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외
인터내셔널
세계
국제개발협회
개발
협회
국제경쟁력
d라이브러리
"
국제
"(으)로 총 5,598건 검색되었습니다.
① 지구 환경과 우주 개발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2년우주비행이 주요 관광사업으로 떠오른다. 우주선 수송 비용이 현재의 1/10로 절감되고,
국제
우주정거장의 시설을 일반 관광객도 이용할 수 있다.● 2025년달에 건설한 유인기지에서 지질조사와 다양한 관측실험이 실시된다. 달표면에 전파망원경이 설치되고 원자력 발전소가 만들어질 것이다.● 2 ... ...
③ 직장 생활과 재해 안전 시스템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존재할까. 아니다. 네트워크가 연결된 곳이라면 그 어디라도 사무실이 될 수 있다. 또
국제
회의를 위해 비행기를 탈 일도 거의 없어질 것이다. 화상 회의와 동시통역기가 전세계인들을 한자리에 묶어주기 때문이다.● 2007년◎음성인식 기능을 갖춘 전자비서 단말기가 실용화되고, 재해에 관한 정보를 ... ...
비무장지대에 대량 살포된 고엽제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당시 사이공)에서 열린 ‘전쟁에서 고엽제가 인간과 자연에 미친 장기적 영향에 관한
국제
심포지엄’의 발표 내용을 살펴보면 고엽제의 영향이 얼마나 막대한 것인지 짐작할 수 있다.고엽제로 인해 내륙의 밀림과 광대한 농토, 그리고 해안 생태계는 오랫동안 ‘죽음의 땅’으로 변했다. 이들이 ... ...
21세기 이동통신 IMT-2000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00년)에 들어있는 ‘2000’이란 수를 조합해 만든 용어다.IMT-2000의 특징은 크게 3가지. 우선
국제
적으로 유선, 무선, 위성 등의 통신을 단일한 표준을 통일하는 것. 그런데 가장 어려운 점이 이것이다. 현재 미국은 동기방식(전송할 때 클럭을 맞춰주는 것)의 CDMA(코드분할다중접속)를 표준으로 ... ...
Ⅴ. 한국형 인간게놈프로젝트 10년간 1천억 투자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그렇다면 '상품화'할 수 있는 한국산 미생물을 수십개 선정해 이들의 게놈을 분석한다면
국제
경쟁력을 충분히 갖출 수 있지 않을까.그러나 현재 국내에서 인간게놈사업을 추진중인 관계자들은 대부분 "미생물의 연구도 중요하지만 기존의 연구비로도 활용할 여지가 충분하다"는 입장을 보인다. ... ...
방사성 쓰레기가 갈 곳은?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재처리를 하면 다시 사용할 수 있는 자원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국제
적으로 사용후 핵연료를 사고파는 경우도 많다.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은 핵연료에서 나오는 방사선(중성자)의 영향을 받아 방사능을 띠게 된 기체·액체·고체의 물질들을 말한다. 따라서 이를 처리하는 ... ...
인간과의 전쟁 세계인구 60억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2010년에 이르면 20억t의 물이 부족할 것이라고 한다.물부족에 이어 찾아오는 재앙은 식량.
국제
연합식량농업기구(FAO)는 2000년 세계곡물 비축량이 올해보다 6.7%가 줄어든 3억만t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는 세계인구가 58일 동안 먹을 수 있는 양으로 최소한 비축해야 할 60일분에도 미치지 못한다. 게다가 ... ...
과학적 사고와 문제해결력의 만남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몇 가지의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본문의 내용으로부터 이번에 발견된 초신성이
국제
적으로 공인되는데 근거가 되었으리라 생각되는 세 가지의 기준을 찾아내고, 왜 그러한 기준이 중요한지 간단히 설명하라.● 아하! 그렇군요.예문에 초신성의 발견에 관한 여러 가지 자료가 나오는데, 그 중에서 ... ...
인간배아 복제 허용할 것인가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없는 사람들이다. 시민들의 합의 내용은 과학기술부를 비롯한 정부 부처와 유네스코
국제
생명윤리위원회 등에 보내질 예정이다. 합의회의에 참여한 시민들이 왜 ‘인간배아복제’를 금지해야 한다고 결정을 내렸는지, 이로부터 파생되는 새로운 문제는 무엇인지에 대해 모두가 진지하게 검토할 ... ...
북극에서 온편지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한국해양연구소의 강성호 박사와 송태윤 연구원이 참가했다. 북극 편지는 강성호 박사가
국제
통신위성 인마샛(Inmarsat)을 통해 과학동아에 보내온 것. 쇄빙연구선을 타고 해빙 사이를 누비며 겪었던 생생한 경험을 들어보자.6월 29일 70일간의 긴 북극 탐사를 위해 한국해양연구소 송태윤 연구원과 ... ...
이전
445
446
447
448
449
450
451
452
4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