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각"(으)로 총 1,29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얼마나 똑똑해질 수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몸체에 들어있는 2개의 초음파 센서가 뒤로 3m, 폭 1.2m 영역을 감지해서 눈에 보이지 않는 사각지대에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한다. 이 정보를 핸들의 진동으로 알려줘서 충돌을 막는다.분실을 막는 센서와 칩!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와 스마트폰과 연결된 칩이 자전거의 충격이나 이동을 감지하면 ... ...
- [출동! 섭섭박사] 칠교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5호
- 쓰이는 도형의 변 길이는 눈으로 언뜻 보면 구분 못할 정도로 비슷해요. 예를 들어 정사각형의 한쪽 변의 길이를 1이라고 했을 때, 가장 큰 이등변삼각형의 빗변은 2, 밑변은 약 2.83이에요.그런데 우리 눈은 이 둘의 차이를 구분하기 힘들어요. 그래서 작은 직각이등변삼각형으로 툭 튀어나온 부분을 ... ...
- Part 2. 미션 ➊ 강력한 방사성 물질을 피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5호
- 물질을 막을 수도 있답니다.주노가 입은 갑옷은 두께 1cm, 가로와 세로의 길이가 1m인 정사각형 티타늄판 8개로 이루어진 정육면체 상자예요. 판 하나의 무게는 약 18kg 정도로, 갑옷의 무게만 총 140kg 정도지요. 전체를 둘러싸면 우주선이 너무 무거워지기 때문에 데이터 처리 장치, 전원 공급 장치 등 ... ...
- [소프트웨어] 개구리처럼 폴짝폴짝 플래피 버드수학동아 l2016년 12호
- 변을 x=c, x=d(c d), 아래쪽 변과 위쪽 변을 y=e, y=f(e f ) 꼴의 직선을 나타낼 수 있어요.만약 사각형의 위쪽 변과 새가 부딪혔는지 판정하고 싶다면 원의 중심 (a, b)와 직선 y=f의 위치 관계를 살펴보면 돼요. 우선 원의 중심 (a, b)에서 x값인 a가 c-r과 d+r 사이에 있는지 봐요 해요. 이 사이가 아니라면 ...
- [수학동아클리닉] 여러 가지 문제 해결하기수학동아 l2016년 12호
- ‘flex’와 다각형의 뜻을 가진 단어 ‘polygon’의 ‘gon’이 합쳐진 말입니다. 정사각형, 직사각형 혹은 육각형 모양으로 돼 있으며, 이들이 보여 주는 면의 개수에 따라 삼단(tri), 사단(tetra), 오단(penta), 육단(hexa)과 같은 접두어를 붙입니다. 플렉사곤은 한 쪽 방향으로 계속 뒤집다 보면 처음 보았던 ...
- Part 3. 자꾸자꾸 굽어가는 세상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사각형의 중심을 이어 곡선을 그리면 ㉯가 된다.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할수록 점점 더 사각형 내부를 빼곡히 채우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당시 수학자들은 선은 폭이 없는 것으로 생각해 아무리 모아도 넓이를 갖는 평면을 만들 수 없다고 생각했다. 이 때문에 페아노가 만든 ‘페아노 곡선’은 그간의 ... ...
- Part 1. 쇼핑몰에서 지진이 났다면?수학동아 l2016년 11호
- 같은 보폭으로 걷는다고 정했어요.여러 사람이 지나다닐 수 있는 큰 길은 바둑판처럼 정사각형 격자로 이뤄져 있어 사람들이 한 번에 한 칸씩 이동하도록 설계했어요. 만약 앞 칸에 사람이 있어 전진할 수 없다면 오른쪽으로 움직이고, 거기에도 사람이 있어 갈 수 없으면 왼쪽으로 이동하도록 ... ...
- [재미] 기하학의 아버지? 수학의 아버지!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아버지기나긴 통로를 지나 눈앞에 보이는 문을 열자 새로운 공간이 나왔다. 하늘에는 사각형, 삼각형, 육각형 같은 여러가지 모양의 2차원 도형이 둥둥 떠다니고 있었다. 아래로 시선을 돌리자 한 남자가 끝이 보이지 않는 긴 직선을 따라 하염없이 걷고 있었다. 그 옆에는 또 다른 직선이 평행하게 ... ...
- [수학동아클리닉] 관계를 알아보는 정비례와 반비례수학동아 l2016년 11호
- 단위의 변환 관계, 환율 등이 있습니다. 반비례의 예로는 지레의 법칙, 넓이가 같은 직사각형의 가로와 세로의 길이 관계, 일정한 거리를 이동할 때 속도와 시간 사이의 관계 등이 있습니다 ... ...
- Part 2. 가장 작은 기계를 합성하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빠지지 않는 형태의 화합물이다. 1991년 스토더트 교수는 로탁세인의 일종을 이용해, 사각형 형태의 고리가 긴 축 상에서 좌우로 왔다 갔다 하는 운동을 하는 ‘분자셔틀’을 합성했다. 이때까지는 평형 상태(외부 자극이 없는 상태)에서 분자가 움직였기 때문에 기계라고 보기는 어렵지만, 이런 ... ...
이전4041424344454647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