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데이터"(으)로 총 3,453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데이터 분석으로 꿀벌을 구하라!수학동아 l2022년 05호
- 꿀벌이 사라지는 일은 우리나라만의 문제가 아니야. 미국, 유럽, 아프리카 등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일어나면서 세계 곳곳에서 꿀벌을 되살리기 위한 노력이 이어지고 있지! 구출작전 1 AI로 기생충과 말벌 발견! 꿀벌을 위협하는 가장 큰 이유 바로아응애! 유럽에서도 바로아응애는 양봉을 방해하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오늘도 알고리즘이 나를 멋진 신세계로 이끌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4호
- 마찬가지고요. 이런 소셜미디어들은 내가 지금까지 자주 클릭하고 시청했던 영상들을 데이터로 저장하고 나의 취향과 관심사를 분석한 뒤, 내가 좋아할 것 같은 영상을 찾아서 추천해 줍니다. 이것은 ‘알고리즘’ 덕분이에요. 유튜브의 알고리즘은 세상에 투명하게 공개된 건 아니지만, 과거에는 ... ...
- [폴리매스 수학자를 만나다] "수학으로 인공지능을 연착률시킬래요!" 현윤석 인하대 교수수학동아 l2022년 04호
- 연구했지요. 사람의 뇌 속 신경망 구조를 모방한 딥러닝을 컴퓨터에 내장하면 데이터에서 일정한 패턴을 발견해 사물을 구분할 수 있거든요. 자율주행차가 앞의 장애물이 무엇인지 알아차리고 움직여야 해서 딥러닝은 자율주행차의 핵심 기술입니다. Q 대수기하학을 전공하셨으니 연구 분야가 ... ...
- 암흑물질의 추적자들과학동아 l2022년 04호
- 우주에서 온 중성미자의 종류, 충돌 각도 등을 검출할 수 있는 장치다. 검출된 데이터를 분석해 중성미자가 어디에서 왔는지 계산한다. 이를 통해 우주 전역에 펼쳐진 중성미자의 지도를 그리는 것이 아이스큐브의 주된 목적이다. 우주에서 암흑물질이 충돌하며 생긴 고에너지 중성미자나 ... ...
- [과학뉴스] 아마존 열대 우림, 75%가 복원력 잃어과학동아 l2022년 04호
- doi: 10.1038/s41558-022-01287-8 연구팀은 1991년~2016년 사이 아마존 열대 우림을 촬영한 위성 데이터를 분석했다. 그 결과 2000년대 초반부터 열대 우림 지역의 상당 부분이 복원력을 잃고 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연구팀은 벌목 등 인간 활동을 복원력 상실의 이유로 분석했다. 볼턴 연구원은 “이번 연구는 ... ...
- 뇌과학으로 본 '마기꾼' 효과과학동아 l2022년 04호
- 수 있다. 매력도만이 아니라 키나 몸무게, 심지어 성과 같은 서로 다른 종류의 여러 데이터를 측정할 때, 판단에 필요한 정보가 줄어들면(예를 들어 마스크로 얼굴을 가린 경우), 판단의 결과는 극단값보다 평균값에 가깝게 나오게 되는 통계 현상이다. 그렇다면 한 가지 의문을 가질 수 있다. 대체 왜 ... ...
- [SF소설] AI 마이너스 알츠하이머과학동아 l2022년 04호
- 빌딩이 TV 화면에 스치듯 지나갔다. 재하가 내게 화를 낸 건 이런 이유 때문이었을까. 데이터에 내 판단이 개입되는 순간, 더 이상 실존 인물의 재현이라고 볼 수 없다고 말이다. 아니면 이런 일 자체가 싫었던 걸까. 저 후보의 AI를 만들면서, 나와 차연 씨가 겪은 고민을 후보의 가족과 재하의 회사는 ... ...
- [특집] 콘텐츠 인기 순위, 수학으로 예측!수학동아 l2022년 04호
- 알아볼게요. 한편 일각에서는 수학으로 흥행을 예측하는 시도에 우려를 표해요. 기존 데이터만 활용하면 미래의 문화적 환경이나 관객 취향 변화 등은 고려할 수 없기 때문이에요. 또 지나치게 흥행에만 초점을 둔 작품이 나올 수 있어요. 그래서 수학의 흥행 예측을 참고로 하되 지나치게 ... ...
- [핫이슈1] 치면 안타 되는 속도와 각도는? 한국형 배럴 타구!수학동아 l2022년 04호
- 안 나오는 이유를 파악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했어요. 그래서 수많은 토론과 데이터 분석을 통해 현재 배럴 타구의 문제점 3가지를 도출했지요. 첫째, 기준이 높아 배럴 타구에 속하는 타구가 거의 없다는 점. 둘째, 구장별 특징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점. 셋째, 1루타 같은 단타가 더 많이 ... ...
- 우주를 만든 27%의 숨은 공로자, 암흑물질과학동아 l2022년 04호
- 위해 미국은 1989년 우주배경복사 탐사 위성 코비(COBE)를 쏘아 올렸다. 코비가 보내온 데이터를 종합하면 우주배경복사는 절대온도 2.7K인 흑체복사의 분포를 따르고, 관측의 위치와 방향에 상관없이 거의 일정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이를 우주배경복사의 등방성이라 부른다. 여기서 ‘거의 ... ...
이전4041424344454647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