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퀴즈
퍼즐
질문
문제
알아맞히기
난문제
조각맞추기
d라이브러리
"
수수께끼
"(으)로 총 668건 검색되었습니다.
세상에서 가장 오래된 학문 점성술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지금도 엄연히 살아서 인간의 삶에 미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 영원한 인류의
수수께끼
― 별과 사람, 또는 ‘자유 의지와 운명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기로 하자.‘위와 같이 아래도 그러하다’점성술은 ‘시공의 개념’에 입각하여 우주와 인간 사이의 관계를 파악하고, 그를 통해 세상의 ... ...
인류의 꿈펼친 행성천문학자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실력있는 천문학자이자 훌륭한 지도자였다. 그의 연구목적은 생명의 기원에 관한
수수께끼
를 우주적인 관점에서 풀고, 외계생명체의 존재를 증명하는 데에 있었다. 특히 행성 표면이나 성간물질에 존재하는 유기물질에 관한 연구 분야는 세이건에 의해 개척됐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리하여 ... ...
Ⅱ. 아직까지 미스터리로 남은 전자의 본질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10}^{-18}$m)보다 작아야 한다는 것뿐이었다. 전자가 크기를 가지고 있느냐하는 것은 여전히
수수께끼
이다.이러한 실험을 어떻게 할까. 전자와 양전자를 매우 높은 에너지로 가속해 충돌시키면, 그 내부구조가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전자가 산란하는 각의 분포가 달라진다. 이는 마치 총을 수박에 쏘는 ... ...
위기에 몰린 남성의 생식능력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것은 남성의 생식능력에 빨간불이 켜졌음을 웅변으로 말해준다. 그러나 그 원인은
수수께끼
로 남아 있다. 스트레스와 흡연이 남성 불임을 부추기는 것으로 짐작되고 있을 따름이었다.그런데 1996년 초에 미국의 테오 콜본 박사가 두 명의 다른 저자와 함께 펴낸 ‘우리의 도둑맞은 미래’에서 정자 ... ...
잉카의 후예 께로족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짠다.잉카는 문자를 가지고 있지 않았다. 지금까지 잉카의 역사나 문화 속에 풀리지 않는
수수께끼
가 많은 것도 문자로 남겨진 어떤 기록도 없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안데스 산골에서 잉카가 쓰던 문자의 흔적을 발견할 수 있다. 목축 일을 나가기 전, 께로족은 알파카의 수를 세어 둔다. 방목을 ... ...
이집트 왕족 미라의 DNA 조사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정확한 혈통을 알 수 있다. 당시 왕조에서 종종 벌어진 근친상간의 범위뿐 아니라 그동안
수수께끼
였던 기원전 14세기 18대 왕 투탕카멘의 아버지가 누구인지도 밝힐 수 있을 듯하다.현재 투탕카멘의 계부인지 친부인지 논란이 되고 있는 왕은 아케나텐인데, 초상화를 보면 아케나텐이 프뢸리히 ... ...
1. 로스웰 UFO 추락현장을 가다
과학동아
l
1996년 12호
사람이 건네준 것으로 로스알라모스국립연구소에서 분석을 끝냈다”고 말한다. 앞서 UFO
수수께끼
박물관에서 보던 것과 같은 종류의 금속조각이었다. 왜 이렇게 중요한 물건을 전시하지 않냐고 물었더니 누가 훔쳐가면 어떻게 하느냐고 반문했다.UFO잔해 분석리텔이 건네준 ... ...
인터넷으로 떠나는 수학퍼즐여행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문제가 1202년 쓰여진 피보나치의 'Liber Abaci라는 책에 나타나며, 세인트 이브스의 '18세기
수수께끼
' 도 같은 아이디어(숫자 7에 대한)에 근거하고 있다.그리스 수학에는 고적전인 퍼즐들이 많다. 이마도 가장 유명한 것은 아르키메데스와 그의 책 '모래를 세는 사람' 일텐데. 여기서 그는 소(牛)의 숫자 ... ...
부엌에서 찾아낸 과학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그때까지 모아둔 배설물을 쏟아 놓았다. 늘보는 왜 물을 뿌려야지 배설을 하는 것일까.
수수께끼
의 해답첫번째
수수께끼
: 실제로 일어난 일이다. 알레스카 항공사의 비행기가 날아가던 중 큰 물고기를 입에 문 독수리와 우연히 만났다. 비행기를 피하려던 독수리는 놀라서 물고기를 떨어뜨렸고, ... ...
생리·의학상/도어티, 친커나겔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적을 인지하는지가 밝혀졌다. 이제 근본 원리로서 남은 문제는 면역학 탄생 이후 계속
수수께끼
로 인식되는 '기억' 문제일 것이다.예를 들어 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의 병이 회복되고 어느 정도 시간이 흐른 후 같은 병원체가 새로 침투했을 때 병에 다시 걸리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 짧은 글이 ... ...
이전
40
41
42
43
44
45
46
47
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