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설
원리
주의
체계
설
원론
견해
d라이브러리
"
이론
"(으)로 총 4,885건 검색되었습니다.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17화. 한국의 잊힌 국론 대가, 이임학
수학동아
l
2021년 05호
수학 연구 분야였던 군론에 혜성처럼 등장해 유한 단순군 분류부터 리군(Lie group) 연구
이론
정립까지 다양한 연구논문을 발표했습니다. 더불어 수학계에서 가장 권위 있는 학술지인 수학 연보(The Annals of Mathematics)에도 논문 두 편을 발표했습니다.1960년엔 새로운 단순군을 찾아내고 자신의 이름을 따 ... ...
[SF 소설] 생명의 노래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있었다. 노래를 제외하면 토착 문명의 흔적이 전혀 보이지 않는다는 허점이 있었지만, 이
이론
은 꽤 많은 지지를 받고 있었다. 여러 탐사대가 수수께끼의 음악가를 찾아 헤맸지만, 근처에서 소리만 들었을 뿐 누가 무슨 이유로 내는 소리인지는 전혀 알아내지 못했다. 조금이라도 더 가까이 ... ...
[기획] 순간 포착! 물질의 탄생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원자들이 처음부터 규칙적인 상태를 이룬다고 알려진 기존의
이론
과 완전히 다른 결과지요.박정원 교수는 “결정핵 생성 과정이 어떻게 진행되는지에 따라 금 원자는 금덩어리나 금 박막 등 다양한 형태의 물질이 될 수 있다”며, “앞으로 다양한 결정 물질들이 초기에 ... ...
[기획] 2021년 아벨상 수상자의 공통점은 아들?
수학동아
l
2021년 05호
사용할 수 있는 암호 알고리듬인 ‘LLL 알고리듬’을 만들었습니다. LLL 알고리듬은 격자
이론
과 관련된 난제를 이용합니다.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격자는 모눈종이의 정사각형입니다. 2차원인 모눈종이의 위에서는 수직 또는 수평 이동의 조합을 통해 어떤 지점으로도 갈 수 있지요. 그럼 2차원 ... ...
컴퓨터가 무거워졌다? 데이터 무게의 진실
과학동아
l
2021년 04호
못했다는 것입니다. 이 정도의 무게 차이를 측정할 수 있는 저울은 아직 없습니다.
이론
적으로 계산한 결과일 뿐이죠. 컴퓨터에 쌓인 데이터가 정말로 컴퓨터를 살찌울지 확인할 가능성은 없는 것일까요. 연구자들은 또 다른 방법을 통해 이를 증명할 가능성을 제기했습니다. 데이터를 저장하는 ... ...
[과학동화] 제트 슈트 입고 하늘에 오르다 '선녀와 나무꾼'
과학동아
l
2021년 04호
자체의 질량(25kg)과 연료(10kg)를 포함해도 어지간한 조종사를 들어올릴 수 있는 힘이죠.
이론
적으로 솟구칠 수 있는 최대 높이는 약 3.7km에 이릅니다. 속도도 빨라, 2019년 11월에는 시속 136.8km의 속도를 기록하며 기네스북에 등재됐습니다. 비행도 날개옷 못지않게 쉽습니다. 양팔 팔꿈치 바로 아래에 ... ...
[융복합파트너@DGIST] 미지의 물질 특성 양자 상태로 밝힌다
과학동아
l
2021년 04호
번도 예상대로 결과를 얻은 적이 없다”며 “그래도 실망하기보다는 실패가 오히려 기존
이론
을 수정할 수 있는 단서를 얻어가는 과정이라고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양자홀 상태로 무게 기준 세워고체의 새로운 양자 상태를 찾는 연구는 실생활에도 적용할 수 있다. 새로운 양자 상태를 찾기 ... ...
[인공지능, 수학으로 타파]
수학동아
l
2021년 04호
표현한 그래프가 아니라 점(노드)과 선(링크)으로 나타낸 수학적인 구조입니다. 그래프
이론
을 연구하는 수학자들은 그래프가 가지는 구조의 특성을 연구하며 다양한 현상을 분석합니다. 그래프에 연결 관계의 방향과 영향력을 표현하기도 합니다. 관계의 방향을 나타낼 때는 화살표를 ... ...
[이달의 수학자] 위대한 업적, 그리고 위대한 선생님 히로나카 헤이스케
수학동아
l
2021년 04호
떠나지 않았습니다. 선생님이라는 명칭에 걸맞는 사람이 되기 위해 반드시 자신만의
이론
을 만들어야겠다고 결심했죠. 그리고 훗날 교수가 돼 학생은 물론 수학자들을 가르치는 수학계 최고의 선생님으로 그의 이름 ‘히로나카 헤이스케’를 널리 알립니다.1931년 4월 9일 일본 야마구치현에서 ... ...
[파고캐고 지질학자] 첩첩산중 강원도가 원래는 열대 바다였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4호
대륙이 새로 생겼다가 사라지는 현상이 반복된다는 ‘윌슨의 윤회설’을 발표했어요. 이
이론
은 나중에 지구의 대륙들이 계속 움직이면서 3~5억 년의 주기로 초대륙*으로 합쳐졌다 나누어진다는 학설로 발전했지요.지질학자들은 앞으로 5000만 년~2억 년이 지나면 새로운 초대륙이 생겨날 거로 ... ...
이전
40
41
42
43
44
45
46
47
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