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등"(으)로 총 21,711건 검색되었습니다.
- [SW 진로체험] 수학은 난관을 깨뜨리는 망치수학동아 l2019년 10호
- 로봇은 손의 현재 위치와 옮길 위치를 인식하는 것부터 손과 연결된 팔꿈치, 어깨 등을 어떻게 움직일지까지 다 알려줘야 해요. 이때 불필요한 동작 없이 빠르고 단순하게 움직이게 하는 알고리듬을 연구합니다. Q 로봇을 연구하게 된 이유가 무엇인가요?김기문 대학 졸업 후 기업들의 관리 ... ...
- [핫이슈]도전! 캐나다 탐험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0호
- 파크엔 50m가 넘는 나무 수십만 그루가 있고, 숲 속에 서 라쿤, 비버, 독수리, 코요테, 수달 등의 동물도 만날 수 있죠. 한편, 스탠리 파크를 둘러싸고 있는 해안을 따라 걷거나 자전거를 타는 여행 코스도 유명해요. 아름다운 공원과 반짝이는 밴크버 도시의 야경을 동시에 볼 수 있기 때문이죠. 숲, ... ...
- [JOB터뷰] 단서를 찾는 사람에서 만드는 사람으로 방탈출 게임 제작자 김광수 팀장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0호
- 풀어야 하는 단서와 자물쇠도 이때 설치되지요. 공간이 좁거나 소품을 구하지 못하는 등 현실적인 이유 때문에 스토리의 일부를 포기할 때가 가장 속상해요. Q 가장 기억에 남는 테마가 있나요? 방탈출 매니아들 사이에서는 스토리는 물론 인테리어가 완벽하고 문제 유형도 새롭고, 장치도 ... ...
- [식물 속 동물찾기] 문지르면 고린내 주의! 족제비싸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0호
- 1930년 대에 우리나라에 온 귀화식물이에요. 헐벗었던 산과 들에 심어 산사태 등의 위험을 막았지요. 족제비싸리는 토양이 아무리 척박해도 잘 자라거든요. 대부분 식물이 비옥한 토양에서 질소를 흡수하는 것과 달리, 족제비싸리는 공기 중의 질소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에요. 이는 공기 중의 ... ...
- 블랙홀 어떻게 찍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전파간섭계(VLBI)’라 해요. 거대 망원 경을 만들기 위해 남극부터 칠레, 미국, 하와이 등 전 지구에 흩어진 전파 망원경 8대가 EHT의 프로 젝트에 참가했어요. 관측이 끝나자 약 5페타바이트의 데이터가 모였어요. EHT 연구팀은 슈퍼컴퓨터로 데이터에 들 어있는 여러 오류를 제거하고 하나로 합쳤어요 ... ...
- [섭섭박사와 만들라보~!] 라보로 대결 게임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0호
- 가 바깥에서 들어오는 변화를 감지하는 거예요. 명령을 내리기 위해 스크린을 누르는 것 등이 포함되죠. ‘중간’은 입력을 인식한 닌텐도 스위치에 조건을 추가해 다양한 명령을 수행하도 록 하는 단계예요. 마지막으로 ‘출력’ 단계에서는 닌텐도 스위치가 모니터나 Joy-Con의 진동으로 결과를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좀먹은 것처럼 변했음을 일컫는 단어예요. 철 같은 금속뿐만 아니라 세라믹, 콘크리 트 등 다른 물질들도 부식될 수 있지요. 부식을 뜻하는 영어 단어 ‘corrosion’의 어원은 라틴어인 ‘corrodere’예요. 이 단어의 뜻은 ‘갉아먹어서 구멍이 뚫림’으로, 한자와 의미가 비슷하지요. 가만히 놔둔 물건이 ... ...
- [에디터노트] 과학에서 머리카락이란과학동아 l2019년 10호
- 16일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가 삭발을 했고, 17일에는 김문수 전 경기도지사 등 3명이, 18일에는 5선 이주영 의원과 심재철 의원이 삭발에 동참했다. 정치인에게 머리카락을 자른다는 것은 비장한 결의, 투쟁 의지 표출의 의미를 갖는다.사실 특별하기로 따지면 과학에서 머리카락이 갖는 지위가 훨씬 ... ...
- [과학뉴스] 딥 러닝으로 엘니뇨 예측한다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엘니뇨는 호주나 인도에 폭염과 가뭄을 유발하고 미국 서부나 페루에는 홍수를 일으키는 등 지구 곳곳에 다양한 기상 이변을 야기한다. 따라서 예측과 대비가 중요하다.연구팀은 1871년부터 1973년까지 103년간의 기상 기록 데이터와 엘니뇨 발생을 가상으로 시뮬레이션한 데이터를 기계학습 ... ...
- 한국우주전파관측망(KVN) 구축 10주년 4개의 눈으로 우주를 보다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연구원들과 만나게 되면서 KVN에 깊이 빠지게 됐다. 마치 표류하던 배가 저 멀리서 작은 등불을 발견한 것 같은 심정이었다. 그렇게 전파망원경 시스템을 공부하기 위해 일본으로 유학을 떠났고, KVN이 본격 운영되기 시작한 2009년 돌아왔다. 현재 KVN을 사용하고자 하는 전 세계 과학자들의 요청을 ... ...
이전4454464474484494504514524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