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조상"(으)로 총 1,120건 검색되었습니다.
- 따로 또 같이! 세계의 인종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2호
- 적응한 모습이 멋져 보여요! 이번 월드컵에서는 제 짝과 함께 태극전사를 응원할래요! 조상도같고, 이제 사는 곳도 같은 우리는 모두 대한민국 국민이니까요 ... ...
- 하늘을 읽는 삼각법의 발견수학동아 l2010년 12호
- 이렇게 옛날 뱃사람들은 별을 길잡이 삼아 항해를 마칠 수 있었다. 수천 년 전 우리 조상들은 어떻게 별을 지표 삼아 길을 찾을 수 있었을까?삼각형으로 길을 찾다 지금은 도로가 잘 닦여 있어 웬만한 길은 차로 다닐 수 있다. 하지만 예전에는 곡식이나 옷감처럼 무거운 짐을 멀리 옮길 때 주로 ... ...
- Part 1. 한의학은 과학이다과학동아 l2010년 12호
- 과학적으로 검증하면 효과가 없을 뿐만 아니라 국민건강도 해친다고 주장한다. 한의학은 조상의 지혜가 담긴 유용한 의술일까, 아니면 과학적이지 못한 구시대의 유물일 뿐일까. “흥미로운 결과네요.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침술의 효과를 다 설명할 순 없지요.”한국한의학연구원 ... ...
- 흑인 부모는 어떻게 백인 아기를 낳았을까과학동아 l2010년 11호
- 복합적으로 작용해 나타난 결과다.그래서 음마치의 경우 과학자들은 흑인 부모의 조상 중에 백인들이 있었고 이들의 유전자가 열성으로서 숨어 있다가 아주 낮은 확률이지만 음마치에게 절묘하게 모이면서 겉으로 나타난 것이 아닐까 추정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번 경우는 아직 우리가 잘 알지 ... ...
- 다리엔 왜 줄이 많을까?수학동아 l2010년 11호
- 지금도 계속된다. 이때마다 수학은 최선을 다해 다리 건설을 돕는다.옛 다리에 깃든 조상의 지혜선조들은 개울에 징검다리를 놓고, 계곡에는 통나무를 걸쳐 놓거나 칡넝쿨을 얽어맸다. 나무로 만든다리는 길고 만들기 쉬운 장점이 있지만 수명이 길지 못하다. 무거운 짐을 자주 옮기거나 비바람이 ... ...
- 과학으로 담그면 행복한 겁니다과학동아 l2010년 11호
- 이하로 내려가야 얼기 시작한다. 하지만 더 추운 날씨에도 견딜 수 있어야 하므로 우리 조상들은 김칫독을 땅에 묻었다.김칫독을 땅에 묻는 전통방식은 어떤 장단점이 있을까. 11월 말이나 12월 초, 초겨울 정도에 담근 김치는 15~18℃ 온도에서 발효가 시작된다. 기온이 차츰 낮아지다가 2~3주 후 기온이 ... ...
- 인류의 희로애락 품은 탈과학동아 l2010년 10호
- 원인이 되는 역귀(疫鬼)의 탈을 쓰고 춤을 추어 역귀를 떠나보낸다. 영혼탈로는 중국에서 조상이 마을에 나타나 농사를 지어주고 돌아간다.장례탈은 중국 실크로드의 고분에서 발굴된 시신의 얼굴에 씌워진 비단탈처럼 장례식에서 죽은 사람의 얼굴에 씌우는 탈이다. 추억탈은 황창이 칼춤을 추다가 ... ...
- 식물 속 천연색소를 찾아라과학동아 l2010년 10호
- 붉은 물이 든 멋진 산을 볼 수 있다. 천연염색에 도전하자앞에서 말했다시피 우리의 조상들은 식물이 갖고 있는 여러 색을 추출해 생활 속에 이용해왔다. 식물마다 가진 색소가 다르기에 이를 이용해 옷감을 염색하거나 음식의 색을 내는 데 사용했던 것이다. 치자는 노란색, 소목은 붉은색, 쪽은 ... ...
- 지구가 뿔났다? 아이슬란드 화산 대폭발!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0호
- 레이캬비크.합성 사진이라니? 오우, 노! 라라는 거짓말을 하지 않아. 사실 이 곳은 조상 대대로 화산 폭발이 끊이지 않았단다.앗, 뜨거~! 화산섬 아이슬란드의 탄생지구는 여러 개의 얇은 *판으로 둘러싸여 있고, 그 아래로는 암석이 녹을 만큼 뜨거운 맨틀이 있다. 맨틀로부터 마그마가 올라오다가 ... ...
- 자물쇠 속 수학수학동아 l2010년 09호
- 고삐를 밀고 당기는 것도 자물쇠를 여는 과정 중 하나다.백동 4단 자물쇠로 우리 조상이 자물쇠에 숨겨 놓은 경우의 수를 찾아보자. 단계별로 생각하는 범위에 따라 경우의 수가 늘어나기도 줄어들기도 한다. 그림은 밀대판을 오른쪽으로 미는 경우만 생각한 것이다. 밀대판을 왼쪽으로 미는 ... ...
이전4041424344454647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