준다는 잇
점
도 있다.원격탐사가 처음 도입된 것은 프랑스의 뚜르나숑이 열기구를 이용해 인류 최초로 공중사진을 촬영했던 1858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뒤 1909년에는 근대화된 항공기를 이용해 최초의 항공사진을 ... ...
이전
444
445
446
447
448
449
450
451
4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