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고리"(으)로 총 1,237건 검색되었습니다.
- 치르치르의 응답하라 외계생명체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1호
- 난 1977년 9월 5일 미국 케이프커내버럴 기지에서 출발했지. 원래 내 목적은 토성과 목성의 고리와 위성 탐색이었다네. 1989년 행성 탐사 미션은 끝났지만 그 후 성간 임무를 새로 수행하고 있는 중일세. ‘스윙바이’와 방사성 동위원소가 붕괴할 때 발생하는 열을 전력으로 바꾸는 플루토늄 전지 ... ...
- 원자력이 안전해? 정말? 정말!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7호
- 지진이 나도 원전은 멀쩡하다?월성 원전 1호기는 우리나라 최초로 만든 중수로 원자로야. 고리, 영광, 울진에 있는 다른 원전과 함께 싸고 안전한 전기를 만들기 위해 힘쓰고 있지.규모 7.0의 강진에도 버틸 수 있을 정도로 내진설계가 잘 되어 있고, 외부 전원이 없어도 원자로를 식히는 냉각수가 ... ...
- 종이 나라의, ‘오려라 공주’와 ‘풀치래 왕자’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3호
- 한 번만 하고, 가위는 종이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한 번에 쭉 사용해서 서로 연결된 고리를 만들어 보아라!”종이 나라의 몰래카메라“썰렁홈즈! 역시 대단해요!”문제를 모두 맞힌 썰렁홈즈. 이번에도 종이 나라를 살릴 수 있었다. 그런데 이게 웬일? 뭔가 분위기가 이상했다.“하하하, 몰래~ 카메라! ... ...
- SF단편 양자의 아이들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중요한 것은 그 시계였다. 그 시계는 모든 것을 상징했다. 시계는 바퀴이며, 뫼비우스의 고리이고, 빠져나갈 수 없는 감옥이었다. 그 시계가 움직였다. 주리는 그 한 마디로 투표의 결과를 알아챘다. 나는 주리의 아버지가 아니었지만 주리는 내 자식이라 해도 괜찮을 만큼 명민하고 영악했으며 ... ...
- Part 2_ 보이지 않는 68%의 수수께끼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3년 12호
- 빛이 휘어지는 현상을 말한다. 그중에서 약한 중력렌즈는 빛이 휘어 지는 정도가 작아 고리를 만들거나 관측 대상이 여러 개로 보이지는 않는 경우를 말한다. 먼 은하에서 나오는 빛이 중간에 있는 은하단의 중력 때문에 휘어지는 정도를 측정하면 은하단의 분포를 알 수 있다. 이를 이용해 ... ...
- ‘스마트’하게 즐기는 수백 년 전 과학실험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만든다.❷ 소금물을 작은 컵에 반씩 따른다.❸ 아연판과 구리판 끝을 각각 구부려 고리처럼 만든다.❹ 작은 컵에 아연판과 구리판을 각각 건다. 소금물에 끝이 잠기도록 주의.❺ 준비한 금속판을 건 작은 컵들을 나란히 늘어놓는다. 구리판은 다른 컵의 아연판, 아연판은 다른 컵의 구리판과 닿아야 ... ...
- 소설, 수학을 삼키다!수학동아 l2013년 11호
- 향해 돌진해오는 미래는 맬서스의 가차 없는 수학에 입각해 우리를 지옥의 첫 번째 고리 가장자리로 내몬다. 상상조차 하지 못한 속도로 추락을 예비한 채….로 전세계에 이름을 알린 댄 브라운의 소설 의 한 구절이다. 지옥이 우리를 기다리고 있다는 말을 하고 있어 왠지 ... ...
- PART 1. 물리학상 - 힉스에 대한 치명적인 오해5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금자탑인 표준모형의 잃어버린 고리를 연결해준 상인 동시에, 노벨 물리학상의 잃어버린 고리를 꿰어낸 상이었다.오해 4 | 힉스 교수가 가장 처음 발견했다?앙글레르와 힉스 교수의 연구는 약간의 시차를 두고 발표됐다. 유명세 때문에 힉스 교수가 먼저 발표했을 것 같지만, 사실은 반대다. 그것도 ... ...
- 과학기술자가 창업하는 나라를 위해 (천종식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 생명과학 벤처 ‘천랩’ 대표)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전공은 생물학이었고 프로그래밍은 하고 싶고. 그러다보니 둘 사이에 어떻게든 연결고리를 찾게 되더라고요. 심지어 대학원 전공도 컴퓨터를 가장 많이 쓰는 전공으로 택했습니다. 그게 분류학이었어요.” 분류학은 생물의 분류 체계를 연구하는 분야다. 가깝게는 린네와 같이 식물 분류를 한 ... ...
- 바다 소용돌이, 우주의 블랙홀과 닮았다?!수학동아 l2013년 11호
- 순환시키는 역할을 하며 지구의 기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해류 중에는 거대한 고리 형태로 순환하는 소용돌이가 있는데, 지금까지 과학자들은 소용돌이에 대해 정확히 알지 못했다. 소용돌이의 정확한 경계를 알아내지 못했기 때문이다.하지만 연방공과대 비선형동역학과 조지 할러 ... ...
이전4041424344454647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