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억울
분통
원통
원기둥
분업
분장
분말
뉴스
"
분
"(으)로 총 10,674건 검색되었습니다.
미 화성탐사선 '퍼시비어런스'도 발사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0.07.30
화성에서의 1년에 해당하는 687일 동안
분
화구 주변의 토양을 수집한다. 예정대로라면
분
화구 부근 5∼20km를 이동하며 드릴을 통해 화성 표면에 구멍을 만들어 채취한다. 퍼시비어런스는 화성 대기 중 96%를 차지하는 이산화탄소로 산소를 만드는 기술도 시험한다. 유인 화성 탐사에 활용하기 ... ...
'감염 확인까지 딱 15
분
' 임신진단키트 같은 코로나19 진단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30
박대의 안전성평가연구소 선임연구원과 공동으로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염기서열을
분
석해 항원으로 쓸 수 있는 뉴클레오캡시드 단백질 등을 찾아냈다. 이를 동물에 주입해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반응하는 항체들을 만들었다. 이중 항원 단백질에 잘 결합하는 항체를 10종 가량 추려내 기술에 ... ...
[생중계] NASA 화성탐사선 ‘퍼시비어런스’ 오후 8시 50
분
우주로
동아사이언스
l
2020.07.30
‘퍼시비어런스’ 발사 동영상 ■ 발사시각 : 현지시간 5월 30일 오전 7시 50
분
(한국시간 30일 오후 8시 50
분
) ■ 발사장소 : 미국 플로리다 케이프커내버럴공군기지 ■ 생중계 https://www.youtube.com/watch?v=JIB3JbIIbPU ■ 퍼시비어런스는? 1997년 최초의 화성 탐사 로버로 착륙에 성공한 ... ...
7월 화성탐사 레이스 대미 美 화성탐사선 오늘밤 '우주로'
동아사이언스
l
2020.07.30
표면에 구멍을 만들어 채취한다. 퍼시비어런스는 화성 대기 중 96%를 차지하는 것으로
분
석된 이산화탄소로 산소를 생산하는 기술도 시험한다. 유인 화성 탐사에 활용하기 위한 목적이다. 화성에서 첫 비행이 시도되는 태양열 구동 헬리콥터 ‘인제뉴이티’도 퍼시비어런스에 탑재된다. 4파운드(약 1 ... ...
KT, 인공지능으로 인터넷 품질 관리한다
연합뉴스
l
2020.07.30
IP를 기존 KT의 네트워크 지능화 시스템과도 연계해 전체 네트워크 구간의 감시와
분
석, 조치 업무를 자동화하는 것을 목표로 기술을 고도화한다. KT 인프라연구소장 이종식 상무는 "KT의 차별화된 네트워크 AI 기술을 상용 인터넷망에 적용해 고객이 체감하는 인터넷과 IPTV 서비스 품질을 한층 더 ... ...
[과학게시판] 중소·중견기업 지원 '태양전지 플랫폼센터' 구축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07.30
진행한다. 에너지연은 "장비 공동사용을 통해 기업의 비용 부담은 20
분
의 1, 공정시간은 25
분
의 1로 낮출 수 있다"고 밝혔다.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은 재취업을 준비하는 경력단절 여성과 취업과 창업을 희망하는 여성을 대상으로 29일부터 '여성 앙트레프레너 지원사업'을 시작한다. 미취업 ... ...
유튜브 스타 스티브 스팽글러와 과학의 원리 배워요
연합뉴스
l
2020.07.29
방송 [EBS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EBS 1TV는 오는 30일부터 매주 목·금요일 오후 5시 20
분
아이들을 위한 맞춤형 과학 교육 프로그램 '도전! 나도 과학자'를 방송한다고 29일 소개했다. 이 프로그램에서는 유튜브 스타이자 과학 교사인 스티브 스팽글러가 생활 속에서 그냥 지나칠 수 있는 과학적 ... ...
'핵융합' 실증할 국제실험로 조립 착수…첫 부품은 한국産
동아사이언스
l
2020.07.28
입자를 가두고 통제해 핵융합이 일어나도록 유도하는 일종의 전자석인 TF 코일 등 주요 부
분
이 모두 한국에서 제작해 조달한 것이다. 정기정 ITER한국사업단장은 “각국이 각자 개발해 조달하는 부품 특성상 ITER의 검증이 매우 까다로운데 이를 안정적으로 조달했기에 이날 행사가 가능했다”며 ... ...
달에 탐사선도 못보내는 반쪽짜리 로켓 개발 제자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28
통상 발사체를 우주로 보내려면 5000만~6000만 파운드·초가 필요한데, 이를 50
분
의 1 또는 60
분
의 1 수준에서 묶어둔 것이다. 2013년 발사한 나로호 상단에 사용된 고체로켓도 이 기준에 맞는 8t급 추력을 갖추지 못해 100㎏짜리 위성을 우주로 올리는 힘밖에 내지 못했다. 고체로켓은 구조가 간단하고 ... ...
한·미 미사일지침 개정…고체연료 사용제한 푼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28
0~6000만 파운드·초가 필요하다. 기존 지침은 우주 발사체에 필요한 총에너지의 50
분
의 1, 60
분
의 1 수준만 사용하도록 제한해왔다. 김 차장은 "이 같은 제약 아래서 의미 있는 고체연료 발사체 개발이 사실상 불가능했다"며 “이번 개정은 우리 군의 감시 정찰 능력을 비약적으로 발전시키는 계기가 될 ... ...
이전
444
445
446
447
448
449
450
451
4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