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간"(으)로 총 5,533건 검색되었습니다.
- 조합론 난제를 대수기하학 도구로 해결수학동아 l2022년 08호
- 행렬에서 X에 속한 열만 뽑아서 그 열벡터를 가지고 선형결합 해 만들 수 있는 벡터 공간의 차원을 r(X)라는 함수로 써 봅시다. 매트로이드에서는 이것을 ‘X의 랭크’라고 부릅니다. 이때 ak를 랭크가 k이면서 원소의 개수가 짝수인 X의 개수와 랭크가 k이면서 원소의 개수가 홀수인 X의 개수의 ... ...
- 정수론 만능 열쇠로, 고차원 케플러의 추측 해결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있는데, 차원이 높아지면서 공 사이의 빈 공간이 커져 8차원에서는 같은 크기의 공을 빈 공간에 꼭 맞게 끼워 넣을 수 있게 됩니다. 다른 예로는 1960년대 영국 수학자 존 리치가 24차원에서만 가능한 대칭적이며 효율적인 공 쌓기 방법을 제안했습니다. 편의상 각각을 ‘E8 격자’와 ‘리치 격자’라고 ... ...
- [킹앤포] 이론물리학과 현대수학의 만남 에드워드 위튼수학동아 l2022년 08호
- 때문에 양의 에너지 정리를 간단하게 증명할 수 있었어요. 위튼 교수는 물리학에서 시공간의 휨, 즉 중력은 입자의 운동으로 탐지할 수 있고, 디랙 방정식은 다름 아닌 양자역학에서 전자의 파동함수를 결정한다는 ‘자연스러운 사고의 흐름’을 따라가서 새로운 관점을 열었어요. 이번 문제도 위튼 ... ...
- [슬기로은 세특 생활] 내신3.9로 고려대 간호대학에 입학한 건에 대하여과학동아 l2022년 08호
- 수학아카데미반 : 함수의 극한과 연속성, 연속함수의 성질, 함수의 미분 가능성, 함수공간, 미분 가능 함수의 성질에 대하여 토론학습 및 발표수업을 했음. 테일러 급수 및 삼각함수의 역함수 미분법 등 다소 생소할 수 있는 어려운 주제들을 가지고 공부하였으며 생각의 틀을 확장시킬 수 있는 좋은 ... ...
- [기획] 풀면 13억, N-S 방정식이란?수학동아 l2022년 07호
- 나비에와 아일랜드 수학자 조지 스토크스가 만들었어요. 이 방정식의 해는 어떤 시간과 공간에서 유체의 속도와 압력을 알려주는 함수예요. N-S 방정식은 매우 복잡하게 생겼는데요. 그 구조는 간단해요. 뉴턴의 운동 제2법칙 F = ma를 유체의 상황에 맞게 변형한 거예요. N-S 방정식 관련 밀레니엄 ... ...
- [특집] 블록체인, 불평등을 불러온다과학동아 l2022년 07호
- 수 없게 된 현실에서 나온다. 그렇다. 우리가 꿈꾸던 그 자유롭고 유토피아적인 ‘사이버 공간’이 아닌 ‘메타버스’다. 인간의 지적·유희적 행위가 노동이 되고, 불평등이 암호화돼 인지하기 어려워진 공간. 블록체인에 대한 시민적·인간학적 성찰이 그 어느 때보다도 요구되는 이유가 여기에 ... ...
- [논문탐독] 세상을 들어 올리는 지렛대 과학자들의 실험실과학동아 l2022년 07호
- 실험실에서의 성공이 프랑스 전역으로 확산할 수 있다는 것이죠.마음껏 실패할 수 있는 공간그렇다면 이렇게 확산할 수 있는 힘은 어디에서 나올까요. 라투르는 과학자가 실험실에서 외부인의 눈을 피해 마음껏 실패할 수 있다고 말합니다. 과학자들이 항상 성공하는 것처럼 보이는 이유도 ... ...
- [시사기획] 소형 핵탄두 등장하나과학동아 l2022년 07호
- 주변의 열감지를 위해 적외선 카메라가 장착돼 가로 220km, 세로 160km를 동시 관측하고, 공간 분해능은 약 300m의 성능을 갖고 있다. 오현웅 조선대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는 “기존 임무인 백두산의 분화 관측 등을 하면서 인근에 있는 풍계리에서 핵실험으로 발생한 온도 변화를 확인할 수도 있다”며 ... ...
- [가상 인터뷰] 세균을 위한 초호화 집, 전기에너지 생산을 돕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7호
- 충분히 넓은 구조죠. 연구팀은 유리 고층 건물처럼 햇빛이 잘 들고 기둥의 표면적이 넓은 공간을 만들어냈답니다. 이 건물을 활용하여 앞으로 남세균을 대체에너지로 사용할 수 있을까?연구팀은 남세균이 나노 초고층 건물 속에 있으면 다른 바이오 에너지 기술보다 더 효율적으로 전기에너지를 ... ...
- [SF소설] 나와의 다세계적 채팅방 해석과학동아 l2022년 07호
- 얽힌 ‘우리’라는 가설.‘우리’가 얽힌 시점은, 시간적으로는 약 2년 전 겨울이었고, 공간적으로는 어느 대학의 연구소였다. 당시 썼던 계약서에 따르면 그때 그 프로젝트에 참여한 나에게 구체적인 내용을 이야기할 권한이 없는데, 다만 그곳이 세계 최초는 아니지만 국내 최초로 100 큐비트 ... ...
이전4041424344454647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