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당
분배량
상
부담액
역할
책임
구전
d라이브러리
"
몫
"(으)로 총 846건 검색되었습니다.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최재천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사람이 과학적 마인드를 갖게 하자는 것입니다. 과학 대중화를 핑계로 저질 과학으로 한
몫
챙기려는 풍토는 경계해야 합니다.”학문간 연구에도 관심이 깊은 그는 인문과학과 같은 전혀 다른 분야 전문가들과 토론하길 좋아한다.“학자는 모름지기 잡담을 많이 해야 합니다. 학문이 학문으로만 ... ...
마침내 모습 드러낸 파란장미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도입했다. 그러나 웬일인지 이 유전자는 장미에서는 작동하지 않았고 카네이션에서만 제
몫
을 했다. 1994년 마침내 블루 진이 제대로 작동한 카네이션이 꽃을 피웠고 1996년 ‘문더스트’ (Moondust)라는 이름으로 시판돼 많은 사람들의 찬사를 받았다. 문더스트는 최초로 상업화된 유전자변형 꽃이다 ... ...
다재다능 이산수학 맛보기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각 다리를 한번씩만 지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수학 영재 발굴에도 한
몫
오일러의 그래프처럼 점이나 선분, 그리고 자연수 등 원소의 개수를 셀 수 있는 집합에 대해 정의된 학문을 이산수학이라고 부른다. 조합론, 그래프이론, 암호이론, 알고리즘 분석 등이 이산수학에 속한다 ... ...
정재승 교수가 이끄는 대학생 연합 동아리 '꿈꾸는 과학'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지난해 4월 인터넷 서점 ‘알라딘’과 ‘모닝365’에는 다음의 공지문이 떴다. “과학의 대중적 글쓰기에 관심있는 대학생들의 연합 동아리를 만들려 합니다.”이 글을 올 ... 1995년 12월 과학동아에 데뷔했다. 10년 후쯤이면 이들도 정 교수처럼 과학대중화를 위해 한
몫
할 것으로 기대된다 ... ...
07. 사람 마음 읽는 감성컴퓨터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사이 컴퓨터에게 자신의 감성을 들켜버리면 그뿐이다. 그에 대한 반응은 컴퓨터의
몫
이다. 인간은 그저 감동할 뿐. 이것이 감성컴퓨팅의 본질이다.5감을 표현하는 디지털 콘텐츠 최근 한국전자통신연구소 차세대PC 연구팀은 인간의 5감을 표현할 수 있는 독특한 콘텐츠 제작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 ...
5명 선원과 1마리 원숭이의코코넛 나눠갖기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다섯 더미로 나눴다. 그런데 이번에도 하나가 남아서 원숭이에게 남는 하나를 주고 자기
몫
은 숨겨놓았다. 이런 식으로 다섯 사람이 모두 똑같은 일을 하자 날이 밝았다. 모두들 코코넛 개수가 줄었다는 것을 알았지만, 저지른 죄가 있다보니 아무 일도 없었다는 듯 남은 코코넛을 똑같이 나눠가졌다 ... ...
색동옷에 숨겨진 전통염색의 비밀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우려낸 쪽물에서 색소를 뽑는 역할은 1천2백˚의 불에서 조개껍질을 구워 얻은 석회의
몫
이다. 일단 구운 조개가루를 쪽풀이 썩은 물에 정확한 비율로 섞은 뒤 고무래로 2시간 정도 젓는다. 이때 같은 방향으로 일정한 힘을 들여 고무래질을 해야 색이 잘 나왔음을 알리는 가지빛 꽃거품이 생긴다. ... ...
사막화되는 독도 앞바다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생태계를 잘 보존하는 제도적인 장치의 마련은 노력은 독도를 지키려는 우리들이 해야할
몫
이다. 이를 위해 시간이 소요되더라도 자생적인 연안 생태계 보존 방법을 강구하면서 독도에 대한 학술조사가 체계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관계 기관에서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져 주길 바란다 ... ...
KT대표이사 사장 이용경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사이에 반도체 레이저를 이용한 광통신 전송시스템을 최초로 제작해 설치하는데 한
몫
했다. 이 시스템은 최초의 광통신 상용시스템이었다.“광통신이 새로 상용화되는 순간이었죠. 그때 참 보람이 있었어요. 앞서나가는 과학자들과 함께 일한 것은 뜻깊은 경험이었죠.”그렇다면 앞으로 통신 분야는 ... ...
문자 메시지 촉감으로 이해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오가는 대부분의 정보는 소리나 이미지를 이용한다. 그런데 이제 손가락의 촉감도 한
몫
할지 모른다. 독일 본대의 신경과학자들이 손가락의 촉감으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해냈기 때문.롤프 엑크밀러 교수 연구팀이 4월 19-24일 사이에 열린 독일 하노버 산업박람회에서 소개한 ... ...
이전
40
41
42
43
44
45
46
47
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