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능한 한"(으)로 총 9,739건 검색되었습니다.
- [역설 나라의 앨리스] 제 11장. 선택 공리가 만드는 역설수학동아 l2022년 12호
- 인정하는 순간, 수많은 기이한 결론이 도출됩니다. 한 가지 사례가 앞서 알아본 ... 양수가 음수 앞에 오도록 정렬한 겁니다. 그런데 여기서 ... 공리의 비구성적 논증 이런 괴이한 결론이 발생한 원인은 선택 공리 때문입니다. ... 선택 공리가 반드시 필요한데요. 선택 공리가 ...
- [힉스 10년] 1000만 힉스의 외침 “표준모형이 옳다”과학동아 l2022년 12호
- 힉스 입자를 실험한 결과는 표준모형이 ... 있습니다.” 김태정 한양대 물리학과 교수는 이 한 문장으로 힉스 입자 발견 ... CMS) 검출기 연구팀의 한국 대표를 맡고 있다. ... CMS에 참여하고 있으며, 한국은 약 110명이 소속돼 ... ‘표준모형’이 예측한 입자 중 마지막 ...
- [5년 후 과학] 나만의 맞춤 구름 모바일 클라우드과학동아 l2022년 12호
- 셔틀버스 서비스나 에지 클라우드 컴퓨팅에 기반한 CCTV 분석 등이 지금보다 더 대중화되겠죠.영화 속 ... .1초의 지연도 없이 고성능 컴퓨터로 처리해야만 가능한 기술입니다. 영화에서는 자주 등장하 지만 현실에서는 보기 힘든 이유입니다. 하지만 홀로그램을 구현하는 데 필요한 컴퓨팅 자원을 ...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어디서나 함께 음악을~♪ 블루투스 스피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2호
- 발생시켰다 멈췄다 하며 모스 부호●를 이용한 정보 전달에 성공했어요. 이것이 무선 통신의 ... 수 있어요. 아직 우리나라 일부 지역에서 사용 가능한 5G 통신 주파수는 약 3.5GHz(기가헤르츠)지만, 전국 어디서나 쉽게 수신할 수 있는 FM 라디오 전파는 100MHz(메가헤르츠) 근처의 낮은 주파수를 ... ...
- [매스미디어] 태양의 서커스 : 뉴 알레그리아수학동아 l2022년 12호
- 불을 붙인 막대가 아닌 공 3개로 저글링을 한다고 가정할게요. 곡예사는 첫 번째 공을 5초간 떠 ... 저글링을 했어요. 정말 대단하죠? 인간 탑이 가능한 이유는? 공연 중반부에 이르면 음악이 고조되면서 인간 탑이 쌓아져요. 십자로 교차된 긴 나무 봉을 네 사람이 쥐고, 봉 위에 두 사람이 2층으로 ... ...
- 블랙홀이 시간 차 트림을 했다?과학동아 l2022년 12호
- 첫 관측에서는 받지 못한 전파가, 놀랄 만한 세기로 관측됐기 때문이다. 조석교란현상이 발생한 뒤 뒤늦게 전파가 방출되는 ... 등 이다. 이때 지구에서는 약한 전파가 감지된다. 하지만 연구팀이 2021년 관측한 전파는 일반적인 약 한 전파로 간주하기엔 밝았다. ... 전파의 세 ...
- [시사기획] 인터넷은 누구의 것인가과학동아 l2022년 12호
- 접속은 물론 의견 표출도 거의 불가능한 중국의 인터넷에 대해 최 위원은 ... 지금의 자유로운 인터넷 세상이 가능한 셈이다. 이 관점에서 망 사 용료를 생각해 보자. 전 세계의 ISP가 각자 망 사용료를 걷는 순간 인터넷 사용료는 치솟을 것이고, 모두가 자유롭게 드나드는 인터넷은 무너지고 말 ... ...
- [힉스 10년] 빅뱅보다 먼저 일어난 급팽창, 힉스가 원인일까과학동아 l2022년 12호
- 아주 짧은 시간 동안 급팽창한 뒤, 우주 나이 38만 년 즈음 ... 있었던 걸까. 힉스가 중요한 단서다. 전통적인 빅뱅 ... 높았다는 것은 매우 그럴듯한 가정이다. 이것을 바탕으로 다음 단계에 대한 추론까지 가능해진다. 빅뱅 ... 원자의 결합에너지와 유사한 정도로 떨어진다. 그러자 ... ...
- 미래세대 해양탐구 프로젝트 I 부산, 청년과 바다를 꿈꾸다과학동아 l2022년 12호
- 수온의 특성 때문에 바다는 육지보다 한 계절씩 늦다는 걸 알게 됐습니다.새로운 직업부터 지구와 공생 가능한 방법까지점심을 먹고 내려간 창의융합교육원 지하 해양과학전시실에는 다양한 체험시설들이 마련돼 있었습니다. 지역별 바다 표층 수온을 느낄 수 있는 기계에 손바닥을 대보니 극지방 ... ...
- [DIGST@융복합 파트너] 유전체의 3차원 구조를 밝힌다과학동아 l2022년 12호
- 분의 1m) 정도밖에 되지 않는 공간에서 그런 정교한 작업이 가능한지 궁금하지 않으세요?”김유리 뉴바이올로지학과 교수는 초롱초롱 빛나는 눈으로 연구 분야를 소개했다. 9월 27일, 분자후성유전학 연구실에서 유전체 구조 및 항상성 연구를 하는 김 교수를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에서 만났다.김 ... ...
이전4041424344454647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