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다량
다수
풍부
d라이브러리
"
대량
"(으)로 총 1,604건 검색되었습니다.
“국내 최고 과학자들의 창의적 연구성과 즐기러 오세요!”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됐나요?현 : 처음 들어보는 공식인데요(웃음). 물론입니다. 크기가 일정한 나노입자를
대량
으로 만들 수 있는 방법을 발표한 논문은 2004년 ‘네이처 머티리얼즈’에 실려 지금까지 500회가 넘게 인용됐습니다. 창의연구단의 연구비로 7억 원짜리 투과전자현미경을 구매할 수 있었기 때문에 다른 ... ...
1982년 토머스 체크 교수의 RNA 효소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포함한 일부분을 잘라내 플라스미드(원형 DNA)에 집어넣은 뒤 대장균에서 플라스미드를
대량
복제했다. 그 뒤 시험관에 플라스미드와 대장균의 RNA중합효소(전사반응을 일으키는 효소)를 넣었다. 만일 여기에서도 스플라이싱이 일어난다면 이는 RNA 자체에 촉매활성이 있다는 강력한 증거가 된다. ... ...
의료용 방사성 동위원소 수급 빨간 불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주민의 반대에 부딪혀 건립 계획이 무산된 바 있다. 교과부는 중장기적으로 동위원소를
대량
생산하는 전용 원자로 건설을 추진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기획재정부에 타당성 조사를 받을 계획이다.정재민 교수는 “진료용 동위원소 공급이 불안해짐에 따라 요오드-131 같은 암 치료용 동위원소의 ... ...
2010 리얼리티의 재구성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추정했다. 라마찬드란 박사도 자신의 저서에서 “뇌는 잉여적이고 쓸모없는 정보들을
대량
으로 폐기하고 특정 속성들을 강조하는 일종의 분류 작업을 한다”고 밝혀 이 같은 주장을 뒷받침했다.아바타를 나의 분신으로 느낄 때그렇다면 가상현실에는 리얼리티가 얼마나 있을까. 가상현실 속 ... ...
팝아트의 아이콘, 앤디 워홀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사람에게 친근하길 바랐기 때문이다. 그래서 자기 작품의 의미를 표현하는 데 손쉽게
대량
으로 제작할 수 있는 실크스크린 기법이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했다.가끔 워홀은 실크스크린 외에 색다른 시도도 했다. 그는 캔버스 위에 아크릴 물감을 칠하고 마르기 전에 오줌을 눠 산화시키기도 했다. 이 ... ...
천 년을 견디는 종이 ‘한지’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조선시대는
대량
생산 체제로의 발전 단계였다. 조선 초 금속활자의 개량과 서적 간행이
대량
으로 이어지면서 종이의 수요가 크게 늘었다. 이런 수요에 맞춰 조선에서는 태종 15년(1415년)에 제지장들을 관장하고 직접 종이도 만드는 조지소(造紙所)가 설치돼 제지기술의 보급, 지질의 개량, 합리적인 ... ...
실명도 줄기세포로 치료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군인의 헌혈이 있기에 버티고 있다. “지금 배아줄기세포로 혈액(적혈구와 혈소판)을
대량
생산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2014년 세계 최초로 경기도 판교에 혈액을 만드는 공장을 가동시킬 계획입니다.” 차바이오&디오스텍 정형민 사장은 배아줄기세포가 치료 뿐 아니라 현대의학시스템이 ... ...
한겨울 추위 이기게 하는 입 큰 생선 대구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없다. 실제로 대구가 엄청난 개체 수를 자랑하던 때가 있었다. 과거에는 겨울철만 되면
대량
으로 잡혀 남해안의 어시장이 대구로 넘쳐나곤 했다.그러나 대구도 다른 물고기들과 마찬가지로 남획의 운명을 피해갈 수 없었다. 해마다 어획량이 줄기 시작하더니 1993년에는 아예 씨가 말라버릴 지경에 ... ...
광결정으로 전자종이와 잠자리 눈 센서 만든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바뀌는 ‘야누스 구슬’연구단은 미세한 양의 유체를 마음대로 조절하는 기술을 개발해
대량
의 광결정을 순식간에 만드는 획기적인 방법도 개발했다. 연구단은 머리카락 굵기보다 얇은 관으로 수십~수백μm(마이크로미터, 1μm=10-6m) 크기의 물방울을 빠르게 만들어내는 장비를 개발했다.그리고 ... ...
사이언스誌 선정 10대 과학뉴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3위는 성균관대 홍병희 교수와 삼성전자 최재영 박사 연구팀이 개발한 나노 그래핀
대량
합성 기술이 차지했다. 그래핀은 탄소원자가 벌집 모양으로 연결된 얇은 판으로 차세대 디스플레이나 전자 소자로 최근 가장 주목받고 있다. 4위는 서울대 의대 서정선 교수와 가천의대 김성진 교수가 각각 ... ...
이전
40
41
42
43
44
45
46
47
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