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로
신작로
차도
찻길
진로
레일
경로
d라이브러리
"
궤도
"(으)로 총 1,649건 검색되었습니다.
지하철과 KTX 선로 같을까? 다를까?
과학동아
l
200906
구성한다.한국철도기술연구원의 열차제어연구실장 김용규 박사는 “현재의 선로 기술은
궤도
회로로 열차의 속도를 제어하던 2, 3세대 방식에서 무선통신을 이용한 4세대 방식으로 넘어가고 있다”며 “앞으로는 선로 외부에 설치된 무선안테나로 지상과 열차가 끊어짐 없이 통신할 수 있고 이는 ... ...
북한 장거리 로켓 발사의 진실은?
과학동아
l
200905
없다. 위성을 발사해 미사일의 로켓엔진 성능을 시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위성을 우주
궤도
에 올려놓았다면 장거리 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는 로켓추진시스템을 개발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렇다고 위성발사체 발사 성공이 곧 대륙간탄도탄 기술의 확보를 의미하지는 않는다.은하 2호의 발사 실패 ... ...
자연 속의 역제곱법칙
과학동아
l
200905
점점 느려졌고, 행성의 공전 주기와
궤도
장반경의 관계를 조사해 공전 주기의 제곱이
궤도
장반경의 세제곱에 비례한다는 것도 알아냈다. 이 세 가지 결과를 케플러의 법칙이라고 한다. - 고등학교 『과학』교과서 [제시문 2] 아이작 뉴턴(1642-1727)은 경험적 사실에 바탕을 둔 케플러의 법칙을 ... ...
[물리]전하 세계에서도 에너지는 보존된다
과학동아
l
200905
r1ω2은 보이는 별의 질량중심을 향한 구심가속도이다. 또한 질량중심을 기준으로 원
궤도
의 반지름들은 m1r1=m2r2을 만족하므로 r은 r1으로 표현할 수 있다. Q2다음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라. (가) 정전기력(쿨롱힘)의 수학적인 형태는 중력과 동일하다. 따라서 정전기력도 중력처럼 보존력이다. ... ...
“쾅!”우주 교통사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905
있어서 인공위성이 폭발한
궤도
보다 아래쪽이네요. 그렇다면 위에서 떨어지는 파편이 이
궤도
로 들어올가능성이 높겠군요.그리 위험하지 않다고 보는 사람도 있지만, 우주 파편이 계속 늘어나면 언제든 국제우주정거장에 부딪혀 위험해질 수 있다는 의견도 많아요. 우주 공간에는 10㎝ 이상의 ... ...
[천문우주]포착! 4개의 위성이 토성을 가리다
과학동아
l
200904
보인다. 15년에 한 번씩 고리의 평면이 우리의 시선방향과 나란해지면 적도 부근의
궤도
를 돌던 위성들이 고리와 구분돼 보이면서 사진과 같은 장관이 펼쳐진다.위성의 행렬을 이끄는 건 토성의 60개 위성 중 가장 크기가 큰 ‘타이탄’. 행성인 수성보다도 크다. 타이탄의 질소 대기는 태양빛과 ... ...
별은 몇 쌍둥이까지 가능한가요?
과학동아
l
200904
사중성 +1한국천문연구원 광학적외선천문연구부 이충욱 박사는 “육중성이 서로를 돌며
궤도
운동을 하는지 판단하기는 쉽지 않다”며 “망원경으로도 움직임을 발견할 수 없을 만큼 쌍성이 가까이 있다면 별의 스펙트럼을 분석하거나 스페클 영상을 찍어 확인할 수 있다”고 말했다. 스페클 ... ...
제2 지구 찾는 케플러 우주망원경
과학동아
l
200904
방법은 크지 않은 망원경으로 어두운 별까지도 관측할 수 있으며 행성의 크기와
궤도
경사각 같은 정보를 알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행성의 질량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 때문에 별빛가림 현상이 포착된 후보별은 시선속도 방법으로 추가 관측해 질량을 확인한 뒤에야 그 ... ...
[물리]생활 속 물리, 단진동과 지자기
과학동아
l
200904
물체의 속도와 가속도를 이용해 설명할 수 있다. 에서와 같이 각속도 ω로 반지름 A인
궤도
를 등속 원운동하는 물체 P의 속도의 크기는 Aω다. 그런데 Aω의 x성분은 물체 P의 그림자인 점 P'의 속도와 같으므로 단진동하는 점 P'의 속도는 v=Aωcoswt가 된다. 이 관계에서 cos값은 +1과 -1사이에서 변하므로 ... ...
먼지 따라 떠나는 지구과학 여행
과학동아
l
200904
거리에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 그렇지 않다. 지구가 태양을 공전하므로 지구 공전
궤도
에서 6개월 간격을 두고 같은 영역의 밤하늘을 찍어 비교하면 가까운 별이 먼 별을 배경으로 일정한 거리를 이동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각거리의 절반을 연주시차라고 한다. 별의 거리(pc, 파섹)는 ... ...
이전
40
41
42
43
44
45
46
47
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