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기관찰"(으)로 총 1,334건 검색되었습니다.
- 펭귄들이 추위를 견디는 방법은 이기심이 아닌 수학!수학동아 l2012년 12호
- 남극에 대한 다큐멘터리에서는 어김없이 펭귄들이 무리지어 서 있는 장면을 볼 수 있다. 그런데 펭귄들을 좀 더 자세히 관찰하면 마치 펭귄들 끼리 바람을 피하기 위해 서로 경쟁하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이기적으로 보이는 이런 행동에도 공평하게 열을 나눠 갖는 수학적인 원리가 숨어 있다 ... ...
- Part 3. 태양의 눈부신 비밀과학동아 l2012년 12호
- 태양을 처음으로 관측한 사람이 누군지는 알 수 없다. 그 정도로 오래 관찰 대상이었으며 하늘에서 가장 눈에 띄는 존재임에도 태양은 한참 동안 지구 주위를 도는 천체 취급을 받았다. 태양이 지구에 전해주는 막대한 양의 에너지가 어디서 나오는지조차 쉽게 알아내지 못했다. 켈빈 경이나 러더퍼 ... ...
- 바다에 살고 죽는 제주의 어머니, 해녀과학동아 l2012년 11호
- ‘생물문화 다양성’이라는 용어가 있다. 생물문화는 생물 다양성과 문화다양성을 유지하려는 각각의 노력을 하나로 융합하기 위해 유네스코가 만든 말이다. 제주도는 생물문화 다양성의 아주 좋은 사례다. 유네스코가 인증한 생물권보전지역(2002년), 세계자연유산(2007), 세계지질공원(2010)이자, 람 ... ...
- 2012 이그노벨상 - 수다쟁이 입을 막으려면?과학동아 l2012년 11호
- 도서관에서 개념 없이 떠드는 얄미운 커플이 있다면? 점심시간 종이 친 지 오래인데 수업을 안 끝내시는 선생님이 있다면? 일본 카즈타카 쿠리하라 박사팀이 만든 ‘스피치 재머’를 사용해보자(이후 결과는 책임지지 않는다). 사용법은 간단하다. 수다쟁이를 조준하고 스피치 재머를 켜기만 하면 ... ...
- 마우스 병원, 마음을 치료하다과학동아 l2012년 11호
- “낯을 가리고 수줍음이 많은 쥐도 있나요? 제가 그렇거든요.”지난 9월 23~27일 제주 서귀포 칼 호텔에서는 쥐 연구분야의 대표 학회인 다산 학회와 국제마우스표현형분석 컨소시움(IMPC) 학회가 연달아 열렸다. 다산 학회 마지막 날인 9월 25일 아침, 행사장에서 신희섭 기초과학연구원(IBS) 인지 및 사 ... ...
- 목소리 없는 대화과학동아 l2012년 11호
- 루게릭병처럼 시간이 갈수록 점점 신경이 마비되는 퇴행성 신경질환 환자에게 가장 마지막까지 온전히 남아 있는 운동기관은 일반적으로 ‘눈’이다. 앞서 소개한 눈 깜빡임을 이용한 타이핑 방식은 최근까지도 많이 쓰지만 글자 하나하나를 옆에서 불러주고 환자가 반응을 해야 하기 때문에 분당 ... ...
- “면접, 제출서류 읽고 오세요”과학동아 l2012년 11호
- 다양한 입학사정관 전형 중, 많은 인원을 선발하는 학교생활우수자와 자기추천 전형에서 바라는 인재상은 무엇입니까? 학교생활우수자 전형은 학교생활을 얼마나 열심히 했는지를 중점적으로 봅니다. 교과 성적을 평가하고 학교생활에 있어서 적극성과 팀워크가 서류에 드러난 학생을 찾습니다. ... ...
- 짧고 굵게 집중하면, ‘원’도 문제없어!수학동아 l2012년 11호
- 선생님, 원의 성질은 왜 배우나요?수학은 과학처럼 ‘와~!’ 소리가 나도록 신기한 현상을 관찰하거나, ‘펑!’ 소리가 나는 실험을 하기가 어려워요. 그래서 학교에서 배우는 수학이 일상생활 속에서 ‘어디에 쓰이는구나’를 쉽게 깨닫기가 힘들죠. 하지만 수학은 알게 모르게 생활 속에서 큰 역 ... ...
- 진짜 ‘고온’ 초전도 물질 발견?과학동아 l2012년 10호
- [고온 초전도 현상의 특징 중 하나인 영구 자석 띄우기. 액체 질소를 써서 냉각했다. 이를 상온에서 만들 수 있을까. 위 사진은 전기설비용 초전도 선형 재료. 서울대 유상임 교수가 개발했다.]초전도 현상은 절대온도(영하 273℃) 부근에서 전기저항이 0이 되는 현상이다. 전류를 손실시키지 않고 무 ... ...
- 목표 없이 멈추거나, 휩쓸리거나과학동아 l2012년 10호
- 알록달록 손톱에 10가지 색의 매니큐어를 바른 멋쟁이 학생이 들어 왔다. 꿈을 물었더니 아직 없다고 했다. “하고 싶은 것이 너무 많아서 정하지 못한거야? 아니면 자꾸 변해서?” “꿈이 자꾸 변해요.” “원래 꿈은 자꾸 변한단다. 이제 몇 년 후에는 전공을 선택해야 하잖아. 꿈을 정해야해. 나중 ... ...
이전4041424344454647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