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항공기 조종사
비행기
비행가
d라이브러리
"
비행사
"(으)로 총 520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을 선도하는 SF 상상력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내부묘사가 엄밀한 것으로 유명하지만 실수도 있었다. 무중력 상태의 우주선 안에서
비행사
가 빨대로 액체를 빨아먹는 장면이 나오는데, 빨대에서 입을 뗐더니 빨대 안의 액체가 아래로 내려가는 장면이 있다. 중력이 없는 우주선 내부에서는 일어날 수 없는 일이다. 세월이 지난 27년 후에 만들어진 ... ...
태양 파수꾼, 소호위성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지구에 도달하는 데는 여러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다. 이러한 예보는 특히 유영 중인 우주
비행사
의 안전에 필수적이다.한편 태양과 우주환경의 상호작용은 궤도를 선회하는 위성의 회로를 마비시키거나 성능을 떨어뜨리는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그래서 외국에서는 '우주환경예보'(space weather ... ...
한국 최초의 우주특파원 박찬욱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미르에 오르게 된다. 박찬욱기자가 우주정거장 미르에서 하는 일은 방송보도. 많은 우주
비행사
들이 과학자들인 반면 기자로서는 세계 2번째다.지난 90년 일본의 동경방송(TBS)은 창사 40주년을 맞이해 아키야마 도요히로기자를 소련의 소유즈 TM11호에 탑승시켰다. 아키야마는 8일간 미르에 머물면서 3 ... ...
1 외계비행체, 세계곳곳서 목격
과학동아
l
1995년 09호
불과 1초 사이에 이동했다. 이때의 가속도는 40g(1g는 중력가속도 단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비행사
들이 견뎌낼 수 있는 최대 가속도가 8g임을 감안하면 가히 환상적인 움직임이라고 할 수 있다. UFO는 다시 2백m 상공으로 이동해 비행기와 지상 레이더망을 벗어났다. 맨 처음 3천m 상공의 속도가 시속 2백8 ... ...
인공위성 실패확률 어느 정도인가
과학동아
l
1995년 08호
실패한 방송통신위성 인텔샛6호(이 위성은 92년 5월 지구저궤도에 투입된 엔데버호 우주
비행사
들에 의해 수리돼 지구정지궤도 진입에 성공했음) 등 여러가지 사례가 있다. 황금덩어리가 우주쓰레기로무궁화위성을 쏘아올릴 델타2는 최근 5년 동안 발사성공률 1백%를 자랑하고 있다. 하지만 1백% ... ...
자외선 우주망원경 아스트로 2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그림2)와 갈은 화면이 나타나는데, 이번 임무에는 2명의 여승무원을 포함, 7명의 우주
비행사
가 탑승했다. 한편 사용자는 승무원 개개인의 경력과 임무에 대해서 검색할 수 있게끔 되어 있다. 'NASA Team'에는 NASA 산하기관에 관한 소개를, 'Flight Log'에는 임무수행상황 및 관측 내용 등을 수록했다. 'Come ... ...
여자 우주
비행사
초청 강연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재미있는 내용 등이 소개될 예정.무카이씨는 41세의 의학박사(심장외과)로 일본 우주
비행사
에 응모한 5백33명 중 6차선발시험을 거쳐 선발된 바 있다. 무카이 박사는 미션 사이언티스트(mission scientist)로 콜럼비아호에 탑승해 무중력상태 생체반응실험 등 주로 생명과학과 관련된 실험연구를 수행했다 ... ...
3 신비스런 5각형·6각형의 조화 풀러렌
과학동아
l
1995년 02호
아크용접기와 같은 장치를 이용해 대량으로 벅키볼을 만드는 방법을 개발해냈다. 우주
비행사
헬멧 크기의 유리증발기를 불활성가스(헬륨이나 아르곤)로 채우고 그속에서 흑연을 전기적으로 가열한다. 그러면 검은 연기(검댕)가 석출되는데 이 검댕 중량의 15%가 벅키볼인 것이다.이미 미국에서는 ... ...
2 인공조직 개발, 피부·근육·뼈도 바꾼다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생물학적인 조건 이외에도 일정한 하중 흑은 힘이 제공되는 환경에서 잘 자란다. 우주
비행사
가 우주비행 후 몸 전체 뼈의 양이 40 % 정도 감소하는 것이나, 환자가 병상에 장기간 누어있으면 뼈의 양이 감소하는 것은 뼈에 작용하는 하중의 양이 감소되었기 때문이다. 반대로 과다한 하중이 ... ...
도요새, 러시아-호주 왕복 '장거리
비행사
'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영종도까지의 거리를 감안하면 이동거리는 무려 1만㎞를 넘어 이 도요새는 '장거리
비행사
'로 확인된 셈이다.산림청 임업연구원 조류연구팀은 러시아 한국 호주의 도요새 이동경로가 발목에 가락지를 부착한 과학적인 방법으로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밝혔다 .이 조류연구팀은 표식방조 ... ...
이전
40
41
42
43
44
45
46
47
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