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반대"(으)로 총 4,967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피타고라스 정리로 증명한 독도는 우리땅!수학동아 l2021년 10호
- 우리땅임을 증명했을까요? 수학으로 봐도 독도는 우리땅! 지구는 둥글기 때문에 지구 반대편의 나라는 볼 수 없습니다. 울릉도와 독도 역시 서로 멀리 떨어져 있으면 보이지 않을 수도 있겠죠. 정말 그럴지 수학으로 계산해봅시다. 먼저 지구처럼 동그란 원 위에 독도(B)를 그립니다. 이때 b는 ... ...
- 제보 분석 │ UFO 비행 특성을 밝히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움직임을 보인다. 물체가 비행하는 도중 역방향으로 진행할 때 회전 반경이 없이 그 즉시 반대 방향으로 비행할 수 있는 능력은 제트 추진 방식의 비행체로 구현할 수 없다. 분석3. 구전(Ball Lightning) 현상일 가능성구전체는 매우 드물게 일어나는(번개 발생 확률의 10만 분의 1 정도) 전자기적 ... ...
- [한페이지 뉴스] 화성 여행, 화창한 2030년대에 떠날까?과학동아 l2021년 10호
- 피하는 게 유리하다는 뜻이다.SEP는 태양 활동이 활발한 기간 가장 많이 발생하고, GCR은 반대로 태양 활동이 많을수록 감소한다. 연구팀은 GCR은 적어지는 태양 극대기에 유인 탐사를 시작하는 것이 더 안전하다고 결론 내렸다.도빈데 연구원은 “다음 태양 극대기는 2025년쯤으로 유인 탐사를 ... ...
- [가상 인터뷰] 혜성이 털어내는 '우주 비듬'이 5200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따라 돌다가 태양에 가까이 오면서 태양풍과 자기장의 영향을 받게 돼. 그러면 태양 반대 방향으로 먼지와 이온화된 물질이 날려 꼬리가 생겨. 이때 혜성에서 나온 고체 잔해들이 지구 중력에 이끌려 대기로 떨어지면 유성이 되지. 그런데 4월 15일,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센터 장 뒤프라트 박사가 ... ...
- 잘 읽히는 글꼴, 기억 잘 되는 글꼴은 따로 있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1990년 중앙대 신문방송대학원 연구팀이 지면광고의 본문용 글꼴로 실험한 결과는 반대였다. 독자가 글을 읽는 속도는 돋움체가 바탕체보다 빨랐다. 본문의 내용을 바탕으로 한 이해도 평가에서는 두 서체가 비슷했다. 글자를 읽는 대상에 따라 바탕체와 돋움체 가독성의 우열이 바뀌기도 한다. 200 ... ...
- 나만의 트랙에서 쌩쌩! 그래비트랙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시작하면 위치에너지가 물체의 ‘운동에너지’로 전환돼요. 물체는 지구 중력의 반대 방향으로 갈수록 위치에너지가 커지기 때문에, 높은 곳에서 출발할수록 더 빠른 속도로 트랙을 달릴 수 있게 되지요.꼭 내리막길만 있어야 한다는 법은 없죠! 오르막길도 만들 수 있어요. 빠르게 구르던 액션 ... ...
- [특집] 독도의 하늘과 바다, 땅을 연구하는 사람들수학동아 l2021년 10호
- 특성을 지닌다.* 냉수성 소용돌이 : 독도 동남쪽 부근에 나타나는 소용돌이로 시계 반대 방향으로 돌면서 차가운 물이 상승하다 수면에 퍼지는 특성을 지닌다.* 식양질과 사양질 : 식양질은 점토 함량이 18% 이상, 사양질은 18% 이하인 흙을 말한다 ... ...
- [기획] 수학 교육 강화, Yes or No?수학동아 l2021년 10호
- 꺼리는 학생이 더욱 늘어날 것 같습니다. 안창호 (인천진산과학고등학교 수학 교사) 반대 / 4차 산업혁명 시대라고 해서 인공지능과 관련된 내용을 모든 학생이 배울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학생들에게 학습 부담을 주면서까지 배우는 양을 늘리는 것은 수학이라는 과목을 더 싫어하고 ... ...
- 기술의 변화 글꼴의 변신과학동아 l2021년 10호
- 대부분 그대로 수용하다 보니 먹이 많이 묻어 활자의 본형보다 굵은 글자들이 보이고 반대로 먹이 종이에 충분히 닿질 않아 공백이 생겨 인쇄가 분명치 않은 부분도 간혹 나타난다”며 “이 부분들은 금속 활자가 완성 단계에 이른 조선시대에 들어서면서 확연하게 개선됐다”고 적었다. 1403년 ... ...
- [매스미디어] 정글크루즈 치유의 꽃잎을 찾아서수학동아 l2021년 09호
- 때는 여러 층을 이루며 자란다. 높이 자란 나무는 광합성을 하기 좋으므로 밀도가 높고, 반대로 낮게 자란 나무는 밀도가 낮아진 결과다. 일본의 수학자 이와사 요는 이처럼 나무가 주변 환경에 따라 성장 속도와 높이가 달라지는 현상을 관찰하고, 그 결과를 수학자의 관점으로 해석해 ‘생물의 ... ...
이전4041424344454647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