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통
실린더
억울
분
통분
애상
원기둥
d라이브러리
"
원통
"(으)로 총 512건 검색되었습니다.
(2) 길이 4㎞ 레이저 간섭계로 미세진동 추적한다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일어나는 굴곡을 전기신호로 바꾸어 컴퓨터에 기록한다. 알루미늄 봉이 들어가 있는
원통
에는 액체헬륨온도(절대온도 4도)로 냉각돼 있다. 이유는 온도가 올라가면 열진동에서 발생하는 잡신호가 끼어들 여지가 많기 때문이다.루이지애나 주립대학의 해밀턴 교수는 초전도현상을 이용해 금속봉을 ... ...
대전 EXPO에 등장한 첨단 영상기법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주제다. 테크노피아관은 평면 영상에 가깝지만 우주 탐험관은 돔영상, 자동차관은
원통
형 영상을 사용해 입체감을 강화시켰다.움직이는 극장의 핵심은 좌석의 움직임과 화면의 영상이 한치의 오차도 없이 맞아 떨어지는 것. 우주선이 하강 할 때는 좌석 뒷쪽에 달린 유압식실린더가 올라오며, ... ...
(1) 다목적 임무 수행한다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유동불안정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한 바 있다.수많은 동식물이 거주하는 우주실험실은
원통
형 공간이며 양측에는 여러 실험기기가 장착돼 있다. 실험은 특별히 훈련된 우주연구원에 의해 수행되며, 책임연구원은 지상통제국에서 비디오영상과 음성으로 우주연구원에게 직접 실험지시를 할 수 있다 ... ...
지구과학- 도구를 만드는 재료에서 핵연료까지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Bragg)는 어떤 일정한 방향을 축으로 하여 결정을 회전시키면서 회절 무늬를 조사하거나,
원통
모양의 필름 가운데에 결정을 놓아 회절무늬를 조사하는 방법으로 결정을 이루는 원자배열의 공간적인 배치를 연구하였다.(사진2)는 석영과 암염의 회절 사진을 보인 것이다.이러한 방법으로 1960년경까지 ... ...
뱀장어 생태의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해류를 따라 회유하여 대륙사면에 이르면 몸 길이와 무게가 줄며 몸 모양이
원통
형으로 바뀐다. 이 때에도 몸이 투명하다. 영어권에서는 유리와 같이 투명하다하여 유리 뱀장어 (glass eel)라 부른다.유리 뱀장어는 대륙붕을 회유하여 강하구에 이르는데, 댓잎뱀장어가 변태하기 시작하여 강하구에 ... ...
바람·물·곤충과 함께 펼치는 암술·수술의 화려한 결합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있다. 만약 곤충이 꽃가루와 꿀을 모으기 위해 그 깊숙한 굴 속을 통과해 들어갈 때 꽃의
원통
속에 나있는 강모가 안쪽으로 향하고 있어서 들어갈 때는 몰라도 나올 때는 매우 힘들다. 이때 이 곤충은 몸부림을 치게 될 것이고 이러한 동안에 가루받이가 일어나게 되는 것이다. 꽃가루가 암술머리에 ... ...
롤러코스터의 하이테크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원운동의 '마술'을 잘 보여준다. 로터는 직경 약4m의 둥근 마룻바닥에 천정이 뚫려있는
원통
형 놀이기구다. 사람들은 이 속에 들어가 벽에 등을 대고 선다. 잠시 후 로터의 정가운데에 있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빠르게 회전하기 시작한다. 회전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사람들은 자신이 벽에 더 밀착되고 ... ...
1. 역사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계속 조사했다.최초의 우주개인 라이카는 직경 1.7m, 길이 2.2m의 산소가 들어 있는
원통
에 앉아서 우주로 발사됐다. 발사당시 개의 무게는 5㎏이었다. 지구궤도에 진입한 최초의 생물인 라이카는 우주공간 속에서 1백4분마다 지구를 선회하며 호흡률, 심장의 고동 및 생리적인 반응에 대한 자료를 1주일 ... ...
갯지렁이의 별난 생태계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흔히 보이는 작은검은갯지렁이(Arenicola brasilliensis, 사진13)는 앞이 굵고 뒤가 가늘어진
원통
모양이라 쉽게 모래펄 속으로 굴을 파들어갈 수 있다. 파들어간 굴 표면엔 분비되는 점액을 발라 깊이가 몸 길이의 2~3배에 달하는 L자 모양의 굴을 만들어 둔다. 끝에서 부터는 다시 위로 수직굴을 지표면을 ... ...
노지카박물관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직접 가오리 섬게 조개 불가사리 등 해양생물을 만져볼 수 있다. 또한 1층과 2층을 꿰뚫은
원통
형 투명원주에 전시된 인공위성에서부터 심해잠수정에 이르는 각종 해양 탐사를 위한 장비 모형을 보면 해양의 탐사가 우주공간에 비해 미흡하다는 것을 역설적으로 알 수 있다.끝으로 방문객은 ... ...
이전
40
41
42
43
44
45
46
47
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