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농도
밀집 상태
비중
에너지밀도
에너지
에네르기
빽빽함
d라이브러리
"
밀도
"(으)로 총 1,520건 검색되었습니다.
소리의 속력을 잡아라
과학동아
l
200912
기준으로 온도가 1℃ 상승함에 따라 약 0.61m/s씩 빨라진다. 이는 온도가 높을수록 공기의
밀도
는 작으므로 소리의 속력이 증가하는 것으로도 설명할 수 있다. 또한 습도가 높을수록 소리의 전파속력이 빠르다. 실험을 해보면 여름철 실험실에서 에어컨을 켰을 때가 켜지 않았을 때보다 속력이 느리게 ... ...
광통신 구현한 광섬유 디카의 핵심 CCD
과학동아
l
200911
00% 반사되는 현상이다. 광섬유는 상대적으로
밀도
가 높은 유리인 ‘코어’를 상대적으로
밀도
가 낮은 유리인 ‘클래딩’으로 감싼 구조다. 코어를 통해 전송되는 빛은 전반사 때문에 클래딩 부분으로 새나가지 않는다.현대 광섬유 기술은 빛을 한 번에 100km까지도 전송할 수 있을 만큼 발전했지만 ... ...
명품 바이올린의 비결은 ‘균’
과학동아
l
200911
3위는 6개월간 균 처리한 바이올린이 차지했다.슈바르체 박사는 “균이 번식한 나무는
밀도
가 15% 정도 줄지만 소리가 전달되는 속도는 그대로”라며 “이런 나무로 만든 바이올린은 소리가 부드러운 느낌을 주기 때문에 높은 음을 연주해도 귀에 거슬리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이런 ... ...
진도 울돌목에 국내 최초 조류발전소 떴다
과학동아
l
200911
갖추고 있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조류발전이 더 유리할 수도 있다. 물은 공기에 비해
밀도
가 840배 정도 커 조류발전을 하면 같은 크기의 터빈으로 더 많은 전기를 생산할 수 있기 때문이다.하지만 개발 비용이 너무 많이 들고, 조류발전소 때문에 선박이 이동에 불편을 겪기도 해 여러 가지 경제적인 ... ...
쓰나미 뚫고 통가 해저자원 탐사한다
과학동아
l
200911
탐사가 임박했다는 긴장과 설렘이 엿보였다.9월 29일 박쥐 모방한 첨단장비로 탐사정
밀도
높여피지는 330여 개의 섬으로 이뤄진 나라로 면적이 약 1만 8000km2이고 인구는 약 85만 명이다. 남한 면적의 5분의 1이 채 안 되지만 남태평양 섬나라 가운데는 가장 크다. 피지에서 가장 큰 섬은 비티레부섬으로 ... ...
별 볼일 없는 왜소은하가 왜 관심을 끄나요?
과학동아
l
200910
합쳐지는 ‘사건’을 겪을 경우 중력의 영향을 받아 왜소은하 중심에 수소 가스의
밀도
가 높아지면서 수많은 별이 탄생한다는 뜻이다.“청색왜소은하는 우리은하 같은 천체에 비해 무거운 원소의 비율이 수십 분의 1에 불과합니다. 대부분 수소와 헬륨으로 구성된 초기 우주의 환경과 비슷하지요 ... ...
꽃의 여왕, 장미의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0910
꽃송이가 작을 때 색이 더 진해 보여요. 장미가 크면 꽃잎이 넓어져, 단위 면적 당색소의
밀도
가 작아지거든요. 또 다른 비밀은 꽃잎의 굴곡에 있어요. 자세히 보면 장미의 꽃잎에는 울퉁불퉁한 굴곡이 있어요. 작은 장미가 진해 보이는 건 여기에 그림자가 지기 때문인데, 쭈글쭈글하던 꽃잎의 ... ...
속 보이는 사진 속 예술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0910
되는 곳이 뚜렷하게 나뉘므로 적절한 강도의 X선을 쬐는 일이 중요하다.이 때문에 비슷한
밀도
의 기판들이 부착된 노트북은 촬영하기 매우 까다롭다. 비교적 낮은 강도의 에너지를 쪼여야 금속들의 미미한 차이를 구분할 수 있다.발상의 전환정월대보름에 부럼을 깨물려고 땅콩과 호두를 사왔다. ... ...
사람 살리는 풍선의 변신
과학동아
l
200910
무척 단단하다. 하지만 교통사고처럼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거나 나이가 들면서 뼈의
밀도
가 줄어들고 약해지는 골다공증이 생기면 부러지고 주저앉을 수 있다. 주저앉은 뼈를 세워 고정시키고 척추를 원래대로 만드는 시술에는 척추성형술이 있다. 주저앉거나 찌그러진 뼈 부분을 마취하고 2~3mm ... ...
사과를 가장 효율적으로 쌓는 법
과학동아
l
200910
케플러의 주장처럼 과일 쌓기를 하면이 나온다. 이 숫자들을 ‘각 채우기 방식의
밀도
’라고 부른다. 케플러 방식은 대포알 같은 공이 전체 공간의 74%를 채운다. 여기서 따져봐야 할 것이 하나 더 있다. 지금까지 본 사례는 모두 규칙적으로 채운방식이지만, 규칙이 없게 채우는 방식도 허용하면 어떤 ... ...
이전
40
41
42
43
44
45
46
47
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