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하
나중
뒤
아래
이래
d라이브러리
"
이후
"(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노벨상의 여인 마리퀴리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여성 노벨상 수상자이며, 남편 피에르 퀴리, 베크렐과 함께 공동 노벨 물리학상을,
이후
단독으로 노벨 화학상을 수상하여 최초 여성 수상자, 최다 수상자(개인 2회 수상)라는 기록을 가지고 있다. 마리 퀴리의 딸인 이렌 졸리오 퀴리와 사위 프레데리크 졸리오 퀴리 역시 노벨 화학상을 받아 2대에 ... ...
애교덩어리 말티즈 듬직한 리트리버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땅에 닿을 정도로 다리가 짧은 녀석들도 있다.약 1만5000년 전 야생 회색늑대를 길들인
이후
인류는 줄기찬 노력으로 현재 공인된 품종만 350가지가 넘는 개를 만들어냈다. 게놈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면서 이처럼 다양한 품종이 나오게 한 유전자 변이의 실체가 드러나고 있다. 몸 크기에 영향 주는 ... ...
PART1 지금 베이징은 과학전쟁 중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싶어 한다. 그 자부심 한가운데 바로 중국의 과학기술이 자리하고 있다. 1978년 개혁개방
이후
단지 몸집만 커진 게 아니라 과학기술도 세계 정상의 위치에 올라섰음을 보여주고 싶은 것이다. 베이징올림픽의 3대 이념을 ‘녹색올림픽, 과학올림픽, 인문올림픽’으로 한 이유도 이 때문이다.2001년 7월 ... ...
미래로 씽씽~! 첨단 자동차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7호
가격과 실용적인 기능으로 각 나라의 국민차가 되었다.자동차의 다양화제2차 세계대전
이후
삶이 풍요로워지자 자동차는 하나의 문화가 되었다. 그에 따라 소비자의 욕구도 다양해져 수많은 종류의 자동차가 등장했다.제1코스 가장 빠른 자동차는?첫 번째 코스에서는 속도를 겨룹니다. 속도를 ... ...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려움 머릿니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가렵다며 밤잠을 설쳤기 때문. 혹시나 하는 마음에 살펴본 아이의 머리에서 1980년대
이후
사라진 줄로만 알았던 머릿니를 발견했다.최근 ‘머릿니’가 말썽이다. 지난 3월 질병관리본부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초등학생 100명 중 4명이 머릿니에 감염됐다. 특히 서울 강남과 경기 분당처럼 비교적 ... ...
1. 축제로 들뜬 CERN의 사람들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위해 선형가속기(CLIC)를 한 대 더 지을 계획이다. 프랑스와 영국, 네덜란드는 1960년대
이후
가속기를 건설하지 않았다. 자국에 가속기를 짓는 것보다 유럽이 연합해 CERN에 강력한 가속기를 만드는 편이 낫다는 공감대를 이뤘기 때문이다. 아이머 소장은 “CERN은 아시아 국가들에게도 개방돼있다”며 ... ...
탄생! 대한민국 우주인 2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우주로켓이야. 길이가 53m로 10층 건물 높이와 비슷하단다.소유스 로켓 시리즈는 1983년
이후
20년 넘게 사고가 없었을 만큼 안전성이 뛰어나. 4월 8일 이뤄질 소유스호의 발사는 무려 1731번째 발사란다. 정말 대단하지? 소유스FG 우주로켓 준비 일정❶ 소유스FG 우주로켓 제작 : 러시아 모스크바 남쪽에 ... ...
2. '앨리스'의 이상한 나라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앨리스의 이상한 나라’를 ‘여행’한다는 생각에 벌써부터 들떠 있다. 빅뱅
이후
초기 우주를 들여다보고 블랙홀의 비밀도 파헤칠 앨리스의 활약을 기대해보자.강력*자연계에서 입자들 사이에 작용하는 힘은 크게 4가지로 나뉜다. 중력과 전자기력,약력(약한 상호작용) 그리고 강력(강한 ... ...
우리은하 나선팔은 4개가 아니라 2개?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우리은하를 관측한 자료를 토대로 새로운 우리은하 모형을 제시했다.1950년대
이후
천문학자들은 우리은하에 퍼져 있는 가스를 전파로 관측해 분석한 자료를 바탕으로 우리은하가 중심에서 뻗어 나온 거대한 나선 모양의 별무리(나선팔) 4개와 그 주변의 작은 별무리들로 이뤄진 원반 모양이라고 ... ...
1957년 조지 윌리엄스 교수의 자연선택 담은 노화진화이론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하자. 이런 돌연변이가 일어난 개체는 평생 낳을 자손의 수가 많아질 것이다. 어차피 55세
이후
에 살아있을 확률이 낮기 때문에 암으로 인한 손해보다는 젊었을 때 왕성한 활동으로 얻은 이익이 큰 셈이다.결국 자연선택은 이런 돌연변이 즉 다면발현 유전자를 누적시켰고 노화라는 현상이 나타났다. ... ...
이전
445
446
447
448
449
450
451
452
4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