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완벽"(으)로 총 2,300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세 명의 부모가 있는 아이라고 해서 큰 화제가 됐습니다. 하지만 세부모 기술이 아직 완벽한 수준은 아닙니다. A씨의 난자로부터 핵을 옮기는 과정에서 A씨의 미토콘드리아도 일부 옮겨졌기 때문입니다. 배아가 갖고있는 미토콘드리아의 약 5%가 A씨의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이 미토콘드리아가 훗날 ... ...
- Part 3. 쌍둥이 눈결정이 있을까?수학동아 l2018년 02호
- 물 분자가 있다. 그래서 믿을 수 없을만큼 많은 경우의 수가 생긴다. 그래서 두 눈결정이 완벽하게 똑같은 일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반전! 쌍둥이 눈결정 발견?자연에서는 눈결정이 만들어지고 땅으로 내려오는 동안 환경에 따라서 수많은 변수가 생긴다. 만약 이런 변수를 모두 제어할 수 있다면 ... ...
- [Origin] 몸 밖의 몸, 오가노이드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완벽한 장 상피의 구조를 가지고 있는 만큼, 다른 세포 없이 장 상피 줄기세포 만으로도 완벽한 오가노이드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 거죠. 한스 교수팀은 장 상피 줄기세포를 하나하나 분리하는 데 성공했고, 줄기세포의 생존을 도와줄 몇 가지 물질을 더해, 결국 하나의 줄기세포로 장 상피 ... ...
- 학종 준비의 시작, 진로 설정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진로 설정은 아주 사소한 일상에서, 때로는 우연히 마주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처음부터 완벽한 진로 활동을 하겠다고 마음먹는 순간 이런 작은 기회들은 눈에 보이지 않는다. 진로 탐색과 설정은 잘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지금 바로 시작하는 것이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 자신만의 학생부를 ... ...
- Part 3. 로봇이 스키를 타는 비결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0.005~0.008초마다 한 번씩 연속적으로 이뤄진답니다. # 아직 스키 로봇의 움직임은 완벽하지 않아요. 하지만 연구가 계속된다면 가까운 미래에는 로봇과 사람이 스키 시합을 벌일 날도 오지 않을까요? 앞으로 계속될 스키 로봇의 도전을 함께 기대해 봐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 ...
- [종목7] 스키점프, 金빛 바람 타고 더 높이 날아올라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장치에 들어간 것과 다름없는 정밀한 결과를 얻기 위해 주걱턱까지 놓치지 않고 완벽하게 재현했다. 또 자세를 바꿔가며 실험할 수 있도록 모형의 관절을 움직일 수 있게 만들었다. 양쪽 고관절과 발목, 그리고 발과 스키 사이에 두 개씩 총 여섯 개의 관절을 넣었다. 각 관절은 선수의 비행거리를 ... ...
- [Future] ‘불멸의 삶’ 한국 상륙, 냉동인간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과정에서 산화철 입자도 자연스럽게 밖으로 빠져나갔다. 2016년엔 포유류의 뇌를 완벽하게 얼렸다가 해동시킨 첫 연구 사례도 나왔다. 미국 브레인프리저베이션재단 연구진은 실험용 토끼의 뇌를 냉동 보존한 지 5년 만에 별 다른 손상 없이 해동하는 데 성공했다. 토끼를 대상으로 한 연구지만 ... ...
- [Culture] 천재의 공간에서 그를 만나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가 실제로 구현해 냈다. 레오나르도의 낙하산으로 제네바 650m 상공에서 뛰어내린 그는 ‘완벽한 점프(perfect jump)’라고 평가했다. 유일한 단점은 낙하산의 방향을 조종할 수 없어 어디로 착륙할지 모른다는 점이었다고. 해부학에 대한 욕망레오나르도의 작품이라고 하면 1487년 경 제작된 ... ...
- [Future] 뒤로 공중돌기 완벽 성공, 너의 이름은 아틀라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백플립(backflip)이다. 후들거리는 다리는 어느 새 안정되고, 두 팔을 위로 쭉 뻗는다. 완벽한 성공이다. 다이내믹스가 2004년 개발한 개 로봇 ‘빅독(Big Dog)’은 당시만 해도 오르막길에서는 걷다가 넘어질 만큼 자세가 불안정했다. 이후 관절에 운동센서와 자이로스코프를 달아 업그레이드한 뒤, 200 ... ...
- Part 3. 역사의 흐름을 예측한다수학동아 l2018년 01호
- 노력하면 암흑기를 단축할 수 있고, 더욱 발전할 수도 있다고 말합니다. 예언자처럼 완벽한 미래는 알 수 없지만 수학을 이용하면 어느정도 예측을 할 수 있고, 그 결과를 참고해 더 옳은 방향으로 가도록 선택할 수 있을 거예요. 수학의 도움을 받으면 미래를 스스로 만들어나갈 수 있겠죠 ... ...
이전4041424344454647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