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맑음
밝음
투명도
광휘
명료
명석
순수
d라이브러리
"
투명
"(으)로 총 1,352건 검색되었습니다.
응답하라! 아빠 엄마 어렸을 적에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6호
달고나는 설탕을 녹인 다음 베이킹소다를 넣어 만든 과자예요. 설탕만 옥였을 때는
투명
한 액체이지만 베이킹소다를 넣으면 액체가 뿌옇게 변하면서 부풀어 올라요. 베이킹소다에서 생기는 이산화탄소 때문이지요.베이킹소다의 다른 이름은 탄산수소나트륨이에요. 탄산수소나트륨을 65℃ 이상으로 ... ...
진짜
투명
망토가 나왔다?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모른다는 생각도 든다. 하지만 김 교수의 다짐은 달랐다. “이번에 개발된 재료는
투명
망토뿐만 아니라 광학적으로도 없던 소재라고 할 수 있어요. 그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다고 생각합니다. 저희 연구팀은 앞으로도 호기심을 갖고 연구를 계속해 나갈 겁니다.” ... ...
지금은 소프트로봇 시대 - 로봇이 림보도 하네!
과학동아
l
2014년 05호
’은 박각시나방 애벌레를 모방하고 있다. 이를 위해 그는 우선 로봇의 관절을 없앴다.
투명
한 실리콘판 한 장을 신문지를 말듯 말아 기다란 애벌레 몸통을 만들었다. 실리콘은 각 성분을 어떤 비율로 섞느냐에 따라 뱀가죽처럼 뻣뻣하거나 ‘만득이(녹말 가루를 넣은 풍선 장난감)’처럼 ... ...
투명
망토로 지진파 돌려보낸다
과학동아
l
2014년 05호
성공해 물리학술지 ‘피지컬리뷰레터스’ 4월 4일자에 발표했다.메타물질은 흔히 ‘
투명
망토 기술’로 불린다. 통과하는 빛이 물체에 직접 닿지 않아 마치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 것처럼 되기 때문이다. 물체 주변을 원자로 촘촘하게 둘러싸 빛이나 소리, 진동과 같은 ‘파동’의 흐름을 조작하는 게 ... ...
“우주선부터 인공장기까지 필요한 건 다 만듭니다!”
과학동아
l
2014년 05호
신축성과 전기적 특성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유리기판 위에 그래핀 층을 덮으면
투명
한 전자제품으로 사용할 수 있어요. 태양 빛을 투과하면서 센서 등이 작동하는 창문을 개발할 수 있겠죠.Q 지금까지 어떤 재료를 많이 연구했나요?A 재료공학부를 한마디로 표현하자면 화수목금토, 즉 오행(五行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수학의 미학
수학동아
l
2014년 04호
바다와 망치의 미학을 다 흡수하면서 진화하기 마련이다. 다양한 수학적 조류 사이의
투명
한 인력은 소수 집합 속의 질서와 혼돈의 오묘한 조화처럼 앞으로도 계속 세계수학자들의 사상을 풍요롭게 엮어 줄 것이다 ... ...
범죄와의 전쟁, 수학으로 해결한다!
수학동아
l
2014년 04호
있어야 했지만, 흔적도 없이 사라져 버렸다.FBI는 탈마의 흔적을 찾기 위해 수색하던 중
투명
원통 안에 비밀 문이 있는 걸 발견하고, 그 문을 열었다. 그런데 그녀의 혈흔으로 추정되는 피가 2리터쯤 발견됐을 뿐 다른 흔적은 발견되지 않았다. 하지만 탈마의 전적으로 봤을 때 이 피는 마술에 쓰이는 ... ...
가속기가 지구 멸망 시키나?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입자물리학의 마지막 자존심으로 여겨지는 중이온가속기 ‘릭(RHIC)’의 앞날이 불
투명
해졌다. ‘릭’은 2000년 가동을 시작한 뒤 줄곧 세계 최대 가속기 지위를 유지하다가 2010년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거대강입자가속기(LHC)가 등장하면서 2위로 밀려났지만, 오바마 행정부의 거대과학 예산 삭감 ... ...
상한 머리카락 자르는 게 답이다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뿌리 부분에 흰색 덩어리가 보이는데 이것이 모근이다. 간혹 모근 위로 뭔가 반쯤
투명
한 얇은 막이 머리카락을 감싸고 있는 것도 보이는데 이것은 모근을 감싸고 있는 주머니 모양의 조직인 모낭이다. 궁금하다면 한번 자신의 머리카락을 뽑아보자. 나도 이 글을 쓰기 위해 5분에 한 번씩 머리카락을 ... ...
면역세포로 암세포 ‘킬러’ 만든다
과학동아
l
2014년 02호
면역치료가 일어나는 과정도 완벽히 밝혀지지 않았다.대량 생산 가능성도 여전히 불
투명
하다. 최 연구원은 “말기암 환자일수록 기다릴 수 있는 시간이 많지 않기 때문에 몸에 맞는 T세포를 빠른 시간 안에 대량으로 증식하는 게 핵심”이라면서 “대개 4~6주 정도 걸리는데, 현재까진 국립암센터가 ... ...
이전
40
41
42
43
44
45
46
47
48
다음
공지사항