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체"(으)로 총 1,835건 검색되었습니다.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북극 온난화의 지표, 해빙과학동아 l2018년 11호
- 흡수하는 효율이 상대적으로 떨어집니다. 우리 연구팀은 북극해에서 식물성 플랑크톤이 정체돼 있기보다는 식물성 플랑크톤과 해빙 간 상호작용에 따라 북극해가 차갑게 유지된다는 사실도 밝혀냈습니다.doi:10.1007/s00382-018-4450-6스트로브 교수팀은 북극해에서 온난화가 가속화함에 따라 다년빙이 ... ...
- Part 4. 오로라, 보랏빛 띠를 발견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여기에는 유럽우주국(ESA)의 SWARM 위성도 참여했어요. 그리고 올해 3월, 스티브의 정체를 밝혀냈답니다. 분석 결과, 스티브는 태양풍 입자들이 적도에 더 가까운 지구 자기력선을 따라 흘러 들어가면서 기존의 오로라보다 10~20° 더 낮은 위도에 만들어진 것으로 나타났어요. 이때 입자들은 지구 ... ...
- [TECH]스마트폰 카메라 전쟁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다양한 각도로 찍을 수 있는 스마트폰을 원한다고 밝혔다. 스마트폰의 하드웨어 혁신이 정체된 상황에서 소비자들의 수요를 반영하고, 다른 제조사와 차별화할 수 있는 요소로 카메라가 급부상하게 된 것이다.그렇다고 스마트폰 카메라가 디지털일안반사식(DSLR) 카메라처럼 ‘고퀄’이 되기는 쉽지 ... ...
- Part 1.혈흔 분석 기하학, 사건을 재건하다수학동아 l2018년 10호
- 아무 목격자가 없는 밀실에도 제3의 목격자가 있다. 바로 혈흔이다. 피 모양과 형태를 기하학적으로분석하면 사건 현장에서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추리할 ... 다음 쪽 내용을 차근차근 따라해보길 추천합니다. 정체불명 살인마 잭 더 페인터의 정체에 한 걸음 더 다가갈 수 있을 테니까요 ... ...
- [에디터 노트] 우주군(軍)과 존 레넌과학동아 l2018년 10호
- 탑재체 3개를 쏘아 올리기로 했다. 미 공군의 모니터링에 묘한 게 발견됐다. 우주 공간에 정체불명의 물체가 하나 더 있었다.처음에는 발사 과정에서 떨어져 나온 로켓 잔해물로 추정했다. 하지만 이 미심쩍은 물체는 지구 궤도를 계속 돌았고, 러시아는 발사 보고서에 탑재체 수를 슬그머니 하나 ... ...
- Part 4. 도시와 공원이 공존할 수 있는 방법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0호
- ‘그린몬스터’라 불렸으며 주변에는 범죄율이 높은 슬럼가가 형성됐어요. 교통정체를 해소하고 주변을 발전시키기 위해 보스톤 정부는 ‘빅딕(Big Dig)’ 프로젝트를 시작했어요. 고가도로를 철거한 후 터널을 뚫어 차는 지하로 다니게 하고 지상에는 공원을 조성하는 계획이었지요. 2007년 ... ...
- Part 4.독자가 찾은 9수학동아 l2018년 10호
- 앞두고 삐끗해 나쁜 일이 생긴다는 거죠. 아홉수와 관련된 대표적인 요괴가 구미호예요. 정체를 들키지 않고 사람의 간 1000개를 먹어야 사람이 되는데 999개까지 먹고 들키고 만 거죠. 환생하는지는 잘 모르겠어요! BONUS. 북한이 좋아하는 숫자 9 북한은 건국 기념일이 9월 9일이라 그런지 9를 ... ...
- [Culture] 과학으로 들여다본 서른이지만 열일곱입니다과학동아 l2018년 09호
- 할 과제는 바로 정체성 확립이다. 여주인공 우서리는 한참 자기 자신에 대해 탐색하며 정체성을 확립해야 할 청소년기에 사고를 당해 정신적인 성장이 멈춰버렸다. 안현웅 마음나래의원 원장(순천향대 의대 정신건강의학과 외래교수)은 “집과 가족을 찾는 과정에서 저지르는 실수를 보면, ... ...
- [통합과학 교과서] 게임 속 낯선 사람의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시대 사람인 것 같은데, 어떻게 이 게임 속에 있었던 거예요?”궁금해진 수호가 아저씨의 정체를 물었어요.“나는 이 게임 속에 10년 넘게 갇혀 있었단다….” ※ 개념 퀴즈현생 인류와 네안데르탈인은 서로 교류하지 않았다. [O , X ... ...
- [통합사회 요점 정리 9] 다양한 문화를 존중하는 이유와 방법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한다는 점이 이 관점의 순기능이다. 하지만 자기 문화의 주체성과 정체성을 상실할 우려가 있으며 다른 사회의 문화를 비판적으로 수용하기 어렵다는 역기능이 있다. 두 사례를 통해 문화 절대주의는 바람직하지 않은 견해임을 알 수 있다. 문화의 다양성을 위해서는 문화 ... ...
이전4041424344454647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