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평온
안녕
안전
고정
평정
안락
침착
d라이브러리
"
안정
"(으)로 총 2,716건 검색되었습니다.
도로시의 카오스 여행기 혼돈에 빠진 오즈를 구하라!
수학동아
l
201304
지적돼 왔다.김 교수는 카오스 이론을 적용해 레이저의 혼돈 현상을 예측하고 제어해
안정
적인 레이저를 만들었다. 또한 혼돈 레이저를 이용한 비밀통신방법도 개발했다. 레이저에 정보 신호를 넣은 뒤, 레이저의 빛의 파동을 불규칙하게 회전시킨 것이다. 그러면 해커들은 빛의 파동이 회전하는 ... ...
산불이 할퀴어도 씨앗은 남는다
과학동아
l
201304
현상은 교란이 아닌 천이다. 천이는 숲생태계가 지속적인 환경 변화에 따라 서서히
안정
화되는 과정을 뜻하기 때문이다. 바위가 풍화되어 광물질 토양이 되고 낙엽이 분해된 유기물이 토양과 섞이면 자연스럽게 토양이 비옥해지고 수분이 증가한다. 결국 척박한 토양을 좋아하는 소나무에서 비옥한 ... ...
비행, 레이더, 동면 - 진화의 꽃 박쥐의 모든 것
과학동아
l
201304
최저로 낮추는 활동입니다. 외부 온도가 오르락 내리락 하면 효율이 떨어지기에, 온도가
안정
적인 곳을 찾는 것은 당신의 생존을 좌우하는 대단히 중요한 일입니다.그런데 당신, 제가 동굴에 들어와 다른 종이 아닌 물윗수염박쥐를 처음 만난 것이 우연이 아니라고 말하는군요. 당신이 동굴 입구에 ... ...
4화 평행우주에서 찾은 사랑
수학동아
l
201304
아침에 문제가 발견됐잖아요. 아니, 그보다 이제 그 제품은 폐기돼야 해요. 너무 불
안정
하다고요!”“뭐? 말도 안 돼!”그는 갑자기 화가 난 듯 홱 돌아 행사장을 나갔다. 앨리스가 당황한 얼굴로 그를 불렀지만 소용 없었다. 그녀는 한숨을 쉬다가 걱정스러운 표정의 데카르트를 보고는 희미한 ... ...
사랑의 묘약, 있다? 없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04
벽이 있는 미로(플러스 미로)가 있다. 쥐는 보통 벽이 있는 길로 다닌다. 벽이 있으면
안정
감을 느끼기 때문이다. 하지만 엄마 쥐는 다른 쥐보다 벽 없는 길에 있는 시간이 더 많았다. 더 용감한 쥐가 된 것이다. 이 차이는 임신과 출산이 뇌에서 두려움을 담당하는 부분인 편도체의 활동에 변화를 주기 ... ...
꽃 호르몬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304
플로리겐 찾기는 애초에 불가능한 방법이라는 것이다. 플로리겐이 화학적으로 매우 불
안정
해 현재의 분리 방법으로는 추출 과정에서 깨져 없어진다는 가설도 등장했다. 심지어 기상천외의 물질이거나 그 양이 너무 적어 현재의 기술로는 분리할 수 없다는 가정도 나왔다. 어쨌든 1990년대에 ... ...
세라믹 없으면 스마트폰도 없다!
과학동아
l
201304
세라믹 필터는 물속의 오염물질을 거르는 데도 쓸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화학적으로
안정
돼 있어 부식이 일어나지 않는 게 장점이다.바이오 소재 또한 앞으로 유망한 분야다. 세포를 배양하거나 유전자를 검사하고 질병을 진단하는 일에서는 정확도와 속도를 높일 수 있다. 금속이 아닌 세라믹으로 ... ...
히말라야 流浪
과학동아
l
201303
봉우리들이 매서운 북풍을 막아주기 때문이다. 히말라야 남쪽 3000~7000m에는 비교적
안정
된 기류가 형성돼 있었다.원정의 최대 난적은 영하 30℃의 혹한이었다. 특히 공중에서 손을 쓰며 비행해야 하기 때문에 손이 시린 것은 가장 큰 고통이고 위협이었다. 박정헌 대장은 히말라야에서 손가락 8개를 ... ...
북핵 미스터리
과학동아
l
201303
필요하다. 이정익 KAIST 원자력및양자공학과 교수는 “고농축이 가능해야 하고 자연에
안정
적으로 존재해야 한다”며 “이런 조건을 만족시키는 핵종은 우라늄-233과 235, 플루토늄-239와 241 이렇게 네 가지뿐”이라고 설명했다. 이 중에서 우라늄-233은 거의 사용되지 않아 실질적으로 가능한 우라늄은 ... ...
절대영도보다 낮은 온도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1303
필요하다는 뜻이다.신용일 교수는 “이번 실험의 최대 의의는 0.7초 이상 음의 온도를
안정
적으로 유지했다는 데 있다”고 강조했다. 또 신 교수는 “미시적인 물리분야에서 0.7초 정도면 상당히 거시적인 시간”이라며 “이전까지 불가능했던 실험을 할 수 있는 새로운 실험장이 생긴 것”이라고 ... ...
이전
40
41
42
43
44
45
46
47
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