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과
실적
결말
성적
결실
결정
소산
d라이브러리
"
성과
"(으)로 총 2,600건 검색되었습니다.
루마니아 수학마스터대회 비하인드 스토리
수학동아
l
2018년 04호
루마니아 수학마스터대회(RMM)에 참가한 것인데, 대표단 전원이 메달을 목에 거는
성과
를 거뒀습니다. 폴리매스 프로젝트에서 활약한 수돌이 김홍녕 군은 전체 1등으로 금메달을 땄습니다. 루마니아 수학마스터대회가 생소한 분이 많을 겁니다. 우리나라가 이 대회에 참가한 건 3년밖에 되지 ... ...
[과학뉴스] 고마웠어, 케플러!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발견했다. 2013년 케플러는 한 차례 ‘시련’을 겪었지만, 이는 오히려 우수한 과학적
성과
를 내는 원동력이 됐다. 당시 케플러의 자세를 고정하는 리액션 휠 4개 중 2개가 고장을 일으켰고, 이후 기존 임무대신 새로운 임무(K2)를 시작했다. 카메라를 고정하지 않고 3개월 마다 방향을 돌리면서 다양한 ... ...
Part 6. ‘키스’로 시작 그들의 性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청소년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콘텐츠에서 사춘기의 성을 진지하게 다루거나
성과
관련된 건강에 대한 내용은 다뤄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성 정체성 혼란도 겪어사춘기에는 자신의 성 정체성을 고민하는 경우도 많다. 아하센터가 서울시와 공동으로 진행한 ‘2013년 ... ...
[인터뷰] DGIST 총장장학생 진종민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관련 교육도 했다. 지난해 1월에는 ‘2017 자이드미래에너지상’ 시상식에서 그 동안의
성과
를 발표했다. 그 결과 우수성을 인정받아 자이드미래에너지상 고등학교 부문에서는 최초로 우수 연구사례로도 선정됐다. “계획서를 준비했던 기간과 상을 받은 뒤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학업 시간을 많이 ... ...
[Origin] 계란의 ‘슈퍼 파워’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흰자를 구성하는 단백질은 구형에 가까워서 이런 효과를 얻기 힘들죠. 또 열에 의한 변
성과
변성된 단백질이 불규칙하게 뭉치면서 전반적으로 단백질이 균일한 구조를 갖지 못합니다. 삶은 계란의 흰자가 쉽게 으깨지는 이유도 이 때문입니다. 연구팀은 이온성 계면활성제가 계란 단백질이 일정한 ... ...
[Issue] 액면분할 이후 삼성전자 주가는 어떻게 될까?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차별화를 시도하기 힘들어 고객들이 주도권을 쥐고 있는 시장이다. 매스코가 큰
성과
를 내기 힘들 수밖에 없다. 이상의 기준을 삼성전자에 적용해 보면 어떨까. 일단 첫째 조건은 맞지 않는다. 독일의 키몬다 그리고 일본의 엘피다 등 치열한 경쟁을 벌이던 기업들이 차례로 무너지면서 전 세계 ... ...
Part 1. 호킹의 말로 되돌아 본 그의 삶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양자역학적 효과 때문에 블랙홀 주변의 진공 상태에서 입자와 반입자 쌍이 끊임없이 생
성과
소멸의 과정을 거듭하고, 이러한 요동으로 블랙홀이 입자를 내뿜으며 질량과 에너지를 잃어버릴 수 있다는 결론이었다. 오늘날 ‘호킹 복사(Hawking radiation)’라고 불리는 이 이론을 통해 호킹은 블랙홀에서 ... ...
[인터뷰] “파격적인 입학전형이 DGIST의 경쟁력”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가장 눈에 띄는 교육시스템은 학부전담교수제다. 학부전담교수는 논문이나 특허 등 연구
성과
를 내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온전히 학생들의 교육에 집중할 수 있고, 진로 및 생활에 대한 조언도 할 수 있다. 최 입학처장은 “교수 인원 대비 논문이나 특허 수로 학교를 평가하기 때문에 ... ...
[서울대 공대] 전기·정보공학부 최대&최강 교수진의 힘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내세우거나 좋은 결과를 얻었을 때 자신의 공로만 강조하다 보면 장기적으로 좋은
성과
를 내기가 어렵다. 이병호 학부장은 “의견을 조율하면서 협업할 수 있는 소통 능력이 연구자에게도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조언 자신의 흥미를 따라가라 이병호 학부장은 제자이자 후배들에게 ... ...
Part 1. 과학을 완성한 수학
수학동아
l
2018년 04호
급속도로 발전하기 시작했어요. 이 발견은 수학, 물리, 화학이 어우러져 일궈낸
성과
였지요. 수학과 가장 가까운 과학 분야를 꼽으라면 아마 물리일 거예요. 물리학 문제는 새로운 수학 이론을 만드는 동기가 되고 반대로 수학 이론을 물리학에 쓰기도 하거든요. 둘의 관계는 필즈상 수상자의 ... ...
이전
40
41
42
43
44
45
46
47
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