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면
전방
앞면
앞
프런트
전
이전
d라이브러리
"
앞쪽
"(으)로 총 503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 최대 두루미의 낙원 이즈미
과학동아
l
1995년 03호
공원 너머 다른 호수에 가보자고 해 그곳으로 향했다. 그러나 거기에도 없었다. 다시
앞쪽
으로 좀더 이동, 마침내 발견했다. 역시 쓰치야 선생이 먼저 발견했다.홍머리오리와 함께 바람결에 몸을 맡긴 채 서쪽에서 동쪽으로 움직이다 반대방향으로 다시 이동했다. 빵 부스러기가 있으면 좀더 ... ...
한복
과학동아
l
1995년 02호
깃은 직선으로 재단하지만 달 때에는 어깨보다 가슴이 두꺼운 인체의 형태를 고려해서
앞쪽
에서 약간 비스듬하게 굽힌 형으로 앉혀 착용시 안정감 있고 자연스러움을 연출한다.가장 활동성이 있어야 하는 소매는 직선형인 앞뒷길의 어깨를 연결하고 달게 되므로 이 또한 직선으로 구성돼 있다. ... ...
3 팔과 손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스텐퍼드/JPL 손은 손의 중량과 부피를 최소화하기 위해 모터들을 모두 매니퓰레이터의
앞쪽
에 설치하고 도관을 통하는 유연한 테프론 코팅 케이블을 이용해 각 손가락 관절에 힘을 전달하도록 한 것이다. 이 손은 n개의 손가락 관절에 각각 존재하는 양방향의 자유도를 제어하기 위해 n+1 개의 ... ...
3. 미리 본 차세대 운영체계 '윈도스 95'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아래 부분에는 이전에는 볼 수 없었던 시스템 툴바가 눈에 띈다. 시스템 툴바에는 맨
앞쪽
에 'START'라는 버튼이 있고, 이 버튼을 이용해서 등록된 프로그램들을 실행시키거나 여러가지 환경을 설정해 줄 수 있다. 또 시스템 툴바는 사용자가 특별히 지정을 하지 않는 한 계속 화면에 나타나기 때문에 ... ...
물리 - 손쉬운 직류 전동기 만들기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합니다.실험결과 코일이 신나게 돌죠. 코일에 전류가 흐르면 코일이 수평일 때
앞쪽
과 뒷쪽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반대이므로 전자기력도 반대가 돼 코일이 회전하게 되는 거예요.코일이 같은 방향의 힘을 받아 계속 회전하려면 반바퀴마다 전류의 방향이 바뀌어야 합니다. 실제 직류전동기에는 ... ...
생물 - 나비의 탈바꿈도 호르몬 덕분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전흉선에서 분비된 탈피 호르몬의 단독 작용에 의하여 번데기가 됐다.△ B:묶은 부분
앞쪽
은 C와 같이 탈피하여 5령의 유충이 된 것이고, 묶은 부분 뒤쪽은 알라타체나 전흉선이 없으므로 아무 변화가 일어나지 않았다.호르몬을 분비하는 시기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다. 4령이 되고 약 75시간이 지난 ... ...
화학- 전기, 두 금속 접촉·산화할 때 생긴다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철 구리 은 금 (-)이 계열은
앞쪽
에 있는 각 항이 뒤쪽에 있는 항 중의 하나에 접속하면
앞쪽
은 양으로 대전되고, 뒤쪽은 언제나 음으로 대전된다. 볼타는 자신의 밀짚 검전기로 측정해 본 결과 두 항 사이의 전기차(전위차)는 항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커짐을 알았다. 또한 전압의 두 항에 대한 ... ...
수치로 비교분석한 한국·일본 여대생의 평균 얼굴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 얼굴의 인상형성에는 측면의 모습도 크게 간여한다. 측면에서 볼 때 얼굴의 중안부가
앞쪽
으로 돌출한 감이 있는 얼굴과 중앙이 오목해 직선적으로 보이는 얼굴이 있다. 이런 형태 특징을 정량화하려면 귓구멍에서부터 얼굴 정중선의 윤곽선에 걸리는 중요한 곡각점의 위치, 이를테면 미간 코허리 ... ...
헬리콥터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따라서 적에게 감지돼 대응화력에 노출될 확률이 적다.한편 미국쪽은 이 장치를 동체
앞쪽
에 다는 것을 좋아하는데, 이것은 보다 무거운 장비를 쓸 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 이 조준장치는 주야간 겸용이 바람직하지만 야간 투시 능력을 덧붙이면 가격이 비싸지기 때문에 주간용만을 장비하고 ... ...
시조새는 날았을까 걸었을까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Enalionis)라 불리는 새가 있는데, 이는 아비(물새의 일종)와 유사한 모양의 새로서
앞쪽
관절이 아주 퇴화돼 있었고 구조는 나는 새와 같다.이 백악기에서 다시 3천만년 후에는 이미 화석이 많이 발견됐다. 화석으로 밝혀진 것은 헤스페뢰니스(Hesperoenis)로서 역시 날수 있는 아비의 일종이었다. 그리고 ... ...
이전
40
41
42
43
44
45
46
47
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