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제작
산출
제조
출산
저작
연출
출생
d라이브러리
"
생산
"(으)로 총 4,424건 검색되었습니다.
꿈의 에너지 현실이 되다, 핵융합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때문이다.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은 ITER 공동연구를 통해 국내에 핵융합 반응으로 전기
생산
을 실증하는 시설인 핵융합실증로(DEMO·데모)를 건설할 계획이다. 화석연료를 대신해 기후변화 문제를 해결하는 그날까지, 핵융합 에너지의 상용화를 위한 노력과 남은 여정을 살펴봤다. ▼ 이어지는 ... ...
50년 인류 최대 프로젝트 ITER 본격 조립 시작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운전 기술력을 확보할 수 있다. 이후 확보된 ITER 핵심기술을 바탕으로 실제 전기를
생산
할 수 있는 동력 변환 장치가 포함된 한국형 핵융합실증로(K-DEMO)를 건설할 계획이다. 한국은 비록 핵융합 에너지 연구에 뒤늦게 뛰어들었지만, KSTAR 프로젝트와 함께 엄청난 성장을 거뒀다. 그리고 현재는 핵융합 ... ...
‘생체 시계’ 텔로미어 자라게 하는 비밀?알트(ALT)에 주목하라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텔로미어에서는 느슨해진 구조로 인해 ‘테라(TERRA)’라는 비암호화 RNA가 상당히 많이
생산
된다. 테라는 다양한 방식으로 텔로미어에 영향을 미치는데, 대표적으로 텔로미어와 직접 상호작용하면서 DNA-RNA 결합을 만든다. 그 결과 텔로미어의 안정성을 더욱 떨어뜨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자연에서 ... ...
[만화뉴스] ‘실내조명’으로 충전되는 배터리 개발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2호
극복하기 위해 전자기기에 주로 사용되는 리튬이차전지를 사용했어요. 염료감응 전지가
생산
한 전기가 리튬이차전지로 이동할 수 있도록 리튬이차전지 표면에 탄소를 넣어 전극을 같게 맞췄어요. 연구팀이 새로 개발한 전지는 실내조명으로 충전한 뒤 사물인터넷 센서도 작동시킬 수 있었답니다 ... ...
[이달의 과학사] 왜 대중음악의 길이는 4분 정도일까? 레코드판 탄생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양면을 합치면 한 레코드판에 총 9분의 노래를 녹음할 수 있었죠. 그렇지만 대량
생산
이 가능한 덕에 널리 보급되었죠. 그 후로도 SP의 약점을 보완한 레코드가 꾸준히 발명돼요. 그중에서 1948년 6월 21일에 ‘콜롬비아 레코즈’에서 나온 ‘LP’가 가장 성공적이었죠. 음질이 훨씬 좋아졌을 뿐만 ... ...
과학동아 12월 At a Glance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전체를 먹여 살릴 에너지를 만들어 내듯, ITER의 최종 목표는 핵융합 반응을 통해 전기를
생산
하는 핵융합 발전소 건설입니다. 핵융합 에너지는 이산화탄소 같은 온실가스를 배출하지도, 원자력 발전소에서 나오는 위험한 방사성 폐기물을 생성하지도 않기 때문입니다. 핵융합 에너지를 상용화하기 ... ...
[긱블 X 과학동아] 올해 최고의 메이커는 누구?!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설정 프로그램까지 코딩해 와이파이로 시계 조작과 색 변경이 가능합니다. 실제로 대량
생산
을 해 보자는 연락이 왔을 정도로 완성도가 높았죠. 결국 이 작품이 MOY 투표에서 1등을 차지했답니다. 준형 님은 “MOY로 선정돼 놀랐다”며 “앞으로도 메이킹을 꾸준히 할 생각”이라고 소감을 밝혔습니다 ... ...
또 하나의 태양을 지구에 재현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방법이다. 1g의 중수소와 삼중수소는 핵융합 반응을 통해 시간당 약 10만kW의 전기를
생산
할 수 있다. 중수소 100kg과 삼중수소 150kg으로 전기를 만들면 화력발전소에서 300만t(톤)의 석탄을 태우는 것과 비슷한 수준의 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 원자력발전소와 비교해도 같은 양의 연료가 있다면 핵융합 ... ...
핵융합 에너지 또 다른 융합으로 완성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수 있는 상황을 확인하는 기술을 ‘디지털 트윈’이라고 부른다. 디지털 트윈은 대규모
생산
설비, 도시계획 등 대형 프로젝트에 주로 활용된다. 버추얼 데모를 구현하기 위한 첫 단계는 플라스마의 물성을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는 물리 엔진을 개발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슈퍼컴퓨터로 분석한 ... ...
당신의 역사에 관한 최신 연구 총집합...정자가 난자를 만나기까지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들어온 정자를 항원으로 인식하고 잡아먹는다.정자는 머리 부분에 있는 미토콘드리아가
생산
하는 생체 에너지인 ATP(아데노신삼인산)를 에너지원으로 운동한다. 이 과정에서 정자는 에너지를 일정하게 만들어내지 않는다. 수정 시 필요한 에너지를 남겨두기 위해 때로는 자궁 내벽에서 휴식하기도 ... ...
이전
40
41
42
43
44
45
46
47
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